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STM 언어모델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Frame-semantics and Argument Disambiguation of Korean FrameNet using Bi-directional LSTM (중첩 분할된 양방향 LSTM 기반의 한국어 프레임넷의 프레임 분류 및 논항의 의미역 분류)

  • Hahm, Younggyun;Shin, Giyeo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52-35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프레임넷 분석기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국어 프레임넷 데이터를 가공하여 공개하고, 한국어 프레임 분류 및 논항의 의미역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프레임넷은 단어 단위가 아닌 단어들의 범위로 구성된 범위에 대해 어노테이션된 코퍼스라는 점에 착안하여, 어휘 및 논항의 내부 의미 정보와 외부 의미 정보, 그리고 프레임과 각 의미역들의 임베딩을 학습한 중첩 분할된 양방향 LSTM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프레임 분류에서 72.48%, 논항의 의미역 분류에서 84.08%의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프레임넷 데이터의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 PDF

Automatic sentence segmentation of subtitles generated by STT (STT로 생성된 자막의 자동 문장 분할)

  • Kim, Ki-Hyun;Kim, Hong-Ki;Oh, Byoung-Doo;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59-560
    • /
    • 2018
  • 순환 신경망(RNN) 기반의 Long Short-Term Memory(LSTM)는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모델이다. 음성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Speech to Text (STT)를 이용해 자막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막을 다른 언어로 동시에 번역을 해주는 서비스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TT를 사용하여 자막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마침표가 없이 전부 연결된 문장이 생성되기 때문에 정확한 번역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자막의 자동 번역 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텍스트를 문장으로 분할하여 마침표를 생성해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때, LST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테스트한 결과 62.3%의 정확도로 마침표의 위치를 예측했다.

  • PDF

Improved Deep Biaffine Attention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을 위한 개선된 Deep Biaffine Attention)

  • O, Dongsuk;Woo, Jongseong;Lee, Byungwoo;Kim, Kyung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608-610
    • /
    • 2018
  •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Dependency Parsing)은 문장 어절의 중심어(head)와 수식어(modifier)의 의존관계를 표현하는 자연어 분석 방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의존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주의 집중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과 LSTM(Long Short Term Memory)을 결합한 모델들이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Biaffine Attention 의존 구문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기존의 Biaffine Attention에서 의존성과 의존 관계를 결정하는 방법을 개선하였고,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을 위한 입력 열의 형태소 표상을 확장함으로써 기존의 모델보다 UAS(Unlabeled Attachment Score)가 0.15%p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A Pipeline Model for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and Part-of-Speech Tagging Using Sequence-to-Sequence and BERT-LSTM (Sequence-to-Sequence 와 BERT-LSTM을 활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 파이프라인 모델)

  • Youn, Jun Young;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14-417
    • /
    • 2020
  • 최근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에 관한 연구는 주로 표층형에 대해 형태소 분리와 품사 태깅을 먼저하고, 추가 언어자원을 사용하여 후처리로 형태소 원형과 품사를 복원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을 두 단계로 나누어, Sequence-to-Sequence를 활용하여 형태소 원형 복원을 먼저 하고, 최근 자연어처리의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BERT를 활용하여 형태소 분리 및 품사 태깅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단계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였고, 제안하는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 파이프라인 모델은 음절 정확도가 98.39%, 형태소 정확도 98.27%, 어절 정확도 96.31%의 성능을 보였다.

  • PDF

Verification of Transliteration Pairs Using Distance LSTM-CNN with Layer Normalization (Distance LSTM-CNN with Layer Normalization을 이용한 음차 표기 대역 쌍 판별)

  • Lee, Changsu;Cheon, Juryong;Kim, Joogeun;Kim, Taeil;Kang, Inho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76-81
    • /
    • 2017
  • 외국어로 구성된 용어를 발음에 기반하여 자국의 언어로 표기하는 것을 음차 표기라 한다.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외국어에 기원을 두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해 뉴스 등 다양한 웹 문서에서는 동일한 발음을 가지는 외국어 표기와 한국어 표기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좋은 검색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외국어 표기와 더불어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다양한 음차 표기를 함께 검색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차 표기 모델과 음차 표기 대역 쌍 추출을 통해 음차 표현을 생성하는 기존 방법 대신, 본 논문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음차 표현을 찾기 위해 문서에서 음차 표기 후보를 찾고, 이 음차 표기 후보가 정확한 표기인지 판별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다양한 딥러닝 모델을 비교,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음차 표기 대역 쌍 판별에 특화된 모델인 Distance LSTM-CNN 모델을 제안하며, 제안하는 모델의 Batch Size 영향을 줄이고 학습 시 수렴 속도 개선을 위해 Layer Normalization을 적용하는 방법을 보인다.

  • PDF

A typing error-robust Korean POS tagging using Hangul Jamo combination-based embedding (오타에 강건한 자모 조합 임베딩 기반 한국어 품사 태깅)

  • Seo, Dae-Ryong;Chung, Youjin;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03-208
    • /
    • 2017
  • 본 논문은 한글 자모 조합 임베딩을 이용하여 오타에 강건한 한국어 품사 태깅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최근 딥 러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자질을 직접 추출해야 하는 기존의 기계학습 방법이 아닌, 스스로 자질을 찾아서 학습하는 딥 러닝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딥 러닝 모델 중에서 sequence labeling에 강점을 갖고 있는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였다. 한국어 품사 태깅 문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절 임베딩은 약간의 오타에도 품사 태깅 성능이 크게 하락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글 자모 임베딩 값을 조합시킨 음절 임베딩 방식을 제안하였다. 강제로 오타를 발생시킨 테스트 집합에서 실험한 결과, 자모 조합 임베딩 기법이 word2vec 음절 임베딩 방식에 비해 형태소 분할은 0.9%, 품사 태깅은 3.5% 우수한 성능을 기록하였다.

  • PDF

Goal Oriented Dialogue System Based on Deep Recurrent Q Network (심층 순환 Q 네트워크 기반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

  • Park, Geonwoo;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47-150
    • /
    • 2018
  •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은 자연어 이해, 대화 관리자, 자연어 생성과 같은 세분화 모델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있어 하위 모델에 대한 오류 전파에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어 이해 모델과 대화 관리자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오류에 강건한 심층 Q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의 전체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는 순환 신경망인 LSTM에 심층 Q 네트워크 적용한 심층 순환 Q 네트워크 기반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심층 순환 Q 네트워크는 LSTM, 심층 Q 네트워크보다 각각 정밀도 1.0%p, 6.7%p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Korean Dialogue Modeling using MTRNN (MTRNN을 이용한 한국어 대화 모델 생성)

  • Shin, Chang-Uk;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85-28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Multi-layer sequence-to-sequence 구조를 이용해 한국어 대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sequence-to-sequence는 RNN 혹은 그 변형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이 완료된 후의 은닉층의 embedding에 기반해 출력열을 생성한다. 우리는 sequence-to-sequence로 입력된 발화에 대해 출력 발화를 내어주는 대화 모델을 학습하였고,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RNN에 대해서는 약 80만 발화를, MTRNN에 대해서는 5만 발화를 학습하고 평가하였다. 모델의 결과로 나타난 발화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 PDF

Design of LSTM-based Model for Extracting Relative Temporal Relations for Korean Texts (한국어 상대시간관계 추출을 위한 LSTM 기반 모델 설계)

  • Lim, Chae-Gyun;Jeong, Young-Seob;Lee, Young Jun;Oh, Kyo-Joong;Choi, Ho-Ji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01-304
    • /
    • 2017
  • 시간정보추출 연구는 자연어 문장으로부터 대화의 문맥과 상황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한국어의 고유한 언어적 특성으로 인해 한국어 텍스트에서는 개체간의 시간관계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특히, 시간표현이나 사건에 대한 상대적인 시간관계는 시간 문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자연어 문장에서 상대적인 시간표현과 사건 간의 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반의 상대시간관계 추출 모델을 제안한다. 시간정보추출 연구에는 TIMEX3, EVENT, TLINK 추출의 세 가지 과정이 포함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특정 문장에 대해서 이미 추출된 TIMEX3 및 EVENT 개체를 제공하고 상대시간관계 TLINK를 추출하는 것만을 목표로 한다. 또한, 사람이 직접 태깅한 한국어 시간정보 주석 말뭉치를 대상으로 LSTM 기반 제안모델들의 상대적 시간관계 추출 성능을 비교한다.

  • PDF

Layerwise Semantic Role Labeling in KRBERT (KRBERT 임베딩 층에 따른 의미역 결정)

  • Seo, Hye-Jin;Park, Myung-Kwan;Kim, Euh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17-621
    • /
    • 2021
  • 의미역 결정은 문장 속에서 서술어와 그 논항의 관계를 파악하며,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등과 같은 의미역 관계를 찾아내는 자연어 처리 기법이다. 최근 수행되고 있는 의미역 결정 연구는 주로 말뭉치를 활용하여 딥러닝 학습을 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구글에서 개발한 사전 훈련된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모델이 다양한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상당히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미역 결정 성능 향상을 위해 한국어의 언어적 특징을 고려하며 사전 학습된 SNU KR-BERT를 사용하면서 한국어 의미역 결정 모델의 성능을 살펴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BERT 모델에서 과연 어떤 히든 레이어(hidden layer)에서 한국어 의미역 결정을 더 잘 수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마지막 히든 레이어 임베딩을 활용하였을 때, 언어 모델의 성능은 66.4% 였다. 히든 레이어 별 언어 모델 성능을 비교한 결과, 마지막 4개의 히든 레이어를 이었을 때(concatenated), 언어 모델의 성능은 67.9% 이였으며, 11번째 히든 레이어를 사용했을 때는 68.1% 이였다. 즉, 마지막 히든 레이어를 선택했을 때보다 더 성능이 좋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 언어 모델 별 히트맵을 그려보았을 때는 마지막 히든 레이어 임베딩을 활용한 언어 모델이 더 정확히 의미역 판단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