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 5-1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1초

비트 첨가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Beet Addition on the Quality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양유진;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38-543
    • /
    • 2005
  • 본 연구는 비트의 첨가 비율을 달리한 미국인 선호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숙성하면서 pH, 산도, 환원당, 색도, 경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젖산균수 등 미생물학적 특성 그리고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비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반면 산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초기 비트 $3\%$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젖산균 수 또한 비트 $3\%$ 첨가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숙성이 될수록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하였으며, 비트 $1\%$ 첨가군의 적색도가 한국 표준김치의 적색도와 아주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비트 첨가량이 적은 군이 많은 군보다 조직감이 좋았다. 관능검사에서는 비트 $1\%$ 첨가군이 외관, 향, 맛, 질감 등의 전반적인 관능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한 한국의 음식에 익숙하지 않은 미국인들은 숙성된 김치보다 생김치 상태의 것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미국인 선호김치에 비트를 첨가함으로서 적색도가 증가되어 김치 색상의 문제점이 개선되고 관능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때 비트를 $1\%$ 첨가하는 것이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방선균(Nocardia sp. CS682) 발효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면역글로불린 및 소장 내 미생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ry Actinomycetes (Nocardia sp. CS682) Ferment on the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Immunoglobulin and Small Intestinal Microflora Contents in Broilers)

  • 이아름;신동훈;김찬호;정병윤;유진철;홍영호;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1-80
    • /
    • 2011
  • 이 실험은 방선균 목(目) 노카르디아 종 CS682 균주의 발효물 CS682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제품 DCS682$^{(R)}$를 육계에게 급여 시 생산성, 혈액 성상, 소장 내 미생물, 면역성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1은 갓부화한 총 240수의 육계(ROSS$^{(R)}$)를 공시하였으며, 처리는 대조구, 항생제구, CS682-0.25(CS682 0.25%), CS682-0.50, CS682-0.75, CS682-1.00 등 6처리였다. 각 처리구 간의 사료 요구율에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다. CS682-0.25 처리구는 항생제구와 다른 CS682 처리구들에 비해 0~2주 동안 사료 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나 대조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혈액성상에서는 CS682 처리구들이 MCV(mean corporal volume)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소장 내용물 중 E. coli 수는 항생제구가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CS682구들 그리고 대조구였다. 시험 2는 갓 부화한 총 1,000수의 육계(ROSS$^{(R)}$)를 공시하였으며, 처리는 대조구, 항생제구, DCS682-0.05(DCS682$^{(R)}$-0.05%), DCS682-0.1, DCS682-0.2 등 5처리였다. DCS682-0.2처리구는 DCS682-0.1 처리구에 비해 0~2주 폐사율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0~5주 폐사율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항생제구는 소장내 universal bacteria, Lactobacill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E. coli 수는 다른 처리구들에비해 유의적으로 (P<0.05) 감소하였으며 DCS682 처리구들은 E. coli와 S. Typhimurium수에서 항생제 처리구보다는 높았으나 대조구보다는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연구 결과는 CS682-0.25 또는 DCS682-0.20을 육계 사료에 첨가 시 사료 요구율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었고, 폐사율을 감소시키며 장내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발효특성과 in vitro 항암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Young Radish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 공창숙;김도경;이숙희;노치웅;황해준;최경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11-316
    • /
    • 2005
  • 5℃의 저장 온도에서 열무김치와 열무물김치의 발효 특성 및 항암효과를 검토하였다. 열무김치는 발효 2-3주일 째에 김치 적숙기의 pH에 도달하였으며, 이 때 산도는 1.04-1.27%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열무물김치의 발효는 빠르게 진행되어 발효 9일째에 적숙기 pH 4.3까지 감소하였으며, 이때의 pH와의 관계에서 산도는 0.20%로 낮은 값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열무김치와 열무물김치의 젖산균수의 성장변화는 발효기간 중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효기간 중 열무물김치에 비해 열무김치의 젖산균수가 pH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열무물김 치는 발효기간 중의 발효초기 pH범위에서부터 높은 Lactobacillus sp.균수를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열무와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AGS인체 위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모든 즙액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첨가 농도 20μL/assay에서 는 열무 및 열무김치즙액 시료는 5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성 장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열무물김치 즙액은 낮은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열무김치와 배추김치의 AGS 인체 위암 세포와 HT-29 결장암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는 전체적으로 열무김치 배추김치는 서로 비슷한 정도의 항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천연발효 경과에 따른 삼정환의 미생물 변화 및 발효특성 (Microbial Change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uring Samjung-Hwan Natural Fermentation)

  • 신나래;왕경화;임동우;이명종;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3-130
    • /
    • 2015
  • Objectives: Samjung-hwan (SJH), a well-known traditional fermented herb formula recorded in Dongui Bogam, has been commonly used for prolonging life for four hundred years in Eastern Asia. However, fermented SJH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microbial ecology until present time. Methods: SJH was fermented for five week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uring SJH fermentation were performed including pH, acidity and microbial profiling. Also,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order to select starter candidate, several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SJH. Results: pH of fermented SJH was decreased from 4.7 to 3.0 and acidity was increased from 0.45% to 1.72%. Also, fermented SJH increased antioxidant indicator such as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as well a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actobacillus brevis was increased, Pseudanabaena sp. was decreased, and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was stable during 5-week fermentation of SJH. L. brevis and L. plantarum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SJH. Conclusions: Fermented SJH for four weeks had optimal effect on antioxidant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pH, acidity and microbial profil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starter and analyze functional compounds in oder to produce standardized SJH.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 고강희;유문려;이현희;은걸;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9-95
    • /
    • 2013
  • 갓김치, 배추김치, 열무김치, 깍두기로부터 348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여 각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열무김치의 유산균은 다른 3종의 김치에 비해 간균+단간균:구균의 비가 5.6:1로 구균의 함량이 적었다. Leuconostoc 속으로 추정되는 구균의 함량은 4종의 김치가 모두 유사하였으나 Lactobacillus 속으로 추정되는 간균과 단간균의 함량은 깍두기에서 60.7%로 높게 나타났다. 다른 김치에 비해 배추김치 유래 유산균 중 18.7%가 plasmid가 없었으나 plasmid를 지닌 유산균 중에는 열무김치 유래 유산균에 평균 $4.1{\pm}0.5$개의 plasmid bands가 나타났다. 세포 외 다당(EPS)을 5 mg/mL 이상 생산하는 유산균은 무를 주재료로 한 깍두기와 열무김치에 각각 11.1%, 10.9%로 갓김치와 배추김치보다 많았지만 배추김치 유래 유산균이 $8.4{\pm}2.0mg/mL$의 EPS를 생산해 다른 김치 유래 유산균들보다 1 mg이상 높았다. 갓김치에는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을 지닌 유산균이 많은 반면 열무김치, 배추김치, 깍두기에서 Bacillus 속, L.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항균력을 지닌 유산균이 갓김치보다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열무김치와 깍두기 유래 유산균 중 43.3%, 45.5%가 내산성을 지녔으며, 특히 깍두기의 유산균 중 36.3%가 내담즙성을 나타내 다른 김치보다 많았다. Caco-2 세포에 대한 장내부착능을 지닌 유산균은 18.6%의 비율로 갓김치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은 종이 한정적임에도 불구하고 김치 종류에 따라 각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의 생물학적 특징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부착능을 지닌 유산균이 김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가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을 지닌 유산균을 선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산부산물을 재활용한 제조방법이 기능성 비료와 사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on Functional Fertilizer and Feed through Recycling of Fishery Resources)

  • 안승원;안갑선;조전권;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575-1582
    • /
    • 2016
  • In this stud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sign of a large-scale recycling system for fishery by-products, the food nutrient components, fertilizer components, and microbial composition of fertilizers and feed which were made of fishery by-product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dible portion of fishery by-products indicated that calories per 100 g of crustacean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of fish and brown algae in order of precedence with values as follows; Korean Krill 94 Kcal, Portunus trituberculatus 65 Kcal, Lophiomus setigerus 58 Kcal, and Undaria pinnatifida 16 Kcal. As for changes in amino acids per 100 g of fishery by-products between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calories per 100 g of P. trituberculatus decreased by 74.7% from 15.7 g to 4.0 g, that of L. setigerus decreased by 61.1% from 11.9 g to 4.6 g, that of Korean Krill decreased by 53.5% from 11.6 g to 5.4 g, and that of U. pinnatifida decreased by 49.4% from 1.7 g to 0.9 g. Among amino acids, those contained in fishery by-product fertilizers (liquid fertilizer) in large amounts were shown to be Glutamin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Lysin, and Leucine. The lipid content of Korean Krill decreased by 11.9% from 3.2 g to 2.8 g, that of L. setigerus increased by 2.0 times from 1.1 g to 2.2 g, that of P. trituberculatus increased by 4.5 times from 0.4 g to 1.7 g, and that of U. pinnatifida increased by 9.4 times from 0.2 g to 1.9 g. The ash (mineral) content of P. trituberculatus decreased by 82.5% from 26.2 g to 4.6 g, that of U. pinnatifida increased by 27.6% from 3.3 g to 4.2 g, that of Korean Krill increased by 21.9% from 3.1 g to 3.8 g, and that of L. setigerus increased by 88.7% from 1.2 g to 2.2 g.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liquid fertilizer using recycled fishery by-products was shown to be Bacteria, Actinomycetes, Fungi, Yeast, and Lactobacillus sp.

김치저장 중 최적의 맛 유지를 위한 김치냉장고 발효·보관 모드의 개발 (Development of fermentation·storage mode for kimchi refrigerator to maintain the best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 문송희;김은지;김은정;장해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4-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최적 발효 온도 및 기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최적 발효 온도와 기간으로부터 김치냉장고 발효 보관 모드를 개발하여, 이 신규 모드가 적용된 김치냉장고 조건에서 보관된 김치가 일반보관 모드에서 보관된 김치시료보다 차별화된 맛과 품질을 나타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김치 발효 온도 설정을 위해 김치내 Leuconostoc속이 Lactobacillus속보다 같은 온도에서 보다 생육증가율이 높은 온도 구간을 조사하였을 때 5, 10, $15^{\circ}C$ 구간 중 $5^{\circ}C$ 부근에서 Leuconostoc속의 생육증가율이 Lactobacillus속의 생육증가율보다 가장 높게 (5.3배) 나타났다. 이후 5, 6, $7^{\circ}C$에서 김치발효를 수행하면서 이에 따른 김치의 pH, 산도, 총유산균수, 총유산균 중 Leuconostoc속의 수, 관능평가 등으로 최적 김치 발효 온도 및 발효 기간을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최적 김치 발효 온도는 $6^{\circ}C$임을 알 수 있었다. 김치의 최적 발효일(발효종료일=유산균수 $10^8-10^9CFU/mL$+산도 약 0.40%)에 도달하는데 겨울철에는 약 4-7일, 봄 가을에는 약 3-5일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김치 발효 보관 모드 조건으로 발효 온도는 $6^{\circ}C$, 발효기간은 겨울철 111시간, 봄 가을철 58시간으로 설정하고, 발효 후 즉시 $-2--1^{\circ}C$에서 보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김치 발효 보관 모드 적용에 따른 김치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모드 적용 김치시료는 일반보관 모드( $-2--1^{\circ}C$)에서 보관된 대조구 김치시료보다 발효초기(2주)에는 산도 증가가 높게 나타났으나 장기저장 시(12주)에는 모두 비슷한 산도를 나타내었다. 총유산균수는 대조구 김치시료보다 최대 약 $10^1CFU/mL$ 더 높일 수 있고, 이때 검출되는 총유산균 중 Leuconostoc속의 수는 대조구 보다 더 높은(약 $10^1-10^2CFU/mL$) 상태로 김치저장기간 내(12주)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모드 적용 김치시료는 단맛 및 씹었을 때 탄산미 등에 의한 청량감이 우수하여 종합적 기호도가 대조구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저온유지( $-2--1^{\circ}C$)로 발효 억제에 의한 단순 김치보관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적의 김치 발효 보관 모드 기능부여로 맛있는 발효 김치 구현과 이의 오랜보관(12주)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Functional Properties of Yogurt Containing Specific Peptides derived from Whey Proteins

  • Won, Ji-Young;Kim, Hong-Soek;Jang, Jin-Ah;Kim, Cheol-Hyun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49-25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id tolerance, bile acid tolerance, and fermentation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the presence of hydrolysates of whey protein concentrate. Kimchi isolates DK109, DK119, DK121, DK128, DK211, DK212, and DK215, which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 and L. casei DK128 showed the highest acid and bile acid tolerance. To produce whey hydrolysates, enzymes were added to a 10% (w/v)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solution at 1:50 (w/v, protein). The viabilities of the DK strains were determined in the presence of low pH and bile salts. Then, yogurt was produced via fermentation with L. casei DK128, an isolate from Kimchi, in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additives: CPP, WPC, and WPC hydrolysates (WPCH) generated by alcalase (A) or neutrase (N). The produced yogurts were subjected to various analyses, including viable cell counts (CFU/mL), pH, titratable activity, and sensory testing. After 8 h of fermentation, the pH and titratable activity values of all test samples were 4.2 and 0.9, respectively. The viable counts of LAB were $3.49{\times}10^8$, $5.72{\times}10^8$, $7.01{\times}10^8$, and $6.97{\times}10^8$, for the Control, CPP, A, and N sampl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y proteins have potential as dietary supplements in functional foods and that WPCH could be used in yogurt as a low-cost alternative to CPP.

다시마 추출 Alginate를 이용한 미생물 캡슐화제의 겔 형성능 및 생균력 비교 (Comparison of the Gel Formation Ability and Stability of Encapsulated Microbial Inoculant Using Extractable Alginate from Sea Tangle)

  • 최소영;윤민호;황경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170-174
    • /
    • 2006
  • 생균력 안정성이 보장되고 품질이 규격화된 농용 미생물제공급을 위하여 캡슐형 미생물제의 캡슐화 소재로 열수 추출법과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하여 다시마로부터 Na-alginate를 직접 추출하여 겔 형성능과 생균력을 검토하였다. 열수추출 alginate(HWEA)의 경우 5%의 고농도에서 겔 형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알칼리추출 alginate(ASA)는 3% 농도에서 $992.1\;{\pm}\;0.2\;g/cm^2$의 강한 겔이 형성되는 특성을 보여 시판되고 있는 alginate(CA) 1.5% 농도의 겔과 유사한 겔 형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SA의 경우 추출 수율이 20%로 HWEA 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Na-alginate(CA)에 비해 비용이 11배 이상 저렴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A를 사용할 경우 값싼 비용으로 추출이 용이하며 저농도에서 겔형성능이 우수하여 최적의 농용 미생물 캡슐소재로 평가되었다. ASA 캡슐제의 생균력을 조사한 결과 81%의 생균력을 나타내어 고가의 CA 캡슐제와 동일한 생균력을 보장 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미세 캡슐 내 미생물 생존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캡슐막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보조제로 starch와 zeolite를 이용하여 생균력 증진효과를 검토한 결과 단일소재 ASA만으로 제조된 캡슐제보다 보조제를 혼합한 캡슐제 경우 세균과 효모는 생균수가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미생물 혼합 배양액과 상기의 최적 복합 캡슐소재를 혼합하여 캡슐화한 미생물제의 생균력을 측정한 결과 세균은 93%의 높은 생균력을 나타내었고 유산균과 효모의 경우 70% 이상의 생균력을 나타내어 본 연구를 통해 다시마로부터 직접 추출한 ASA가 고가의 시판품 alginate를 대체할 수 있는 농용 미생물 캡슐화 소재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효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의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s on the Generation of the Cytokines in Mouse Spleen Cells)

  • 서민정;강병원;박정욱;김민정;이혜현;김남희;김광혁;류은주;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2-688
    • /
    • 2013
  •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의 면역증강 작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후 70% 에탄올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마우스 비장세포에 작용한 후 분비되는 cytokine으로 면역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에 의해 성분의 변화로 총 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에 의해 폴리페놀 함량이 약 47%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에서는 발효 꾸지뽕 열매에서 cytokine IL-2와IL-4의 분비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LPS 자극제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 Th1 cell 유도 cytokine인 IL-2, IL-12, TNF-${\alpha}$의 분비는 억제되었으나, Th2 cell 유도 cytokine인 IL-4, IL-5, IL-6, IL-10의 분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발효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Th1 cell의 발현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성 면역작용 반응은 억제하며, B 림프구에 의한 항체생성과 관련된 체액성 면역작용을 유도하는 Th2 cell의 발현을 활성화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