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ate dehydrogenase (LDH)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9초

사육방법 및 크기에 따른 조피볼락의 혈청 화학성분 변화 (Changes of Serum Chemistry Values on Size and Cultured Method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정승희;서정수;최혜승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695-704
    • /
    • 2014
  • 조피볼락 친어 3개 그룹(서해자연산, 서해가두리양식산, 동해자연산)과 치어 5개 그룹(서해자연산, 서해육산양식산, 서해육상 가두리양식산, 서해 축제식 가두리양식산, 서해축제식양식산)에 대하여 사육방법과 크기의 차이에 따라서 9개의 혈청 화학성분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7개 항목인 총단백, 알부민, 총콜레스테롤, AST, ALT, LDH, ALP의 함량에서 친어 및 치어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즉, 총단백, 알부민, 총콜레스테롤, ALP는 친어그룹이 치어그룹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반대로 AST, ALT, LDH는 치어그룹이 친어그룹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육방법과 크기(친어, 치어)가 서로 다른 조피볼락의 생리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인(蚯蚓) 추출물이 흰쥐의 뇌허혈과 세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umbricus Extract on Cerebral Ischemia and Cells in Rats)

  • 유덕선;염승룡;권영달;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mbricus extract(LE)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in ischemic rats, further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ction of LE, and the effects that LE inhibits lactate dehydrogenase(LDH) activity in brain cells. Methods and materials : This study, ischemic rats were divided into total four group: control group(n=6), experimental group I (LE treated group)(n=6), experimental group II(LE treated group after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n=6), experimental group III(LE treated group after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n=6). And the measurement that LE inhibits LDH activity in the damage to brain cells to N-methyl-D-aspartic acid(NMDA). The changes of rCBF were determinated by laser-doppler flowmetry(LDF), and LDH activity was determinated by microplate reader in vitro. Results : 1. The rCBF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LE(10 mg/kg, i.p.)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reperfus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The rCB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LE after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1 mg/kg, i.p.),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reperfusion, compared with the LE group, and rCBF was accelerated by LE after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10{\mu}g/kg$, i.p.)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reperfus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 LE significantly inhibited LDH activity in vitro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these were suggested that Lumbricus had anti-ischemia action in connection with cyclooxygenase and might prevent the brain cells death through inhibited LDH activity.

원심성 운동 후 극저온 냉각치료 적용이 운동유발성 근육 손상 후 통증, CK 및 LDH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Whole-body cryotherapy intervention after an eccentric exercise on PPT, CK and LDH of EIMD)

  • 신성필;김하늘;전재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41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BC o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CK and LDH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injury.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In this study, thes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n=10), experiment group I (n=10) and experiment group II (n=10).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I were intervened by WBC (-130℃, 3 minutes) before induced EIMD, experimental group II were intervened by WBC (-130℃, 3 minutes) after induced EIMD and control group weren't by any intervened after induced EIMD.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the PPT,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with the lapse the time in three groups (p<.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time and group (p<.001). In the among group comparison, the PPT of experimental group II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1).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he CK,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with the lapse the time in three groups (p<.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time and group (p<.001). In the among group comparison, the CK of experimental group II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1). Third, In the comparison of the LDH,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with the lapse the time in three groups (p<.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time and group (p<.001). In the among group comparison, the LDH of experimental group II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1).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revealed that the WBC intervention after an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f muscle function after EIMD.

야생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가 이상지질혈증 흰쥐의 간 기능 대사효소의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Hepatic Functional Enzyme Activity in Dyslipidemic Rats)

  • 성종환;김민아;;김한수;이영근;김동섭;정헌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6-182
    • /
    • 2014
  •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이상지질혈증에 있어서 간 조직 및 간 기능 대사효소의 활성 변화 등에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인 NND군, 대조군에 산사 추출물을 섭취시킨 NNDH 군, 이상지질혈증군인 CDD 군, 이상지질혈증군에 산사 추출물을 섭취시킨 DDH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 활성은 모두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NND 군과 NNDH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지질혈증군인 CDD 군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이상지질혈증군에 산사 추출물을 섭취시킨 DDH 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조직학적 검사는 NND 군과 NNDH 군에서는 어떠한 이상 소견도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CDD 군에서 지방 세포의 수와 크기증가, 지방 변성 및 염증 세포 등이 관찰되었고, DDH 군에서 지방 세포의 수와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지방 변성 등이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사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분해 작용과 간 기능 개선 효과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간 보호 기능성 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이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희렴 이 뇌허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egesbckiae Herba on the Brain Ischemia)

  • 한종현;나한일;경은호;조규원;김경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643-1651
    • /
    • 2004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EGESBECKIAE HERBA extract (SHE)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MABP)〕 in normal condition and cerebral ischemic rats, an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ction of SH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SHE inhibit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neuronal cells and cytokines production in serum of cerebral ischemic ra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HE increased rCBF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MABP was not changed by SHE in normal rats. The SHE-induced increase in rCBF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IDN),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but was increased by methylene blue (MTB),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SHE inhibited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significantly in neuronal cells. rCBF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tably by SHE(10㎎/㎏, i.p.)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reperfusion, which contrasted with the findings of rapid and marked increase in control group in ischemic rats.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middle cerebral arterial occlusion(MCAO) for 1hr and reperfusion for 1hr, the sample group was decreased IL-1β produc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MCAO 1hr and reperfusion 1hr, sample group decreased TNF-α produc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lilp.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reperfusion 1hr, sample group increased TGF-β produc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serum by drawing from femoral arterial blood after MCAO for 1hr and reperfusion for 1hr, IL-10 production of the sample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HE had inhibitive effect on the brain damage by inhibited LDH activity, IL-1β and TNF-α production, but accelerated TGF-β production.

관상동맥우회술시 심근허혈후 재관류에 의한 활성산소 방어효소계의 변화 (Changes in the Myocardial Antioxidant Enzyme System by Post-Ischemic Reperfusion During Corontory Artery Bypass Operations)

  • 김응중;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50-860
    • /
    • 1996
  • 활성산소는 동물실험에서 심근 재관류손상의 중요기전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임상상황에서의 역할은 아직도 논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냉혈 심마비 액을 사용한 심근보호법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우회술 을 시행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근허혈후 재관류시 활성산소에 의한 심근의 손상 정도 및 활성 산소 방어효소계의 변동과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관상동맥우회술을 받는 환자(n=10)를 대상으로 하여 관상정 맥동 환류혈액 에서 상행대동맥 차단 전과 재관류 20분 후에 lactate dehydrogenase(LDH), creatinG phosphokinase MB 분획(CK-MB)과 malondialdehyde(MDA)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같은 시각에 심근의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GSHPX), glutathione reductase(GSSGRd) 그BT고 glucose 6- phosphate dehydrogenase(GGPDH)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관상정 맥동혈에서의 LDH(268 $\pm$40.3 to 448 $\pm$ 84.9 ml plasma)와 CK-MB(4.50$\pm$ 2.33 to 27.1$\pm$13.5 Ulml plasma)의 활성도 그리고 MDA(5.87$\pm$2.02 to 10.5$\pm$2.23 nmol/ml plsma)의 양은 상행대동맥 차단 전에 비하여 재관류 후에 현저히 증가하였으 \ulcorner심근의 SOD(13.5$\pm$4.04 to 20.7$\pm$8.56 mg protein), GSHPX(279 $\pm$)7.2 to 325$\pm$51.4 mU/mg protein) 그리고 GSSCRd(97.2$\pm$15.9 to 122 $\pm$25.1 m2/mg protein)의 활성도도 재관류후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 심근의 catalase와GSPDH의 활성도는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한편 SOD에 대한 Western blot결과 Cu, Zn-SOD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관찰 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관상동맥우회술시 상행대동맥차단에 따른 심근허혈후 재관류에 의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성 심근손상이 일어나지만 동시에 활성산소 방어효소계의 활성 또한 증가됨으로써 심근손상 의 정도가 약화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성산소 방어효소의 활성증가는효소단백의 광합성 증가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국내에서 분리된 포도상구균의 Vancomycin 내성빈도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Frequency of Vancomycin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in Korea)

  • 박성언;김종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1-208
    • /
    • 2000
  • Vancomycin은 세포벽의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glycopeptide 계 항생물질로서 그람양성세균으로 인한 감염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methicillin 내성 포도상구균의 선택적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임상검체에서도 중등도의 내성을 가지는 포도상구균 (Mu50: MIC 8 $\mu\textrm{g}$/ml)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여러 가지 여건상 국내에서도 내성균주가 분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어 임상검체 중 methcillin 내성 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vancomycin 감수성 및 내성빈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내성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107주 (株)의 methicillin 내성균주 중 23.3%가 vanc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으며 vancomycin 내성을 나타내는 표준균주인 Mu50과 Mu3의 중간 정도의 내성빈도를 보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장구균의 vancomycin 내성에 관여하는 vanA, vanB, vanC1, vanC2, vanH 특이 유전자는 증폭되지 않았다. SDS-PAGE를 실시하여 81 kDa, 58 kDa, 33 kDa, 28 kDa 등의 주요 단백 분획을 확인하였고, Mu50에서 45 kDa의 특징적인 단백 분획을 관찰하였다. LDH enzyme assay에서는 한 개의 검체가 Mu50과 함께 높은 LDH 활성을 보였다.

  • PDF

Klebsiella sp. DA71-1/pLYJ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Insoluble Phosphates Solubilizing by Klebsiella sp. DA71-1/pLYJ)

  • 류아름;이진우;이용석;이상철;정수열;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76-682
    • /
    • 2006
  • 친환경형 미생물제제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의 향상을 위하여 Staphylococcus sp. LJ2로부터 분리된 ldh gene을 Klebsiella sp. DA71-1에 도입하였고, 이를 DA71-1/pLYJ라고 명명하였다. 배지에 glucose를 3% 첨가했을 때 다른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보다 DA71-1/pLYJ 균주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각기 다른 난용성 인산염 tri-calcium phosphate, hydroxyapatite, 그리고 aluminium phosphate에 대하여 그 가용화능이 DA71-1 균주보다 적게는 1.2배, 많게는 2.3배 이상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DA71-1/pLYJ 균주는 DA71-1 균주에 비해 배양 온도에 비교적 관계없이 높은 인산가용화능을 나타낸 것이 특징적이었고, 배양초기 pH가 5.0일 때 그 능력이 가장 뛰어났다. 이러한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DA71-1/pLYJ 균주는 여러면에서 DA71-1 균주보다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뛰어나며 따라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미생물제제의 개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할 수 있다.

울금(Curcuma longa L.) 섭취가 당뇨성 흰쥐의 크레아티닌 및 간 기능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4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Supplementation on Creatinine and Hepatic Functional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오다영;이영근;김동섭;정헌식;강동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83-393
    • /
    • 2019
  • Streptozotocin (STZ, 45 mg/kg body weight)으로 유도된 Sprague Dawley (SD)계 수컷 흰쥐에 5% 울금을 섭취시켰을 때, 혈청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blood urea nitrogen (BUN)의 농도와 alkaline phosphatase (ALP), lactate dehydrogenase (LDH), aminotransferase (AST, ALT), 카탈라아제(catal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ip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본식이를 급여시킨 대조군(control)인 정상군은 BD군, 기본식이 실험군에 5% 울금 급여군(BT군), 당뇨 유발 실험군(BS군)인 질환 모델 대조군(control-diabetic)과 질환 실험군(diabetic, BS군)에 5% 울금을 급여시킨 실험군(ST군)으로 나누었다. 흰쥐의 혈청 크레아티닌 및 BUN 농도와 ALP, AST 및 ALT 활성은 유사한 경향으로 5% 울금의 급여가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SD계 수컷 흰쥐의 혈청 LDH 활성은 BS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p<0.05), 5% 울금의 급여가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카탈라아제 활성은 BS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ST군에서 활성을 증가시켰다(p<0.05). 혈청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의 활성은 5% 울금의 급여가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SD계 수컷 흰쥐를 통한 in vivo 실험에서 5% 울금의 섭취가 당뇨, 내인성 항산화 효소 및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Taurine on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and Interleukin-6 mRNA Expression in Astrocytes

  • 양성칠;백수연;최인표;이창중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3호
    • /
    • pp.467-473
    • /
    • 1997
  • Taurine (2-aminoethanesulfonic acid), one of bioactive amino acid in the mammalian brain, is known to exert inhibitory effects on neurons via GABA recepto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effects of taurine on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on hippocampal neuron cell culture using cell counting method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After 10 d of culture, cells were stimulated with appropriate drugs. Only 43% of cultured neuronal cells survived at one day after stimulation with 500 uM L-glutamate for 10 min. Survival rate was enhanced by 82% in the presence of 10 mM taurine. LDH activity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incubated with a combination of L-glutamate and taurine was less than half of that with L-glutamate alone. In the next series of experiments, interleukin-6 (IL-6) mRNA expression in cultured astrocytes was investigated using reverse tanscription-PCR (RT-PCR). IL-6 mRNA was detected in the astrocytes stimulated with L-glutam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not detected in the unstimulated control astrocytes. The expression of IL-6 mRNA caused by 10 mM glutamate was inhibited by taurine, but not by GABA. These findings demonstrated a neuroprotective action of taurine against glutamate-induced tox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