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 competencie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메타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문헌정보학 전공 커리큘럼 진단연구 (A Diagnostic Analysis of LIS Curriculum from the Meta-literacy Perspective)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91-220
    • /
    • 2018
  • 정보 리터러시와 관련된 인지과정 중심 교육모형(Bloom's taxonomy), 사서 직무교육 내용, 디지털 큐레이션 등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리터러시 역량을 도출한다. 웹3.0 정보환경의 상황적 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정보 신기술의 적응 능력을 중요한 역량으로 확장시킨 메타리터러시 개념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 커리큘럼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미래지향적 예비 사서의 전문성 배양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전공 교과목을 진단하고 커리큘럼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Data Aspec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in Selected African Universities

  • Francis Ssekitto;Fester Mukiib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81-9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ta aspec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at all levels in selected African Universit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data aspects and LIS Curricula. Secondly, the study juxtaposed web-based courses for fourteen LIS schools to establish data aspects incorporated into their curricula. Findings - The study's findings found that although many LIS schools have some form of data aspects in curricula, coverage is still very limited and basic.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Evaluation and Requirement of Librarians on LIS Education)

  • 이제환;이기명;김정호;윤유라;이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69
    • /
    • 2005
  •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장사서의 관점에서 현행 문헌정보학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공공, 대학, 전문, 그리고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7명으로부터 유효 답변을 회수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1) 현장 사서들은 현행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과 내용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2) 그들이 생각하는 사서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능력은 무엇인지, 나아가, 3) 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사서를 양성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 교육이 담보해 내야하는 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문헌정보학 전문가를 위한 인도의 기술개발 프로그램과 활동 분석 (Skills Development Programmes and Activities for LIS Professionals in India: A Road Map For South Asian Countries)

  • 라메샤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95-113
    • /
    • 2011
  • IT의 융합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면서 도서관 전문직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개발과 평생학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인도의 도서관계에서 이러한 상황에서 실무와 교육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새로이 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최신의 프로그램과 활동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인도가 가지고 있는 조직적인 인프라와 문헌정보학의 교육과 연구,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이를 통해 얻은 잠재적인 능력들은 인도는 물론 서아시아를 포함한 인근국가의 프로그램개발과 인프라구축, 나아가서는 인력개발을 위한 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교과목의 강의 계획서 분석: ALA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Course Syllabi related to Data Science at the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박형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9-143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수업의 내용을 조사했다. 연구의 목적은 강의 계획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해당 수업에서 다뤄지는 교과목 명, 교과 설명, 학습 목표, 주차 별 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의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필수 과목 및 선택 과목은,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큐레이션 및 관리, 머신 러닝, 메타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데이터사이언스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과정을 개설 및 개정할 때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어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문헌정보학과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Talent Model and Major Competence of the LIS)

  • 노영희;신영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62
    • /
    • 2016
  • 인재상 및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K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을 개발하고, 이에 적합한 교과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그리고 수요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과에 요구되는 인재상은 큐레이션 인재, 지능 인재, 서비스 인재, 기술 인재, 전문 인재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재상별 요구역량은 문헌정보 수집능력, 조직능력, 보존능력 등 15개의 전공역량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대학의 교과목은 이러한 인재상 및 전공역량을 실현하기 위해서 교과목의 추가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에는 국가차원에서 사서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 개발이 요구되며, 더불어 NCS 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Reading Guidance Course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mong College Students)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9-102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취업 후 조직 내 핵심인재로 성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하위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5개 기관에서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모형 사례와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의 9개 영역을 제시하였다. 9개 영역은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정보 기술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협력관계 형성능력, 글로벌 역량, 자기관리능력, 가치관 및 태도, 리더십 영역이다. 그리고 9개 핵심역량을 습득하기 위하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을 대학 교양과목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내용과 학습효과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S Students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 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5-25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의 역량과 현재 학생들의 역량,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수준, 주제전문사서로 일하고자 하는 의사, 주제전문사서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의 역량은 학사제도와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고, 주제전문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주제전문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전문성 부분이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현재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유능한 주제전문사서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방안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도서관의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unterplan of Library to Free Learning Semester)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9-76
    • /
    • 2017
  • 자유학기제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과 진로교육 강화로 교육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의 이용,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 현황과 개선 방안, 그리고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학교도서관은 핵심역량 함양에 효과적인 교육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활용도는 매우 낮으며, 공공도서관의 학교 지원 프로그램은 외부 특강과 탐방에 치우쳐 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기에 미흡하다. 교육계가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의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교수, 학생을 연계하여 직업체험, 진로교육, 그리고 역량 함양을 아우르는 입체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공공도서관의 주도적 역할이 기대된다.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및 직무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Librarian Competencies and Job Type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 이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64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요구하는 인력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보조직 사서직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과 직무 유형을 분석하였다. 미국 도서관의 채용공고 298건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기존의 자격요건들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새로운 환경 변화를 반영한 표준 및 전자자원 관련 요구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조직 직무 유형은 크게 전통적인 정보조직의 특성이 반영된 것과 전자자원, 정보기술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정보조직 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전자자원 교육의 확대, 이론과 실습의 조화, 정보기술 활용의 강화, 새로운 교수 방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