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oya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6초

몬순지역 대형댐(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천이 (Seasonal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 Large Reservoir of Summer Monsoon Region (Lake Soyang))

  • 김문숙;김범철;전만식
    • 생태와환경
    • /
    • 제52권1호
    • /
    • pp.40-49
    • /
    • 2019
  • 본 연구는 몬순지역의 대형호인 소양호를 대상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생물량을 조사하였으며, 군집의 계절천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PEG 모델과 몬순지역에서 다른 호수와의 동물플랑크톤 계절천이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소양호 유역의 강수량은 $705{\sim}1,779mm\;yr^{-1}$의 큰 변동을 보였으며, 70% 이상이 6~9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호의 수질은 연도별 변화보다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몬순기후로 인한 여름철 홍수기 탁수유입이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의 계절천이는 연도별로 차이는 있지만, 매년 두 시기에 거쳐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봄 시기에는 소형 동물플랑크톤이 우점하였으며, 여름과 가을 시기에는 크기가 큰 지각류와 요각류가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집중강우 이후 9월에 최대를 보였으며, Chl. a 농도와 유사한 계절변동을 보였다(r=0.45).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량 증가는 강우 시 유입된 영양염과 유기물에 의한 미생물, 식물플랑크톤 등 먹이유용성 증가에 따른 microbial loop와 bottom-up 효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몬순지역의 대형호인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은 종별 계절천이는 PEG 모델을 따랐지만, 생물량의 계절천이는 온대호수뿐만 아니라 몬순지역의 호수와도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역에서 유입된 다량의 유기물 등과 함께 소양호의 수심, 체류시간 등 수리학적 특성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소양호에 존재하는 새로운 Flavobacterium의 분포와 특징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Various Flavobacterium sp. in Lake Soyang)

  • 김하늘;정요찬;강희영;이범일;장태용;조기성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164-172
    • /
    • 2012
  • 우리나라 최대 담수호인 소양호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Flavobacterium을 분리하여 그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 97%와 98% 사이의 상동성을 지니는 Flavobacterium을 대상으로 21종을 선택하였으며, 그 균주들의 생리학적, 생태학적 위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양호에 존재하는 21종의 분리된 Flavobacterium은 4개의 주된 node에 위치하였으며, 그 중에서 대부분이 하나의 group에 속하여 있었다. 각 Flavoacterium 21종의 생리적인 특징은 기존의 보고된 Flavoacterium들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지만, total fatty acid의 분석결과 iso $C_{15:0}$과 summed feature 3 (comprised $C_{16:1}$ ${\omega}7c$ and/or $C_{16:1}$ ${\omega}6c$)가 주요 성분으로 전형적인 Flavobacterium의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양호내에는 유전적 유연관계가 있는 아변종의 Flavobacterium이 존재하며, 기존에 알려진 종들과는 다른 형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소양호 생태계의 생물 종 다양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호에서 동물 플랑크톤의 섭식작용에 관한 연구 (On the Feeding Behavior of Zooplankton in Lake Soyang)

  • 심두섭;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3
    • /
    • 1992
  • 소양호에서 여름에 출현하는 동물 플랑크톤의 포식 작용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형광 bead 와 형광 염색한 세균을 bacterivore 로 보았으며 장내에서 엽록소의 autofluorescence 가 발견되는 것은 algavore 로 보았다. Copepoda 의 유츙과, Thermocyclops, Pleosoma 등은 algavore 였으며, Daphnia, Bosmina, Keratella, Hexathra 등은 bacteriovore 였다. 개체수로는 65.7% 가 algavore 였으며, 34.4% 가 bacteriovore 였다. Bacteriovore 인 동물 플랑크톤은 직경이 0.5 $\mu$m 이상인 입자를 선호하였으며, 형광 bead 와 형광 엽색 세균은 섭취율에 큰차이가 없었다.

  • PDF

소양호(昭陽湖) 상류유역(上流流域)의 강우강도(降雨强度)에 따른 부유물질유출특성(浮游物質流出特性) (Outflow Characteristics of Floating Material by Rainfall Intensity in the Upper Stream of Soyang River)

  • 최한규;유상모;백효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11-18
    • /
    • 2005
  • When it is raining or snowing, floating debris flows into a lake and raises its turbidity. High level of turbidity in the lake often causes eutrophication, which pollutes the water. In order to collect and present some essential inform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water quality, we carried out our research at the watershed of Mandae-cheon located at the upstream of Soyang Lake. We examined water quality at the time of rainfall or snowfall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suspend soils(SS) in the lake.

  • PDF

Landsat 영상 및 인공 신경망 기법을 활용한 춘천 소양호 면적 및 가뭄 모니터링 (Monitoring of Lake area Change and Drought using Landsat Images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in Lake Soyang, Chuncheon, Korea)

  • 엄진아;박성재;고보균;이창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9-136
    • /
    • 2020
  • 가뭄은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물 공급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환경 재앙 중 하나로 대부분 넓은 지역에 걸쳐 나타난다. 원격탐사 자료는 이러한 넓은 지역에서 나타나는 가뭄 모니터링에 적합한 방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소양호 지역의 Landsat 위성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약 30년(1985-2015) 동안의 소양호 면적을 산출하고 이를 가뭄 패턴과 분석하였다. 특히 ISODATA, Maximum likelihood 및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Landsat 영상을 분류하여 소양호 면적을 산출하였다. 또한 가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출된 호수 면적과 소양호 지역의 강수량을 활용한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상 분류 연구 결과, ISODATA, Maximum likelihood 및 인공신경망 방법 중에서 호수 면적 산출의 최적의 방법은 인공신경망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공신경망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호수 면적과 SPI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R2 값이 0.52를 가진다. 즉, SPI지수가 낮을 때 호수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호수 면적 변화를 통하여 소양호 지역의 가뭄 상태 감지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지역 가뭄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등에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Landsat 시계열 영상을 이용한 한강 수계 호수 수온과 계절적 성충 현상 분석 (Analysis of Lake Water Temperature and Seasonal Stratification in the Han River System from Time-Series of Landsat Images)

  • 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3-271
    • /
    • 2005
  • Landsat 시계열 영상과 실측수온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수계 댐호들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성층현상을 분석하였다. 1994년에서 2004년까지 29회에 걸쳐 얻어진 Landsat-5, 7 열적외선 영상으로부터 NASA 경험식을 이용하여 호수의 표면수온을 추출하였고, 이를 하천형 댐호인 파로호, 춘천호,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의 표층수온, 그리고 호소형 댐호인 소양호의 상층수온(수심 10m) 자료와 비교하였다. 십 수 년간 매월 1회 측정된 수온자료를 위성관측 날짜에 보간하여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천형 댐호들에서는 수온오차(위성관측수온-실측보간수온)의 표준 편차가 $2^{\circ}C$ 이하인 영상이 94개로서, 새로운 통계적 대기보정을 적용할 수 있었다. 실측보간수온과 위성관측수온의 상관계수는 소양호가 0.915 (대기보정 후 0.950), 다른 호수는 0.951-0.980 (대기보정 후 0.979-0.997)로서,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심이 얕고 인위적인 물의 유입과 유출이 연중 계속되는 하천형 댐호의 표층에는 혼합층이 상시 존재하고 수온의 일변화 및 월변화가 비교적 연속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소양호에서는 4-7월에 위성관측수온이 실측보간수온보다 $3-5^{\circ}C$ 더 높게 나타나는 이상 수온오차가 관찰되었다. 한강 수계의 최상류에 위치하며 수심이 깊고 자연적인 유입량만이 존재하는 소양호에서 이 시기는 상층수의 물리적 혼합현상이 없이 매우 안정적이고, 일조량 증가에 따라 호수 상층부에 수온약층이 발달하기 때문에, 수심 10m에서 측정된 실측수온보다 위성으로 관측된 표면수온이 연중 비교적 건조한 이 시기에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양호에서 세균군집구조의 계절적.수직적 변화 (Seasonal and Vertical Change of Bacterial Communities in Lake Soyang)

  • 김동주;홍선희;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2-247
    • /
    • 1999
  • 소양호에서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군집의 계절과 수심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방법에 사용된 oligonucleotide probe는 EUB338, ALF1b, BET42a, GAM42a 와 CF probe 였다. 조사기간중 Proteobacteria $\alpha$-group 은 0.7~32.9% 이었으며 $\beta$-group은 1.0~25.8%, $\gamma$-group은 2.4~37.1%,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은 4.7~23.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규조류가 우점하는 봄펄에는 $\gamma$-group 이,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alpha$-group 이 우점하였으며, 남조류가 우점하는 가을철에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l group 의 비율이 크게 감소하여 특정 group의 우점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소양호는 계절과 수심에 따라 군집구조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세균의 군집구조는 식물플랑크톤의 천이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016년 소양호에서 채집한 자연산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의 법정전염병 및 기생충성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Pathogen Infection of Freshwater Cyprinid Fish and Crustacean in Soyang Lake in 2016)

  • 문성희;허준욱;차승주;황성돈;손맹현;권준영;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7-53
    • /
    • 2018
  • The presence of pathogens in wild fish is a potential threat to the fish being raised nearby fish farm. Surveillance of these pathogens in the wild is, thus, highly important to keep fish in the farm safe from 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Fish and crustacean were sampled 4 times at Soyang Lake in 2016. Pathogens for five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KHVD (koi herpesvirus disease), 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WSD (white spot disease), and parasites were investigated. In Soyang Lake, pale chub Zacco platypus was the most abundant. Forty seven pale chub, 8 Korea piscivorous chub Opsarichthys uncirostris, 3 oily shiner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and 2 crucian carp Cyprinus carassius were investigated for detection of target diseases of fish. Seventeen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12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and 1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were used for detection of WSD. As the result,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freshwater animals. Dactylogyrus was detected in Korea piscivorous chub. Copepoda was also detected in pale chub and Korea piscivorous chub. Metacercaria was detected in the pale chub sampled in September and October. Those were not metacercaria of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섭식특징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in the Soyang Lake, Korea)

  • 송미영;김승용;홍양기;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4-129
    • /
    • 2017
  •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한강 수계인 소양호에서 자망으로 채집한 쏘가리(Siniperca scherzeri) 33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쏘가리의 체장은 107~321 mm의 범위였으며, 135개체는 공복상태였다. 쏘가리는 주로 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였다.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어류인 빙어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고, 새우류는 징거미새우의 섭식비율이 높았다. 먹이생물 중 어류 비율은 쏘가리의 체장이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며, 계절별로는 6, 7, 10월을 제외하고 높았다. 소양호 상 중류지역보다 하류지역에서 어류의 섭식비율이 약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