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III)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2초

$CH_3$OH용매에서 란탄족 원소{Ln(III)=Pr, Sm, Gd, Dy}-거대고리 착물과 한자리 리간드 간의 화학평형(제1보) (Chemical Equilibria of Lanthanides{Ln(III)=Pr, Sm, Gd, Dy}-Macrocyclic Complexes with Monodentate Ligands in $CH_3$OH(Part I))

  • 변종철;박유철;박신복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7-263
    • /
    • 1999
  • 2,6-diformyl-p-creso1(DFPC)로부터 합성한 Ln-거대고리([20]DOTA) 착물, [Ln([20]DOTA)(NO3)(H2O)](NO3)2 xH2O{Ln(III)=Pr, Sm, Gd, Dy}를methanol용매에 2일정도 정치함으로써 [Ln([20]DOTA)(NO3)(CH3OH)]2+을 얻을 수 있다. 이 lanthanide-거대고리 착물에서 배위 된 CH3OH이 주게원자가 N인 보조리간드,La(=한자리 리간드;pyidine, imidazole, triethylamine, diethylamine, piperidine)에 의해 치환될 때 평형상수(K)를 25 oC, ㅒ=0.1M에서 분광학적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보조리간드의 pKa는 pyridine

  • PDF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Phylogenic Analysis of Conserved Genes within the p74 Gene Region of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Genome

  • Rashidan, Kianoush Khajeh;Nassoury, Nasha;Giannopoulos, Paresa N.;Mauffette, Yves;Guertin, Claude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700-708
    • /
    • 2004
  • The genes located within the p74 gene region of the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ChfuGV) were identified by sequencing an 8.9 kb BamHI restriction fragment on the ChfuGV genome. The global guanine-cytosine (GC) content of this region of the genome was 33.02%. This paper presents the ORFs within the p74 gene region along with their transcriptional orientations. This region contains a total of 15 open reading frames (ORFs). Among those, 8 ORFs were found to be homologues to the baculoviral ORFs: Cf-i-p , Cf-vi, Cf-vii, Cf-viii (ubiquitin), Cf-xi (pp31), Cf-xii (lef-11), Cf-xiii (sod) and Cf-xv-p (p74). To date, no specific function has been assigned to the ORFs: Cf-i, Cf-ii, Cf-iii, Cf-iv, Cf-v, Cf-vi, Cf-vii, Cf-ix and Cf-x. The most noticeable ORFs located in this region of the ChfuGV genome were ubiquitin, lef-11, sod, fibrillin and p74. The phylogenetic trees (constructed using conceptual products of major conserved ORFs) and gene arrangement in this region were used to further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the members of the granulovirus genus. Comparative studies demonstrated that ChfuGV along with the Cydia pomonella granulovirus (CpGV), Phthorimaea operculella granulovirus (PhopGV), Adoxophyes orana granulovirus (AoGV) and Cryptophlebia leucotreta granulovirus (ClGV) share a high degree of amino acids sequence and gene arrangement preservation within the studied region. These results support a previous report, which classified a granuloviruses into 2 distinct groups: Group I: ChfuGV, CpGV, PhopGV and AoGV and Group II: Xestia c-nigrum granulovirus (XcGV) and Plutella xylostella granulovirus (PxGV). The phylogenetic and gene arrangement studies also placed ClGV as a novel member of the Group I granuloviruses.

류마티스성 승모판막질환과 동반된 만성 심방세동 치료에 대한 변형 Maze 술식의 결과 (Outcomes of the Modified Maze Procedure for Chronic Atrial Fibrillation Combined with Rheumatic Mitral Valve Disease)

  • 백만종;김재현;서홍주;이창하;오삼세;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681-691
    • /
    • 2006
  • 배경: 본 연구에서는 류마티스성 승모판막질환과 동반된 만성 심방세동의 치료에서 냉동절제술을 이용한 변형 maze 술식들의 동율동 회복률 및 중기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류마티스성 승모판막질환과 동반된 만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승모판막수술과 동시에 냉동절제술을 이용하여 변형 maze술을 받은 1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ox-maze III (CM군, n=88), Kosakai-maze (KM군, n=63), 그리고 Left atrial maze (LA군, n=26) 세 군으로 분류하여 수술 전, 후 결과 및 동율동 회복률과 중기 결과에 대해 후향조사하였다. 결과: 술 후 병원 사망은 CM군 2명(2.3%)과 KM군 1명(1.6%)을 포함한 3명(1.7%)에서 있었으며 술 후 합병증 발생률에서 세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총 체외순환 및 대동맥차단 시간은 CM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p<0.0001). 생존자 174명에서 평균 $22.4{\pm}15.1$개월($1\sim52.6$개월)을 추적조사한 결과 만기 사망은 CM군 1명(0.6%)에서 있었다. 마지막 추적조사에서 동율동 회복률은 전체환자의 79.9%, CM군 77.9%, KM군 80.7% 그리고 LA군에서는 84.6%였다(p=0.743). 술 후 4년 동안 뇌졸중으로부터의 자유도는 CM군 $84.6{\pm}9.4%$, KM군 $95.0{\pm}:4.9%$ 그리고 LA군에서는 $92.9{\pm}6.9%$였다(p=0.916). 결론: 류마티스성 승모판막질환과 동반된 만성 심방세동 치료에서 승모판막수술과 동반하여 시행하는 냉동절제술을 이용한 변형 maze 술식들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심방세동 치료에 효과적이다.

수도의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 연관분석 (Linkage Analysis of the Resistance Genes to Whitebacked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Horvath) in Rice)

  • 이영태;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6-151
    • /
    • 1984
  • 수도에 있어서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N22(Wbphl)와 ARC 10239(Wbph2)의 흰등멸구 저항성 유전자의 연관 분석을 하기 위하여 V번 연관군을 제외한 11개 연관군의 표식 유전자를 가진 semi-dwarf 초형의 검정친과 N22및 ARC10239와의 교잡 F$_2$세대에서 12개 표식 유전자의 유전양식을 조사하고 F$_3$ 세대에서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의 분리를 조사하여, 이들을 이용하여 연관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22와 검정친들과의 교잡 세대 F$_2$에서 lg, d-t, g, la, nl, bl, gl 둥은 우성과 열성이 3 : 1로, Bh는 9 : 7로 이론치에 맞게 분리하였으며, Cl, gh, Lh, bc 등 4개 형질은 오차가 컸지만 대체로 이론분리비에 비슷한 분리비를 보였다. 2. ARC 10239와 검정친들과의 조합 F$_2$에서 Cl, lg, Pn, g, la, bl, gl 등은 우성과 열성이 3 : 1로, Bh는 9 : 7로 분리하였으며, gh, Lh, nl, bc 등은 이론분리에 비하여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3. N22의 Wbph1 유전자와 ARC 10239의 Wbph 유전자는 단순우성유전자이었으며 저항성 계통, 분리계통 및 감수성 계통의 분리비는 모든 조합에서 1 : 2 : 1 의 이론치에 합당하였다. 4. Wbph1은 II번 연관군의 liguleless (lg)와 36.8%의 조환가로 연관되어 있으며 Black hull(Bl)과도 35.9%의 조환가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h는 II번 연관군의 Ph(Phenol staining)와 보족적으로 발현됨 을 고찰하였다. 5. Wbph 2는 검정된 I,II,III,IV,VI,VII,VIII,IX,X,XI,XII번 연관군의 Cl, lg, Pn, g, gh, Lh, la, nl, bl, bc, gl, Bh와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상에서 흰등멸구 저항성 유전자 Wbph2의 연관관계가 분명하지 못한 것은 사용된 Marker 유전자가 염색체상에서 저항성 유전자와 원거리에 있거나 Marker 형질의 발현특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7. Wbph2의 연관관계는 본 실험에서 검토되지 못한 V번 연관군을 포함하여 독립성 검정에서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난 Ⅶ, Ⅷ, Ⅹ 및 XII 번 연관군과의 조합에 대하여는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elderly patients with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 Kang, Ki Mun;Jeong, Bae Kwon;Ha, In Bong;Chai, Gyu Young;Lee, Gyeong Won;Kim, Hoon Gu;Kang, Jung Hoon;Lee, Won Seob;Kang, Myoung He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140-145
    • /
    • 2012
  • Purpose: Combined chemoradiotherapy is standard management for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LA-NSCLC), but standard treatment for elderly patients with LA-NSCLC has not been confirmed yet.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for elderly patients with LA-NSCLC.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with LA-NSCLC, 36 patients, who underwent CCR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3-5 times with 4 weeks interval during radiotherapy. Thoracic radiotherapy was delivered to the primary mass and regional lymph nodes. Total dose of 54-59.4 Gy (median, 59.4 Gy) in daily 1.8 Gy fractions and 5 fractions per week. Results: Regard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complete response, partial response, and no response were shown in 16.7%, 66.7%, and 13.9%, respectively. The 1- and 2-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58.2% and 31.2%,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was 15 months. The 1- and 2-year progression-free survivals (PFS) were 41.2% and 19.5%, respectively, and the median PFS was 10 months. Regarding to the toxicity developed after CCRT, pneumonitis and esophagitis with grade 3 or higher were observed in 13.9% (5 patients) and 11.1% (4 patients), respectively. Treatment-related death was not observed. Conclusion: The treatment-related toxicity as esophagitis and pneumonitis were noticeably lower when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results, and the survival rate was higher than radiotherapy alone. The results indicate that CCRT is an effective in terms of survival and treatment related toxicity for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ld with LA-NSCLC.

Polymorphism of Bovine Lymphocyte Antigen DRB3.2 Alleles in Iranian Native Sarabi Cows

  • Pashmi, M.;Ghorashi, S.A.;Salehi, A.R.;Moini, M.;Javanmard, A.;Qanbari, S.;Yadranji-Aghdam,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775-778
    • /
    • 2006
  • Sarabi cows (n = 136) from the Sarabi Breeding Station were genotyped at bovine lymphocyte antigen (BoLA)-DRB3.2 locus by a genotyping system that used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samples. A two-step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mplify a 284 base-pair fragment of target gene. Nested-PCR products were digested with three restriction endonuclease enzymes RsaI, BstYI and HaeIII. Digested fragments were analyzed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wenty-six BoLA-DRB3.2 alleles were identified with frequencies ranging from 0.4 to 15.1%. Six new allele types observed in this study have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dentified alleles include: BoLA-DRB3.$2^*1$, $^*2$, $^*4$, $^*6$, $^*8$, $^*12$, $^*13$, $^*14$, $^*15$, $^*16$, $^*17$, $^*23$, $^*24$, $^*25$, $^*28$, $^*32$, $^*34$, $^*35$, $^*36$, $^*37$, $^*42$, $^*46$, $^*51$, $^*kba$, $^*laa$ and $^*vaa$. Their frequencies were found to be 0.4, 0.4, 0.7, 11.4, 1.1, 1.8, 2.9, 2.2, 4.4, 9.6, 1.1, 13.6, 0.4, 0.4, 1.1, 0.7, 0.4, 6.2, 2.2, 3.7, 1.1, 7.7, 1.5, 15.1, 2.6 and 7.3% respectively. The six most frequent alleles (DRB3.2 $^*6$, $^*16$, $^*23$, $^*46$, $^*kba$ and $^*vaa$) accounted for 64.7% of the alleles in the population of this herd. Numerous studies on this locus, covering different breeds, has revealed the existence of various alleles in this locus, and new investigations have introduced novel alleles. With respect to the high number of the observed alleles in this survey and the novelty of some alleles with no previous record of reporting, it is plausible to conclude that the BoLA-DRB3.2 locus is highly polymorphic in Iranian native Sarabi cows.

배추흰나비 5령유충의 뇌신경내분비계의 구조 (Architecture of Cerebral Neuroendocrine System in the Lawa of Cabbage Butterfly Pieris rapue)

  • 이봉희;윤혜련심재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5-292
    • /
    • 1993
  • This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clarify structural architecture of cerebral neuroendocrine systems in the fifth instar lanra of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In order to examine the cerebral neurosecretorv cell systems the brain and retrocerebral neuroendocrine complex were histochemically stained with the paraldehvde fuchsin. The brain of the fifth instar laMa contains three kinds of neurosecretorv cells: medial, lateral and tritocerebral neurosecretorv cells. The axon bundles of medial and lateral neurosecretory cells form medial neurosecretory pathway(MNSP) and lateral neurosecretorv pathwav(LNSP) within the brain respectively. Especially, prior to exiting the brain, the axon bundles of medial neurosecretorH cells located in both left and right cefebral hemispheres decussate in cerebral medial region and project to contralateral retrocerebral neuroendocrine complexes. Outside the brain the axon bundles of medial and lateral neurosecretory cells form the nenri corporis cardiaca(NCC) I and II respectively. The NCC I and ll run together to the retrocerebral neuroendocrine complex, forming the large nenre bundles in both left md right sides. The anon bundles of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s which pass through the brain along the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pathway (TNSP) form the Ncc III outids the train. some of the Ncc I and it terminate in the corpus cardiacum, while the others pass through the corpus cardiacum without termination. The nerve bundle which passes the corpus cardiacum forms the nenrus corforis allatum(NCA) I which runs between the corpus cardiacum and the corpus allatum. Theyt are finally innervated to the corpus allatum. The Ncc III Projects to the corpus cardiRcum. However, most of NCC III priss through the corpus cardiacum without branching and then run down for another organ.

  • PDF

최근 국내에서 유행하는 뉴캣슬병 바이러스의 특성 고찰 (Characteristics of Recent Epidemic Strains of Newcastle Disease Virus in Korea)

  • 최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9-99
    • /
    • 2010
  •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까지 3년 내지 5년 간격으로 주기적인 뉴캣슬병 대유행을 겪어왔다. 이 시기에 최소한 5개의 다른 유전자형의 뉴캣슬병 바이러스가 국내 뉴캣슬병 대유행과 관련이 있었다. 1970년대 이전엔 유전자형 III형, 1980년대 중반에 유전자형 V형,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에는 유전자형 VI형, 1990년대 중반에 유전자형 VIIa형, 그리고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에는 유전자형 VIId형이 관련되어 있었다. 최근 국내에서 유행한 뉴캣슬병 바이러스는 중국과 일본과 같은 인근국가와 지리적인 공통점을 보였다. 과거 유행했던 다른 유전자형과 마찬가지로, 유전자형 VIId형 또한 내장친화성 강독 뉴캣슬병 바이러스였다. 현재 사용 중인 백신주와 최근 유행하는 VIId형 바이러스간에 항원적 차이는 존재하지만, 시판 백신에 의한 방어 효능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Dodecanoyl, N-Methyl Glucamine (GL-12)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lubilizing Capacity of GL-12 and Anionic Surfactant Mixtures)

  • 안호정;오성근;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881-8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유용성 염료인 sudan III를 이용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GL-12와 범용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linear laurylbenzene sulfonate(LAS) 또는 sodium polyoxyethylene(3) glycol lauryl ether sulfate (SLES) 혼합 용액의 가용화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계면활성제 혼합계 (GL-12/LAS, GL-12/SLES)의 가용화력은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GL-12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용화력도 증가 하였다. 용액의 가용화력에 NaCl이 미치는 영향으로부터 GL-12/LAS계에서는 solubilizate인 sudan III가 가용화 후 미셀내 palisade 층 근처에 위치하고 GL-12/SLES 혼합계에서는 solubilizate가 미셀의 core부근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LAS와 SLES의 분자구조 차이에 기인한다.

  • PDF

알루미늄-황토 복합체의 인 제거 특성 (Phosphorus Removal Characteristic of the Aluminum (III)-loess Composite)

  • 신관우;김진식;김금용;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30-535
    • /
    • 2011
  • 본 연구는 호소의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개발된 알루미늄-황토 및 란타늄-황토 복합체의 흡착 특성을 평가 하였다. 연구 결과 황토 1 g에 주입된 알루미늄과 란타늄 양이 증가할수록 결합된 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알루미늄과 란타늄이 첨가되지 않은 황토와 0.5, 1, 2 mg의 알루미늄과 0.5, 1, 3 mg의 란타늄이 첨가된 복합체를 사용한 경우에 인 제거효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중의 인 1 mg $PO_4^{3-}$-P/L를 모두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양은 알루미늄-황토 복합체가 순수 황토에 비하여 약 2~10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란타늄-황토의 경우에는 약 1.5~10배 적게 요구되었다. 제조된 알루미늄-황토, 란타늄-황토 복합체를 수세한 후에 인 흡착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복합체를 1~3회까지 수세한 후 결과를 관찰하였는데 수세전과 비교하여 인 제거효율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pH에 따른 영향은 pH 5~8에서 높은 인 제거율을 보임으로써 개발된 복합체는 일반 자연수계에 살포시 탁월한 인 제거 효능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조된 알루미늄-황토 및 란타늄-황토 복합체는 30분 이내에 빠르게 침전되기 때문에 호소 바닥에서 빠른 시간 내에 안정화 되어 수중의 인과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인 제어를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