• 제목/요약/키워드: Lake Soya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8초

북한강 수계 호소퇴적물 오염도 평가 (Pollution Assessment of Sediment in Lakes of Buk-han River Basin)

  • 이보미;성기선;김국회;문권영;신명철;홍정기;김갑순;유순주;허인애;노혜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4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assessment of organic matters, nutrients, and metals in sediment in major lakes (5 lakes and 17 sites) of Buk-han river using various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guidelines and indices.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were lower than class IV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guidelines of Korea) and Severe Effect Level (SEL,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guidelines of Ontario).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kes sediments were unpolluted and tolerable level for sediment dwelling organisms by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However, several sites of Chuncheon and Soyang lakes were evaluated "heavily polluted" level by organic index (Org-index). The order of lakes by metals concentrations from the one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Hwacheon, Chuncheon, Cheongpyeong, Uiam, Soyang. All lakes except Hwacheon were assessed unpolluted to marginally and tolerable level for sediment dwelling organisms by metals based on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guidelines (Korean and Ontario), indices of geoaccumulation ($I_{geo}$), pollution loading (PLI) and ecological risk (RI). In Lake Hwacheon, every investigated sites were polluted with metals, especially Hg, based on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guideline of Korea and indices ($I_{geo}$, PLI and RI). The dwelling organisms in sediment of Hwacheon Lake were likely to be severed by metals.

배수구역의 유달오염부하량이 소양호 유역에 미치는 기여율 평가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Ratio that the Pollution Loads of the Drainage Areas Affect Soyang-lake)

  • 박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63-5368
    • /
    • 2014
  • 본 논문은 소양호 유역을 대상으로 배수구역의 유달오염부하량을 산정하여 유황 및 계절변화에 따른 소양호 유역에 미치는 기여율을 평가 하였다. 유황변화에 따른 배수구역의 기여율을 보면 인북천 유역의 SS와 T-P 항목이 평수량 이상과 저수량 기간에서 46%와 51%의 기여율을 T-P는 평수량 49.5%, 저수량 기간은 48.5%의 기여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계절 변화에 따른 기여율을 관찰한 결과, 인북천 SS 항목이 전 계절 동안 39.6%에서 44.3%를 T-P는 53.8%로 다른 배수구역에 비하여 높은 기여율을 보였다. T-N은 전 계절에서 내린천 유역이 39.6%에서 44.3%의 기여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인북천 유역의 SS와 T-P 항목, 내린천의 T-N이 소양호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에 높은 기여율을 보였다.

인공호 호소사면 나대지의 식물분포 특성과 녹화를 위한 식물 종 선정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 천경식;김경아;서원복;장진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41
    • /
    • 2010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was investigated in nine artificial lakes. The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64 families, 194 genera, 268 species, 3 subspecies, 30 varieties, 3 forma, totaling 304 taxa. Dominant species of nine investigated areas were represented as Ambrosia trifida,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Xanthium italicum. Dominant species of three parts based on the location of artificial lakes were as follows:Ambrosia trifida, Bidens tripartita,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Setaria viridis, Spergula arvensis, Torilis japonica in northern part (Lake Paro and Soyang);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Rumex crispus, Xanthium italicum in middle part (Lake Chungju, Daecheong, Andong and Imh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Chenopodium glaucu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rsicaria pubescens, Setaria viridis in southern part(Lake Juam, Hapcheon and Jinyang). Among the 304 taxa, Korean endemic, endangered and rare plants were not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and life form was Th-$R_5-D_4$-e type. Above the results,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Xanthium italicum, Matricaria matricariodes, and Spergula arvensis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만대천 유역의 강우량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with Rainfall in Mandae-cheon Watershed)

  • 최한규;이진태;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27-35
    • /
    • 2005
  • Non-point source pollution, which is found in soil, urban area, and agricultural area, is difficult to have its amount to be estimated. Moreover, it is hard to come up with a counterplan to cope with this pollutant. Hence, the watershed of Mandae-cheon located at the upstream of Soyang Lake was chosen as our site of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level of each month and pollution load in the watersh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measuring BOD, T-N and T-P - which are the causes of eutrophication - in the water;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water quality caused by precipitation level of nth.

  • PDF

RUSLE 방법을 이용한 만대천 유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The Estimation of Soil Runoff in the Man-dae Cheun Basin by the using RUSLE Method)

  • 최한규;박수진;국성표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B호
    • /
    • pp.99-108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imate the soil runoff at the basin of Mandaechun where the measure needs to be taken to deal with the increasing muddy water resulting from soil runoff during wet season and torrential rain at the high reaches of the Soyang lake where highland vegetables are cultivated and soil replacement for improvement is carried out every two to three year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such a way of identifying the topographic factors using geographical spatial data from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nd ARC-VIEW program and estimating the soil runoff by rainfall frequency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nd furthermore, evaluating the soil runoff contribution at the basin of Mandaechun based on estimate of the soil runoff by section.

  • PDF

소양호 상류유역의 부유물질 유출특성에 의한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Unit Load by the Outflow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yang Lake)

  • 최한규;최순규;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B호
    • /
    • pp.53-61
    • /
    • 2006
  • In this research, we have selected the regions of Naerin river and Inbuk river where agricultural activities ar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upper Soyang Reservoir and we have observed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while raining afte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flow of float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in division of rainy season and non-rainy season for those floating materials of generating pollutions of turbidity and malnutrition of the water for 4 year from 2002 to 2005. Results of the observation showed that the outflow of floating material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urface outflow of rain water, in particular, the surface outflow was great in June -August period of flood seasons.

  • PDF

RUSLE방법을 이용한 만대천유역의 토사유출량 및 기여울 산정 (Estimation of soil runoff and contribution in the mandae-cheun basin by the using RUSLE methood)

  • 박수진;최한규;국성표;임윤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8-193
    • /
    • 201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imate the soil runoff at the basin of Mandaechun where the measure needs to be taken to deal with the increasing muddy water resulting from soil runoff during wet season and torrential rain at the high reaches of the Soyang lake where highland vegetables are cultivated and soil replacement for improvement is carried out every two to three year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such a way of identifying the topographic factors using geographical spatial data from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nd ARC-VIEW program and estimating the soil runoff by rainfall frequency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nd furthermore, evaluating the soil runoff contribution at the basin of Mandaechun based on estimate of the soil runoff by section.

  • PDF

유역토지이용에 따른 북한강 상류 수계 부착조류에 대한 연구 (Ecological Study of Periphytons Along the Buk-han River Due To the Influence of Land Use Patterns)

  • 강정임;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43-655
    • /
    • 2011
  • 본 연구는 소양호 상류 유역의 지류 하천을 대상으로 부착조류의 생물학적 지수의 수질 대표성을 검토하였으며 총체적인 수질환경평가를 시도하였다. 북한강 상류의 4개 수계에 대한 하천(북천-한계천, 내린천, 인북천, 소양강)에서 배수구역을 중심으로 총 9개 지점을 조사 지점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은 농경지중심과 임야 중심으로 뚜렷한 분포차이를 보였고, 소양강 상류 하천 유역은, 농경지 중심 지역에서는 오염된 수역의 대표종인 남조강이 높은 출현률을 보였고, 임야 중심 지역에서는 남조강, 녹조강, 규조강이 비교적 고르게 출현하였다. 따라서 오염원의 분포와 부착조류의 현존량 및 군집 분포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BOD, SS 그리고 종다양도, 균등도의 생물지수들은 조사지점 대부분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국내 하천에서 소양강 상류 하천 조사 지점의 하천 수질에 대해 전체적으로 빈부수성이며 양호하다는 단편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하천수질과 영양 상태에 대한 평가에 사용되는 기존 생물지수 및 하천등급판정기준은 수체 내 영양염류에 민감하여 부영양화 판정에 효과적인 부착조류의 생지화학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

의암호 수체 흐름과 혼합 패턴에 관한 모델 연구 (A Hydrodynamic Modeling Study to Analyze the Water Plume and Mixing Pattern of the Lake Euiam)

  • 박성원;이혜원;이용석;박석순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488-4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류 댐 및 유입 지류의 물리적,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암호 수체의 혼합 거동을 해석하고 수질 분포에 미치는 인자로 수체간 혼합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시변화 모델, GEMSS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 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GLLVHT 모델은 상이한 강우 및 유량 조건에서 의암호 내 열수지 및 수체 혼합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모델 보정 결과를 바탕으로 의암호의 수온, 전기전도도 그리고 체류시간의 시 공간적 분포와 유입지류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암호는 상이한 목적을 가진 소양강댐과 춘천댐의 방류량과 유입 지류의 큰 변동폭에 수리 및 수질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의암호는 봄과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은 춘천댐의 방류량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아, 전체적으로 높은 수온 분포를 나타낸다. 반면 가을과 겨울철에는 소양강댐의 방류 유량이 많고 수온이 높고, 춘천댐의 유량이 매우 적어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은 소양강댐 방류수의 수온이 의암호의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기전도도는 춘천하수처리장과 공지천의 높은 유입으로 하류 의암댐 부근까지 높은 전기전도도의 분포를 나타낸다. 의암호의 체류시간은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유입되는 상류 수역은 체류시간이 비교적 짧게 나타나며 의암댐 부근의 하류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도 부근의 낮은 수심으로 인해 소양강댐 방류량이 많은 시기에는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체류시간이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하중도의 우안에서 공지천과 춘천하수처리장이 유입되는 수역, 중도의 우안에서는 연중 20일 이상의 체류시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체수역에서는 지류들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유속이 낮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대성장 우려가 있어 수질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철 집중 강우시에는 유입 및 유출의 급격한 증가로 체류시간은 크게 감소하며,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는 약 10일 이하의 짧은 체류시간으로 의암호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의암호 내 표층에서는 소양강댐의 방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중도의 우안의 상류부까지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중도의 좌안과 붕어섬 상류부에서 소양강댐 방류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춘천댐의 방류량이 큰 경우에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우안을 따라서 그대로 방류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붕어섬 상류부를 통하여 춘천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 및 소양강댐 방류 합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지천의 방류수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많은 시기에 동시에 증가하여 공지천과 의암호 합류부의 상류로 역류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소양호 인공식물섬의 어류 서식 및 어란 부착 효과 (Fish and Efficiency on Attached Fish Eggs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in Lake Soyang,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9-565
    • /
    • 2014
  •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소양호에 설치된 인공식물섬에서 출현 어류와 어란 부착을 조사하였다. 잠수하여 수중 관찰한 결과 청평리에서는 피라미(Zacco platypus) 5.2%, 쏘가리(Siniperca scherzeri) 1.0%,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90.8%, 배스(Micropterus salmoides) 3.0% 등이 출현하였다. 웅진리에서는 잉어(Cyprinus carpio) 0.4%, 피라미 54.6%, 블루길 20.3%, 배스 24.7%등 이었다. 시설물 인접수역에서는 총 7과 22종이 출현하였다. 이 중 국외 도입종에 속하는 어종은 떡붕어(Carassius cuvieri), 블루길, 배스 등 이었고 피라미 30.4%, 블루길 18.9%,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15.4%, 누치(Hemibarbus labeo) 9.3% 등의 순으로 개체수가 풍부하였다. 부착한 어란은 $1m^2$당 청평리에서는 800개, 웅진리에서 1,100개 이었으며 시설물 전체에서는 청평리에서 708,800개, 웅진리에서 974,500개로 추정되었다. 어란은 붕어(Carassius auratus) 504,920개(청평리 212,640개, 웅진리 292,280개)와 잉어 1,178,380개(청평리 496,160개, 웅진리 682,220개) 이었다. 부착한 수정란이 폐사하지 않고 부화한 개체는 붕어 350,505개(청평리 102,067개, 웅진리 248,438개)와 잉어 811,222개(청평리 238,157개, 웅진리 573,065개)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