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els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24초

서울 일부 지역 학교 청소년들의 식품/영양 라벨링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연구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ood and nutrition labeling for school adolescents in Seoul)

  • 윤정윤;하애화;주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83-390
    • /
    • 2017
  • 본 연구는 식품 영양표시에 대하여 서울지역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식품/영양 라벨링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차이분석 결과는 10개의 선택속성 항목들 모두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중요도 항목은 모두 3점 이상의 점수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점수의 항목은 건강 (3.71)이다. 수행도 항목은 개인 만족 (3.23), 올바른 식습관 (3.08), 가정 교육 (3.04)만이 3점 이상의 항목이었다. 식품/영양 라벨링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각 항목별 평균 값으로 격자점을 표시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가 높고, 수행도도 높은 제1사분면에는 '건강', '체중조절 및 체중유지', 4 (올바른 식습관), 6 (개인 만족)이 나타났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은 속성이 속하는 제2사분면에는 어느 속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10개의 식품/영양 라벨링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항목은 2개의 요인 (식품/영양표시의 '건강 및 영양 관련요인', '매체, 교육 및 외부영향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 2개 요인의 중요성 과 '전반적인 만족도'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적용된 2개의 중요도 모두 전반적인 만족도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식품/영양 라벨링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고, 정부, 관련기관 및 기업의 식품 라벨링 성분이나 영양 라벨링에 대한 관심과 개선 역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탁주의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조사 및 탁주 영양성분 표시 제도화 방안 (Consumer Awarenes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Nutrition Labeling for Takju)

  • 박상현;김수정;김보람;윤현주;홍정미;안용선;김종수;한상배;윤요한;주나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9-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s for establishing and enforcing legal nutrition labeling for Takju based on results from consumer awareness surveys, statistical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ents. The statistical model developed with consumer survey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ould like to know the nutrients they intake from drinking Takju, as their awareness about Takju was low. Specifically, consumers would like to see information regarding alcohol content, calories, carbohydrates, and saccharides on the label. Structural equations from the research model showed that consumers who had some knowledge of Takju also had positive thoughts of the nutrition fact labels for Takju. Evaluation of nutrients in Takju showed that the starch sources and other ingredients used in Takju fermentation did not influence nutrient fact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lso varied among the different Takju.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methods for consumers to make reasonable selections and to inform them of the nutrition fact labeling for Takju. Benners and pop-up were manufactured to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ompanies and to provide nutrition facts from Takju. Eventually, a measure was suggested to establish and enforce nutrition labeling, using results from consumer and nutrient surveys of Takju.

접착제의 구조물성과 접착특성 (Structure/Property of Adhesives and Adhesion Performance)

  • Hiroshi Mizumachi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1호
    • /
    • pp.73-83
    • /
    • 1997
  • Most of the materials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also in our daily life are multi-component materials or composite materials,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adhesion between the constituents within the bonded systems plays an important ro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evaluation tests for the bonded materials, among which tests for evaluating the bond performance under various conditions may be regarded as the most interesting ones for those engaged in work related to adhesion. I have studied on the mechanism of adhesion form the rheological standpoint with my colleagues, including some students from Korea, and I am very happy to be able to have a talk on some of our research works. In Japan, the so-called "adhesive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adhesive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Adhesives are the materials which solidify after bonding and are after used as the structural adhesives because the adhesive strength is comparatively strong.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never solidify and are used as PSA tapes, labels or decals. About the adhesives, we have examined the dependence of adhesive strength(shear, tensile, peel) upon both temperature and rate of deformation, and found out some empirical rules which are applicable to most of the adhesive systems. We have also developed a simplified theory of adhesion, which is deseribed in terms of mechanical equivalent mode1 and a few failure criteria. Although some of the common rules can be accounted for according to this theory, it must be pointed out that a fracture mechanical approach ms inevitable especially in the region where the meehanical relaxation time of the adhesive is extremely large [W. W. Lim and H. Mizumachi]. Abou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e have studied on the PSA performance (peel, tack, holding power) as a function of both the viscoelastic properties and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and found out some rules, and again we have developed a theory which deseribes the mechanism. And in addition, we have studied on the miscibility between linear polymers and oligomers, because PSA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blending gums and tackifier resins. Many phase diagrams have been found and some of them have been analyzed on thermodynamic basis, and it became evident that the miscibil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SA [H. J. Kin and H. Mizumachi]. In this presentation, I wa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adhesion perform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property of the adhesives.adhesives.

  • PDF

충북 일부지역 여자 중학생의 체형 인식도에 따른 식습관, 체형 만족도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Habits, Body Satisfac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by Body Image of Middle School Girl Students in Chungbuk Area)

  • 연지영;신기용;이순규;이혜영;강백원;박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42-456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body satisfac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body image of middle school girl students (n = 284).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lean, normal and fat groups according to body image. The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the score of body im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ents who recognized their body image as 'fat'. The satisfaction of present body im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udents who recognized their body image as 'lean'. The interest in weight control and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ents who recognized their body image as 'fat'.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higher in all groups (lean 67.2%, normal 59.0% and fat 52.8%). The products used to feel sweetened were sweetened ice (68.7%), processed milk (68.3%), confectionery (62.3%), carbonated beverage (55.3%), fermented milk (38.0%) and none (6.0%).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fruit juices and fried fo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compared to 'f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snack and nutritional knowledg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core of body im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snack consumption in the 'lean'. The score of body ima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dentification of nutrition labels and an interest in weight control bu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f present body image in the 'fat'.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middle school girl students need correct recognition of body image and continuous and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dietary habits.

Monitoring of the Source of Gelatin in Dietary Supplement Capsules Sold on the Internet

  • Kang, Tae Sun;Kim, Mi-Ra;Hong, Yewon;Lee, Jae-Hwang;Kwon, Kis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4-261
    • /
    • 2017
  •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젤라틴 캡슐 제품은 소비자의 건강(예: 광우병) 및 종교적 신념에 대한 우려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젤라틴은 대부분 소, 돼지 등에서 유래한 원료물질을 가공한 것으로서, 가공 후 그 원료 물질을 분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정부 규제기관의 표시사항 준수여부 모니터링 연구가 주기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유통되는 건강기능식품(n = 181)을 대상으로 젤라틴 캡슐의 원료 물질을 종 특이 PCR 방법으로 분석했다. 55개 제품의 경우 표시사항에 젤라틴 캡슐원료 물질에 대한 정보를 명시하였으나(예: bovine-, fish-and plant-derived gelatin), 126개 제품의 경우 사용 원료에 대한 정보 없이 "gelatin"으로 표시하였다. 이 126개 제품의 젤라틴 캡슐 분석 결과 51개 제품은 소 유래의 젤라틴을, 31개 제품은 돼지 유래의 젤라틴을, 그리고 44개 제품은 소와 돼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작한 블렌딩 젤라틴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소비자의 알 권리, 종교적 신념 및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젤라틴 캡슐에 사용된 원료 물질을 표시사항에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인천 지역 대학생의 커피 이용실태와 관련된 식습관, 식이섭취 및 식사의 질 (Dietary habits score,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related to coffee consumption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 이윤주;유정순;장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6호
    • /
    • pp.560-5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score,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with regard to coffee consumption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reports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190 subjects, comprised with 101 male and 89 female college students. We classified these subjects into three groups using percentile of coffee intake to assess the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The correlations among coffee intake, food habits score,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evaluated. The average coffee intake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156.8 mL and 157.4 mL, respectively. The coffee preferences with respect to specialty coffee were caramel macchiato, cafe latte, americano, cafe mocha, and cappucino in male college students, and caramel macchiato, americano, cafe mocha, cafe latte, and cappucino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 preference order. The coffee intake motivation score of the high 1/3 percentile group according to coffee intak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 1/3 percentile group according to coffee intake in emotion motivation and utilitarian motivation. The highest scores were 'flavor and aroma' in emotion motivation, and 'prevention of sleepness' in utilitarian motivation. The average food habits score of "I often eat the natural fo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1/3 percentile group according to coffee intake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ffee intake and 'I purchase the processed food after examining nutrition labels' of food habits score (r = 0.280; p < 0.01)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energy intake of the high 1/3 percentile group according to coffe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at of the moderate 1/3 percentile group according to coffee intake in male college students (p < 0.05).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to undergo a well-planned nutrition education regarding proper coffee intake, choice of coffee, energy intake related to coffee intake, and dietary habits.

주부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분석 및 저나트륨 식사 방법의 실천용이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Practicability of Guidelines for Reducing Sodium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Housewives)

  • 안소현;권종숙;김경민;윤진숙;강백원;김종욱;허석;조해영;김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24-736
    • /
    • 201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odium-related perception, dietary behavior, and practicability of methods for reducing sodium intake(RSI)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consu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770 housewives, among them 553 subjects who answered the key questions for the stage of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Maintenance (M)' stage (maintaining reduced salt intake for more than 6 months; n = 287, 51.90%), 'Action (A)' stage (maintaining reduced salt intake for less than 6 months; n=139, 25.14%), and 'Pre-Action (P)' stage (not starting reduced salt intake; n = 127, 22.97%). The subjects in M and A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those in P (p < 0.01). The scores of desirable dietary habit and dietary balance were the highest in M followed by A and P. When eating out, the subjects in P considered 'price' more and 'healthiness of food' less than those in M and A did. Among the guidelines for RSI, 'Avoid Processed Foods', 'Eat enough vegetables and fruits' and 'Add little amount of dipping sauce for fried food' were selected as the three easiest items to perform. With regard to the sodium-related perception, the subjects in M considered eating-out food to be more salty than homemade dishes, read nutrition labels more, avoided table salt or dipping sauce for fried food more, and had 'own low-sodium recipe' than those in P (p < 0.001). It is suggested that practicability of actions for RSI and the stage of change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effective personalized education program and nutrition guidance.

생물학적 영상 분석을 위한 자동 모바일 셀 계수 시스템 (An Automatic Mobile Cell Counting System for the Analysis of Biological Image)

  • 서재준;전준철;이진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9-4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미세세포 영상으로부터 셀을 자동 검출하고 계수하는 자동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셀 카운팅은 생물학 또는 병리학적 영상분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과거에는 셀 카운팅은 수동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어 매우 지루하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었다. 이에 더하여 수동 계수 방법은 정확한 카운팅 결과를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정확하고 일관된 셀 검출과 카운팅 결과를 생물학적인 영상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방법이 필요하다. 제안된 다단계 셀 계수방법은 배양된 세포영상으로부터 셀을 자동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셀의 위상학적 분석을 통하여 셀을 라벨링 한다. 셀 카운팅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워터쉐드 알고리듬에 의하여 서로 덩어리로 뭉쳐진 셀을 서로 분리하고 모폴로지 연산을 통하여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개별 셀의 형태를 개선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따라서 셀 영상은 모바일 폰의 카메라로 획득하며 미세세포의 통계학적인 분석 데이터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전송 된다. 실험을 통하여 수동으로 계수한 셀의 숫자와 제안된 방법에 의해 자동 카운팅 된 셀의 수를 비교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제시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밀가루 및 건면의 지방질 조성과 측정 방법에 따른 조지방 함량 차이 (Lipid Composition and Differences in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according to Determination Methods)

  • 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1-385
    • /
    • 2010
  • 밀가루 및 5종의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Soxhlet법을 비롯한 5종의 측정 방법과 3종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가루에서는 0.09~1.37%, 건면에서는 0.07~1.36%의 조지방이 정량되었다. 이와 같이 밀가루와 건면에서 그 측정 방법에 따라 조지방 함량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지방질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시중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5종의 겉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양성분표를 살펴 본바, 조지방 함량은 0~1.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밀가루와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질의 종류 및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밀가루에는 1.02%의 유리 지방질과 0.21%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건면에는 0.95~1.01%의 유리 지방질과 0.21~0.25%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58.5%, 33.6% 및 8.6%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49.2~58.2%, 33.3~41.6% 및 8.5~9.3% 범위였다. 또한,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결합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16.7%, 33.5% 및 49.5%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13.2~15.3%, 35.6~45.7% 및 41.6~49.4%로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각 지방질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지방질 조성 및 함량에 따라 밀가루 및 건면에서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가수분해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약한 레이블을 이용한 확장 합성곱 신경망과 게이트 선형 유닛 기반 음향 이벤트 검출 및 태깅 알고리즘 (Dilated convolution and gated linear unit based sound event detection and tagging algorithm using weak label)

  • 박충호;김동현;고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14-423
    • /
    • 2020
  • 본 논문은 약한 레이블 기반 음향 이벤트 검출을 위한 시간-주파수 영역분할 맵 추출 모델에서 발생하는 희소성 및 수용영역 부족에 관한 문제를 완화 시키기 위해, 확장 게이트 선형 유닛(Dilated Convolution Gated Linear Unit, DCGLU)을 제안한다. 딥러닝 분야에서 음향 이벤트 검출을 위한 영역분할 맵 추출 기반 방법은 잡음 환경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영역분할 맵을 추출하기 위해 특징 맵의 크기를 유지해야 하므로 풀링 연산 없이 모델을 구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방법은 희소성과 수용영역의 부족으로 성능 저하를 보이게 된다. 이런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 선형 유닛과 추가의 파라미터 없이 수용영역을 넓혀 줄 수 있는 확장 합성곱 신경망을 적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는 URBAN-SED와 자체 제작한 조류 울음소리 데이터이며, 제안하는 DCGLU 모델이 기존 베이스라인 논문들보다 더 좋을 성능을 보였다. 특히, DCGLU 모델이 자연 소리가 섞인 환경인 세 개의 Signal to Noise Ratio(SNR)(20 dB, 10 dB, 0 dB)에서 강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