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L

검색결과 1,769건 처리시간 0.095초

${\ll}$청구도${\gg}$ 이본 4개 유형의 제작 시기에 대한 검토 (Review on the Period when Four Types of Alternative Versions of ${\ll}$Cheonggudo${\gg}$ were drawn up.)

  • 이기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2-306
    • /
    • 2009
  • 본 연구는 ${\ll}$청구도${\gg}$ 이본 4개 유형의 제작 시기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구도범례"는 "청구도제"가 작성된 1834년 이후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최초의 ${\ll}$청구도${\gg}$에는 "청구도범례"가 수록될 수 없었다. 둘째, <도성도>는 총융청에서 총위영으로 이름이 바뀐 1846년 이후에 제작되었으며, 총위영이 존재했던 1846년 이후에서 1849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도성도>를 삽입한다는 내용이 있는 "청구도범례" 역시 1846년 이후에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청구도범례"와 본조팔도주현총도가 없는 ${\ll}$청구도${\gg}$ ${\rightarrow}$ "청구도범례"가 없고 본조팔도주현총도가 있는 ${\ll}$청구도${\gg}$ ${\rightarrow}$ "청구도범례"가 있고 봉우리식으로 표현된 ${\ll}$청구도${\gg}$ ${\rightarrow}$ "청구도범례"가 있고 산줄기식으로 표현된 ${\ll}$청구도${\gg}$의 순서로 제작되었다.

  • PDF

$\ll$침구절요취영(鍼灸節要聚英)$\gg$의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ll$Chimgujeolyochiyung(鍼灸節要聚英)$\gg$)

  • 김기욱;박현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77-87
    • /
    • 2008
  • Objectives : We would like to look into the understanding and errors of the changes in the 'Suhyeoljuchijeung'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rough the documentary study of Gomu's(高武) $\ll$Chimgujeolyochiyeong$\gg$ today. Methods : Based on Hwangyongsang(黃龍祥)'s study, the author of the $\ll$Chimgujeolyochiyeong$\gg$, date it was written, the number of volumes and edition, basic contents, basic constitution, referenced books and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posterity, the documentary research results will be arranged. Results & Conclusions : 1. $\ll$Chimgujeolyochiyung$\gg$ was first printed in the 16th year of the Gajung(嘉靖) era during the Myeong(明) dynasty(1537). It has a total of 7 volumes and is divided into 3 books(帙). The first book is three volumes of $\ll$Chimgujeolyo(鍼灸節要)$\gg$, and the second and third books are 4 volumes of $\ll$Chimguchiyung(鍼灸聚英)$\gg$. 2. The main content of this book is 'Suhyeoljuchijeung' of volume 1, and was written based mainly on Wangjipjung(王執中)'s $\ll$Chimgujasenggyeong(鍼灸資生經)$\gg$. also it was the first to systematically arrange the indications of acupuncture points after $\ll$Myeongdanggyeong(明堂經)$\gg$. 3. The author, Gomu was influenced by the 'literary restoration movement(文學複古運動)' of the time, resulting in the 'Jongyeongsunggo(尊經崇古)' ideology being reflected in $\ll$Chimgujeolyochiyung$\gg$.

  • PDF

점진적 LL(1) 구문분석에서의 재사용 시점의 계산 (Computation of Reusable Points in Incremental LL(1) Parsing)

  • 이경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1호
    • /
    • pp.845-850
    • /
    • 2010
  • 점진적 구문분석은 기존 입력 문자열에 대한 구문분석 정보를 새로운 문자열의 구문분석 시에 재사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연구 개발되었다. 기존 점진적 LL(1) 구문분석에서는 미리 재사용 시점을 계산하여 이를 구문분석 시에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재사용 시점 계산을 인수분해하여 불필요한 중복 계산 없이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재사용 시점 파악을 위해서 사용되었던 공통심볼 저장방법과 거리저장방법을 결합하여 공통심볼까지의 거리저장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기반한 효율적인 점진적 LL(1) 구문분석기를 생성한다.

목산(木山) 이기경(李基敬) 장서인본(藏書印本) 중국본(中國本) 도서(圖書) 가치(價値) 소고(小考) - 《삼재도회(三才圖會)》와 《목재집(牧齋集)》을 중심으로 -

  • 이경훈
    • 중국학논총
    • /
    • 제67호
    • /
    • pp.179-198
    • /
    • 2020
  • 本文以木山李基敬所收藏並傳至後孫的中國圖書爲研究對象, 通過對這些中國圖書的實證性考察, 明確中國古文獻的曆史意義與現代價值, 同時亦可探求收藏中國圖書的朝鮮知識人的思維。這樣的研究不僅能夠把握朝鮮知識人的對清認識, 還可以通過這些實證性的資料確定當時中國與朝鮮的學術交流情況。蓋有木山藏書印章的《三才圖會》, 雖僅有兩卷保存下來, 但這兩卷書是從火海中搶救出來的, 並用一張一張的紙進行了重新裝訂。我們可以感受到木山對其極爲看重, 將其視爲中華文化承載的這種意識。另外, 木山藏書印本《儒學集》是生活於明·清交替期的錢謙益這一人物的文集, 錢謙益的文學評價與人物評價方面存在論爭。木山收藏該文集時錢謙益在朝鮮被認定爲文學家, 處於獲得否定性評價之前的時期。由此可見木山大力宣傳自己的對明義理思維, 並將文學價值判斷視爲標准。

한(韓)·중(中) 제왕(帝王)의 의리명변서(義理明辯書) 비교(比較) 고찰(考察) -《천의소감(闡義昭鑑)》과 《대의각미록(大義覺迷錄)》을 중심으로-

  • 이경훈
    • 중국학논총
    • /
    • 제59호
    • /
    • pp.203-218
    • /
    • 2018
  • 本文是根據雍正6年(1728)的曾靜逆謀事件, 主要考察雍正帝為了說服帶有反淸謀叛華夷思想的漢人文士而作的理論性反駁文--《大義覺迷錄》;以及英祖為了統轄反對中央集權層, 確立王位繼承正統性名分而編纂的義理明辯書--《闡義昭鑑》. 除此之外, 還要考察雍正帝與英祖為了確立各自的大義名分所做出的行動以及產生的結果, 根據這兩件史實比較雍正帝和英祖的類似性和相異性. 朝鮮的國王英祖通過中國清王朝皇帝雍正帝編纂的《大義覺迷錄》, 表明自己繼承王位的大義和正統性, 以及確立自己獨特的華夷觀. 同時對自己的流言蜚語, 用以政治手段直接進行反駁. 英祖以雍正帝那卓越的政治手段為標桿, 與之前效果甚微的禦製書相比, 此法達到了強而有效的效果. 英祖提出了國家政治倫理用以解決由於黨爭而導致的混亂的政局, 並為此編纂了《闡義昭鑑》--書. 英祖的政治成果和政治手段與雍正帝類似的原因在於, 英祖繼承王位的情況和雍正帝的有相似之處, 因此在位時會有一些危及皇位的流言蜚語. 兩位帝王在位期間努力清除黨爭的過程也有相似之處, 而且朝鮮有燕行外交制度, 所以英祖可以充分地利用燕行制度, 而可以以雍正帝的政治手段為標桿進行學習.

개선된 점진적 LL(1) 파싱 방법 (An Improved Incremental LL(1) Parsing Method)

  • 이경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6호
    • /
    • pp.486-490
    • /
    • 2010
  • 점진적 파싱은 기존의 입력 문자열에 대한 파싱 정보를 새로운 문자열의 파싱시에 이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연구 개발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에 제안된 비단말 심볼을 미리보기(lookahead) 심볼로 포함시킨 점진적 LL(1) 파서를 개선시킨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상황에서 불필요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에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ll}$소문(素問).열론(熱論)${\gg}$ 육경분증(六經分證)과 ${\ll}$상한론(傷寒論)${\gg}$ 육경변증(六經辨證)의 상관성(相關性)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comparative study on Liu-Jing-Bian-Zheng(六經辨證) of ${\ll}$Sang Han Lun(傷寒論)${\gg}$ and Liu-Jing-Fen-Zheng(六經分證) of ${\ll}$Su Wen.Re Lun(素問.熱論)${\gg}$)

  • 이동희;이준범;황만섭;윤종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4호
    • /
    • pp.145-156
    • /
    • 2004
  • Objective : The following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seek the acupuncture operation method of ${\ll}$Sang Han Lun(傷寒論)${\gg}$ Liu-Jing-Bian-Zheng(六經辨證). Methods : Based on the documents quoted in ${\ll}$Sang Hang Za Bing Lun.Xu Wen(傷寒雜病論 序文)${\gg}$ of 'Zhang, Zhong-Jing(張仲景)', the relativity of the theory of Jing-Mai(經脈) and Liu-Jing-Bian-Zheng of convalescence. Results : 1. ${\ll}$ Sang Han Lun${\gg}$ Liu-Jing-Bian-Zheng has succeeded and was developed based on Liu-Jing-Fen-Zheng(六經分證) of ${\ll}$Su Wen Re Lun(素問.熱論)${\gg}$. 2. Liu-Jing-Bing became the general principle of Fen-Jing(分經) and Ding-Zheng(定證) that may be applicable to Fenghan(風寒), Wenre(溫熱), Lili(역려) and Zabing(雜病). 3. Most commentators of ${\ll}$ Sang Han Lun${\gg}$ in the Song, Ming and Ching Dynasties of ${\ll}$ Sang Han Lun${\gg}$ interpreted the Liu-Jing-Bing in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Rong-Wei(榮衛)

  • PDF

${\ll}$동의보감(東醫寶鑑).내경편(內景篇)${\gg}$의 도교사상(道敎思想) 고찰

  • 성호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268
    • /
    • 2000
  • 1613년허준소간적(年許浚所刊的)${\ll}$동의보감(東醫寶鑑)${\gg}$불지시의사학종사자적연구과제(不只是醫史學從事者的硏究課題). 인위(因爲)${\ll}$동의보감(東醫寶鑑)${\gg}$병불시단순적의서(?不是單純的醫書), 이차서구유료도가내단사상급역학사상등철학사고지고(而此書具有了道家內丹思想及易學思想等哲學思考之故). ${\ll}$동의보감(東醫寶鑑)${\gg}$소출간적나시대수연성리학점굴료수위(所出刊的那時代雖然性理學占掘了首位), 단시차서소구적도교색채비임하의서갱농후(但是此書所具的道敎色彩比任何醫書更濃厚). 내경편적체계시피(內景篇的體系是被)${\ll}$황정경(黃庭經)${\gg}$영향적(影響的). 작위수련서(作爲修鍊書), ${\ll}$황정경(黃庭經)${\gg}$시도교주요경전지일是道敎主要經典之一). 비서인위인체즉시신적세계(比書認爲人體卽是神的世界), 인체적각기관우시저사신소주적안댁(人體的各器官又是這些神所住的安宅). 내경편이차(內景篇以此)${\ll}$황정경(黃庭經)${\gg}$위자爲資), 구성료기본체계급기주요내용(構成了基本體系及其主要內容). 우기시(尤其是), 내경편접수도가역학사상이설명천인상응(內景篇接受道家易學思想而說明天人相應). 즉(卽), 내경편접수(內景篇接受)${\ll}$참동계(參同契)${\gg}$주급(注及)${\ll}$회남자(淮南子)${\gg}$등도교문헌리소재적(等道敎文獻裏所載的)'발생론(發生論)', 인이음양오행적정기래해설만물여인지상응관계(因而陰陽五行的精氣來解說萬物與人之相應關係). 차정기계승위내단사상적정기신론(此精氣繼承爲內丹思想的精氣神論). 정여기(精與氣), 기여신(氣與神), 신여정시재우불단지호상접촉호상융화적관계상(神與精是在于不斷地互相接觸互相融化的關係上). 필자인위내경편이정기신론위주(筆者認爲內景篇以精氣神論爲主), 장의서인진료도교수련적경계(將醫書引進了道敎修鍊的境界). 단시(但是), 본론문불지간분석연구내경편소인적(本論文不至干分析硏究內景篇所引的)${\ll}$황제내경(黃帝內經)${\gg}$등의서포함적도교관(等醫書包含的道敎觀). 요시리해(要是理解)${\ll}$동의보감(東醫寶鑑)${\gg}$소인의서적사상기원급기내용(所引醫書的思想起源及其內容), 대연구내경편급(對硏究內景篇及)${\ll}$동의보감(東醫寶鑑)${\gg}$전편적철학성취유흔대적방조(全篇的哲學性就有?大的幇助). 차시필자요계속요연구적과제파료(此是筆者要繼續要硏究的課題擺了).

  • PDF

$\ll$침구대성(鍼灸大成)$\gg$의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ll$Chimgudaesung(鍼灸大成)$\gg$)

  • 김기욱;박현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125-133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ll$Chimgudaesung$\gg$ on documentary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or falsehood of authors, editions, the relationship of $\ll$Hyeongibiyo(玄機秘要)$\gg$. Materials and Methods : Based on Hwangyongsang(黃龍祥)'s study, the author of $\ll$Chimgudaesung$\gg$, the number of volumes and edition, basic contents and constitution, characteristic of reference, and the documentary research results will be arranged. Results and Conclusions : 1. $\ll$Chimgudaesung$\gg$ was made by Geunhyeon based on Yanggyeju(楊繼洲)'s $\ll$Hyeongibiyo$\gg$, and in the 29th year of the Manryeok(萬曆) era Jomunbyeong(趙文炳) saw to the inscription. Therefore, the author must be recorded as 'Originally by Yanggyeju of the Myeong(明) dynasty, revised by Geunhyeon'. 2. The existing Myeong dynasty editions are mostly Leewolgyu(李月桂)'s 'Jungsu edition(重修本)' from the 14th year of the Sunchi(順治) era of the Qing(淸) dynasty and Wangbo(王輔)'s 'Chesu edition (遞修本)' Leewolgyu and Wangbo's preface was deleted and the original text was supplemented from the 37th year of the Ganghui(康熙) era. There are many traces of revision, supplementation and copying by people of later generations in these editions. 3. The 'Chukin edition(縮印本)' of $\ll$Chimgudaesung$\gg$ is mostly a merge of the Myeong dynasty editions and used much of the new revised 'Chesu edition'. This editions should not ever be used again as an original in putting the $\ll$Chimgudaesung$\gg$ in order. 4. After $\ll$Chimgudaesung$\gg$ was published Jomunbyeong had a craftsman publish 4 drawings of $\ll$Donginmyeongdangdo(銅人明堂圖)$\gg$, of which the originally published ones were w drawings of the front and rear, and when Jomunbyeong republished he added 2 Cheukindo(側人圖) of the frontal side(正側) and rear side(背側). 5. When Geunhyeon edited $\ll$Chimgudaesung$\gg$ only 14 medical books were used and quotes copied from other texts were always reedited. Most of the origins of the collected text are shown under the index, but many do not match with the original text. Also many documents were copied from medical books from later times and not the primal text. 6. The annotated sections of $\ll$Chimgudaesung$\gg$ such as 'Yangsi(楊氏)', 'Yangsijip(楊氏集)', 'Yangsijuhae(楊氏注解)', 'Hyeongibiyo' are all from Yanggyeju's $\ll$Hyeongibiyo$\gg$. Of these the origins for the sections marked 'Yangsijip' can be found, but some of the origins for sections annotated 'Yangsi' cannot be found.

  • PDF

사료 첨가용 생균제를 위한 Probiotics 유산간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Isolates for Calf Meal Supplements)

  • 이승배;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6-112
    • /
    • 2006
  • 한우와 홀스타인의 분변으로부터 MRS 배지와 LAPT 배지를 이용하여 무작위 선발법으로 54균주의 유산균을 1차로 분리하였다. 1차로 분리된 54균주에 대해 내담즙성이 우수한 10균주를 분리한 다음 내산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위액 pH 2.5에서 LS1, LS15 및 LL6 균주가 각각 66.5%, 82.6% 및 80.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Sta. aureus 및 Cl. perfringens의 병원균에 대해 가장 큰 항균력을 보인 균주는 LL6와 LL7이었다. API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S1, LS2 및 LMI 균주는 모두 L. fermentum, LL6와 LL7 균주는 L. acidophilus, LS3 균주는 L. plantarum으로 각각 동정되었고, 나머지 4균주는 Lactobacillus spp. 로 동정되어 분리된 10균주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간균임을 확인하였다. 10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picillin, amoxi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있으나 colistin과 ciprofloxacin에 대해 모두 내성을 나타내었다. LB1, LL6 및 LL7 균주는 gentamicin과 neomycin에 대해 내성을 보여 주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 중에 내산성, 내담즙성 및 병원성 균에 대한 특성을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probiotic 유산균으로 사용 가능성이 높은 것은 LL6인 L. acidophilus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