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 5-1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uchneri Strains with High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ly Aged Cheese

  • Park, Ki-Bum;Oh, Suk-H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86-90
    • /
    • 2006
  • Two lactic acid bacteria (LAB) with high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capacity were isolated from naturally aged cheese. Examination of the biochemical features using an API kit indicated that the two strains belonged to Lactobacillus. They were gram positive, rod-type bacteria, and fermented arabinose, melezitose, melibiose and xylose, but did not utilize cellobiose or trehalose. 16S rDNA sequencing analysis confirmed that they were Lactobacillus buchneri and Lactobacillus sp. They were accordingly named as Lactobacillus buchneri OPM-1 and Lactobacillus sp. OPM-2, and could produce GABA from MRS broth supplemented with 10 g/L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t a productivity of 91.7 and 116.7 mg/L/hr, respectively. Cell extracts of L. buchneri OPM-1 and Lactobacillus sp. OPM-2 showed glutamate decarboxylase (GAD) activity, for which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were 5.5 and $30^{\circ}C$, respectively.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JC-7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88간의 Electrofusion 최적조건 설정

  • 조영배;최현정;백형석;전홍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28
    • /
    • 1997
  • A lactic acid bacterium was isolated from kimchi.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the genus Lactobacillus through its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med as Lactobacillus sp. JC-7.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streptomycin (2.5 mg/ml) resistant mutan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and kanamycin (600 $\mu$g/ml) resistant mutant of Lactobacillus sp. JC-7 were evaluated. The highest number of fusants were obtained at a capacitance value of 120 msec (1670 $\mu$F), a field strength of 100 V/cm, and a pulse controller setting of 72$\Omega$. The optimum pH of electroporation buffer was 7.5 and the concentration of divalent cation was 1 mM Mg$^{2+}. Electrofusants were efficiently obtained by addition 20% polyethylene glycol to elec- troporation buffer. The yield of fusion was better than that of using polyethylene glycol mediated chemical induction.

  • PDF

Lactobacillus sp. JC-7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88간의 Bacteriocin 생산 세포융합주들의 형태 및 생리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nterspecific Electrofusants, Bacteriocin Producer, from Lactobacillus sp. JC-7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 전홍기;조영배;최현정;배경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237-1245
    • /
    • 1997
  • Interspecific fusants were made from the cells of two strains of Lactobacillus genus, a streptomycin resistant Lactobacillus sp. JC-7 and a kanamycin resistant L. acidophilus 88.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the fusants were examined by determining bacteriocin productivity, acid-producing activity, ability of carbohydrates utilization and three important enzyme activities. The fusants produced a bacteriocin against indicator strains and fusant No. 1, 4 exhibited a larger inhibition zone compared to that of L. acidophilus 88. $\beta$-Galactosidase, phospho-$\beta$-galactosidase, lipase activities and resistance to NaCl of Lactobacillus sp. JC-7 were better than those of L. acidophilus 88. Fusant No. 3 and 7 exhibited excellent lipase activities. Protease activity and acid productivity of L. acidophilus 88 were better than those of Lactobacillus sp. JC-7. Proteasse activities of all fusa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parental strains, and expecially fusant No. 5 and 7 exhibited excellent proteolysis ability.

  • PDF

복합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Direct-Fed Microbia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for Broilers)

  • 김인호;손경승;홍종욱;권오석;민병준;이원백;박용하;이인선;한영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5-91
    • /
    • 2004
  • 본 연구는 사료내 복합생균제의 첨가에 따른 육계의 성장률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2일령 Arbor Acre Broiler(♂) 288수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1) 대조구(CON, basal diet), 2) DFM-1(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r reuteri), 3) DFM-2(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plantarum), 4) DFM-3(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 reuteri & Lactobacillu plantarum), 5) DFM-4(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Yeast), 6) DFM-5(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Bacillus subtilis)로 6개 처리로 하였다. 처리당 4반복 1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작 후 1주까지 생균제 처리구에서 증체량과 사료효율 등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5주의 기간에서는 생균제 첨가구에서 증체량이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 시험기간에 걸친 변화를 보면 생균제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보다 증체량이 높은 경향을 보여 육계 사육기간의 초, 중반기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증체량과,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등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DFM-3처리구는 DFM-1보다 성장능력이 낮았으며 DFM-2와 유사하였고, 효모와 Bacillus subtilis가 혼합된 DFM-4와 DFM-5처리구는 높은 성장능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특정생균제의 효과도 발견할 수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질소 소화율에서 생균제 처리구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복합생균제의 첨가가 복합생균제간 또는 생균제 처리구와 대조구간에는 육계의 생산성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후기에 있어서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동치미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FF-3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최적 생산조건 (The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sp. FF-3 Isolated from Korean Dongchimi)

  • 박진철;차재영;권오창;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54-559
    • /
    • 2003
  •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Latobacillus sp. FF-3의 Bacteriocin 생산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과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Bacteriocin 생산을 위한 최적 생산조건은 MRS(proteose peptone 1%, beef extract 1%, yeast extract 0.5%, glucose 2%, polysorbate 80 0.1%, ammonium citrate 0.2%, sodium acetate 0.5%, magnesium sulfate 0.01%, manganese sulfate 0.005%, dipotassium phosphate 0.2%)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21시간 배양한 결과, 배양온도는 30∼37$^{\circ}C$, 초기 pH는 7.0 으로 확인되었다. 최적 생산배지조성으로 탄소원은 glucose 3%, 질소원은 tryptone 4%, 무기염류는 manganese sulfate 0.005%가 bacteriocin 생성에 최적 조성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배지상에서 항균활성은 최대 484 BUf/mL로 나타났다.

생강계피 복합물이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염증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ger and cinnamon extract mixtures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and intestinal inflammation)

  • 김민주;김민서;강성태;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21-326
    • /
    • 2017
  • 본 연구에서 생강과 계피 추출물 및 복합물의 장내 개선 효능을 조사하였다. 생강계피 복합물을 Modified EG 액체배지에 처리하고 대표적인 유익균인 B. longum, Lactobacillus sp.와 L. acidophilus 균주를 접종하여 생육 활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사람의 장상피세포인 Caco-2 cell과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을 co-culture한 model에서 생강계피 복합물을 처리한 후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시켜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permeability 그리고 nitrite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강계피 복합물을 생강 : 계피 1:5로 처리 시, B. longum, Lactobacillus sp. 및 L. acidophilus 세 가지 균주의 성장을 모두 최대로 상승시켜 생육 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생강계피 복합물은 대조군에 비해 Lactobacillus sp. 균주의 가장 높은 생육 상승을 나타내어 생강계피 복합물에 젖산균의 생육인자를 함유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장 염증활성 조절을 확인하기 위한 co-culture model에서는,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생강계피 복합물 처리군 중 생강 : 계피 1 : 1, 1 : 3, 1 : 5와 1 : 7 복합물이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증가하였고, tight junction(TJ) permeability는 생강 : 계피 3 : 1, 1 : 1, 1 : 3과 1 : 5 복합물에서 대조군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생강: 계피 1 : 1, 1 : 5와 1 : 7 복합물은 nitrite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장내 유익균의 생육 및 장 염증 억제 활성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계피 복합물 중 생강 : 계피 1 : 5 복합물이 장내 유익균과 염증 조절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최적 복합비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저염 물김치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2-508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미생물 균총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의 경우 총 균수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염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 김치의 경우 염 농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Lactobacillus, Lenconostoc 속 균수는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추 물김치는 $4^{\circ}C$에서 염 농도 3.0% 시료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외 시료들은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가 없었다. Streptococcus 속과 Pediococcus 속은 Leuconostoc, Lactobacillus속 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배추 물김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대장균수와 Gram (-)균수는 염 농도 3.0% 김치가 균수도 적었고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젖산균이 증식하여 산도가 증가하면 그 수가 감소되었다. 효모는 발효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다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으며 온도와 염 농도가 높을수록 균수가 증가하였다. 배추 물김치에서도 $15,\;25^{\circ}C$에서 염 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비교적 높게 계수되어 무 물김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 초기부터 효모가 계수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 동정된 균은 무 물김치의 경우 젖산균류는 염 농도 0.2% 김치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entosus, Leuconostoc citrum, 염 농도 1.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pentosus, Leu.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고, 염 농도 3.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brevis,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 facium이 각각 분리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미확인되었다. Gram (-)균과 효모는 공통적으로 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ell Wall and Cytosol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Park, Kun-Young;Kim, So-Hee;Son, Tae-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29-333
    • /
    • 1998
  • Cell wall (lactic acid bacteria-sonicated precipitate ; LAB-SP) and cytosoll(lactic acid bacteria-sonicated supernatant ; LAB-SS)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kimchi fermenting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acidilactici, with Lactobacillus acidophillus isolated from yogurt. Using the Ames mutagenicity test and SOS chormotest system, the antimutagenic acitivity of those cell fractions was studied . One hundered eighty $\mu$l of LAB-SP from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excepting Pediococcus acidilactici, supressed the mutagenicity of 4-nitroquinoline-1-oxide(4-NQO) in Ames mutagenicity test and SOS chromotes system , by above 90% and 60% , respectively. LAB-SP from lactic acid bacteria also inhibited the mutagenicity mediated by 3-amino-1-methyl-5H-pyrido [4,3-b]indole (Trp-P-2).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acidphillus had higher antimutagenicity against Trp-P-2).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Lactobacillus acidphillus had higher antimutagenicity against Trp-P-2 than the other lactic acid bacteria. However, LAB-SS of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show any mutagenic activity against 4-NQO in Ames mutagenicity test and SOS chromotest systems. On the mutagenicity of MEIQ and Trp-P-2 , LAB-S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or dairy products exhibited a weaker inhibitory effect than LAB-SP of those bacteria.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whether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re viable or nonviable, antimutagenic acitivity was still effective. We suggest that the strong, antimutaganic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might be found in the cell wall fraction , rather than in the cytosol fraction.

  • PDF

Kefir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rhamnosus의 Probiotic 특성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rhamnosus Isolated from Kefir)

  • 유숙진;조진국;황성구;허강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7-3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Kefir를 $0.02\%\;NaN_3$를 포함하는 MRS agar에 도말하여 1차적으로 Lactobacillus sp.를 선발하였고, 그 중 가장 우수한 균을 최종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API kit를 이용한 당 발효성 및 생화학적 시험을 토대로 Lactobacillus rhamnosus에 $99.5\%$의 상동성을 가진 유산균종으로 동정되었다. Lactobacillus rhamnosus는 amylase와 xylanase 비활성이 0.673과 $0.288\;{\mu}mole/min/mg$으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pH 2에서 $65\%$ 이상의 강한 생존률을 나타냈고 $1.0\%$ 담즙산에서도 $72\%$가 생존하는 내성을 나타냈다. $60^{\circ}C$에서도 Lactobacillus rhamnosus는 강한 열 안정성을 나타내 대조구인 Lactobacillus acidophilus보다 100배 이상의 생존률을 보였다. 또한 Lactobacillus rhamnosus는 대장균에 첨가하여 혼합배양시 18시간 이내에 대장균을 $100\%$ 사멸시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Lactobacillus rhamnosus는 100ppm CTC, 50ppm OTC, 150ppm Lincomycin, 200ppm Tylosin에서는 생장이 억제되나 기타의 9가지의 항생제에 대하여는 강한 내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새로 분리한 Lactobacillus rhamnosus는 소화에 관련한 효소 활성이 높고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 열 안정성이 우수하며 높은 항균 활성을 함유하여 식품용 probiotics로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Analysis of the Inhibitory Effect of two Bacterial Strains on Metarhizium anisopliae Induced Fatality Rates in Protaetia Brevitarsis

  • Kwak, Kyu-Won;Nam, Sung-Hee;Park, Kwan-Ho;Lee, Heuisam;Han, Myung-S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1호
    • /
    • pp.9-14
    • /
    • 2018
  • Bacterial species,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Lactobacillus species (L. sp.5-1), are known to inhibit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Metarhizium anisopliae is a pathogenic fungal species which causes fatal damage to P. brevitarsis population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B. amyloliquefaciens and L. sp. 5-1 on M. anisopliae induced fatality rates in P. brevitarsis. Samples of M. anisopliae-infected sawdust were treated with strain B. amyloliquefaciens KACC10116, strain L. sp. 5-1 KACC19351, and a combination of the two. P. brevitarsis were fed treated sawdust samples, and their subsequent fatality rate was monitored. The fatality rate fell below 1.5% after 10 days and decreased by approximately 40% after 15 days. On average, the fatality rate decreased by 20%, compared to the control. The difference in the decrease in fatality rate between B. amyloliquefaciens treatment and L. sp. 5-1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 Results indicate that both strains exhibit high anti-fungal activity, which may be useful in environmental purification efforts. These strains may be used for effective prevention of fungal infection in P. brevitar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