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ERTRA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소나무 군락의 장기적 낙엽생산을 통한 영양염류 이입량 (Long Term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Inp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 원호연;이영상;한아름;김덕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18
  •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5년간 낙엽생산량과 낙엽을 통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량을 조사하였다. 잎, 가지, 생식기관, 기타로 분류된 낙엽의 5년간 평균 생산량은 각각 $1.940{\pm}0.21$, $0.505{\pm}0.15$, $0.259{\pm}0.09$, and $0.737{\pm}0.14t\;ha^{-1}yr^{-1}$ 이었으며 낙엽구성원의 비율은 각각 56.4, 14.7, 7.5, 21.4%, 로 잎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기간 동안 생산된 낙엽의 총량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2.810, 3.796, 3.268, 3.284, $4.045ton\;ha^{-1}yr^{-1}$ 으로, 5년간 평균 $3.441{\pm}0.4ton\;ha^{-1}yr^{-1}$의 낙엽이 생산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조사된 낙엽을 통해 입상에 이입되는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의 평균 이입량은 각각 $22.73{\pm}4.92$, $1.05{\pm}0.42$, $4.26{\pm}1.69$, $8.48{\pm}4.62$, $2.42{\pm}1.01kg\;ha^{-1}yr^{-1}$ 이었다.

월악산 굴참나무림의 낙엽생산과 낙엽을 통한 영양염류 이입량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Input via Litterfall in Quercus variabilis Forest at Mt. Worak National Park)

  • 원호연;남궁정;표재훈;문형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73-580
    • /
    • 2011
  • 월악산 국립공원 내의 굴참나무림에서 2005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4년 동안 월별 낙엽 생산량과 낙엽을 통해 임상에 이입되는 영양염류의 양을 조사하였다. 2005, 2006, 2007, 2008년의 낙엽생산량은 각각 5.181, 5.372, 5.314, 5.361 ton $ha^{-1}yr^{-1}$이었으며, 4년 동안의 평균 낙엽생산량은 5.307${\pm}$0.09 ton $ha^{-1}yr^{-1}$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낙엽 구성원 중 잎, 가지, 생식기관 그리고 기타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67.5${\pm}$1.9, 13.3${\pm}$0.8, 10.1${\pm}$0.5, 9.1${\pm}$1.2%로 잎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소에서 4년 동안 낙엽을 통해 임상에 이입되는 질소, 인, 칼륨,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평균 이입량은 각각 44.47${\pm}$6.70, 2.50${\pm}$0.25, 12.26${\pm}$0.30, 17.23${\pm}$2.32, 9.56${\pm}$0.54 kg $ha^{-1}yr^{-1}$이었다.

편백림 임분밀도 조절에 따른 유기물층의 산불 연료량 변화 (Changes in forest fire fuel amount in a Chamaecyparis obtusa forest according to stand density control )

  • 이두희;이정관;신한두;이슬기;박우진;김현준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447-454
    • /
    • 2023
  • 본 연구는 편백림에서 임분밀도 조절이 산불 연료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전북 고창군 문수산에 위치해 있으며, 대조구, 30% 간벌처리구(light thinning, LT), 50% 간벌처리구(heavy thinning, HT)로 이루어져 있다. 1976년에 3년생 묘목을 3,000본 ha-1 기준으로 식재하였으며, 2000년에 간벌을 실시하였다. 산불연료 생산량은 지면으로부터 1.2 m 높이의 원형 littertrap을 시험구별 3개씩 설치하여 2019년 4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낙엽낙지량을 측정하였다. 산불연료 분해량을 알아보기 위해서 낙엽과 낙지를 5 g씩 넣은 낙엽망을 제작하여 유기물층에 묻은 후 18개월 후에 수거하여 분해상수를 구하였다. 산불연료 축적량은 정방향틀(0.09 m2)을 이용하여 2018년 9월에 시험구별 3반복으로 채취한 유기물의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산불연료 생산량은 LT와 HT 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0.001). HT의 잎 분해상수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LT의 산불연료 축적량은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HT의 산불연료 축적량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산불연료량은 간벌에 의해 감소하였다. 따라서 간벌을 통한 산림관리를 통해 연소물질이 감소되면 산불의 강도가 억제되어 산불을 빨리 진압해 대형산불의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