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LW disposal sit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감시 계획 (Site Monitoring and investigation plan for LILW disposal)

  • 백승종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69-385
    • /
    • 2008
  • 부지감시 및 조사의 목적은 운영 전, 운영중 및 폐쇄 후 단계에서 변화가 예상되는 주요 부지특성을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의 성능평가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지감시의 단계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운영전 단계에는 부지의 적합성 평가 및 처분장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주요 부지특성을 감시하며, 운영 중 단계에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주변지역을 포함하여 주요 부지특성을 감시한다. 폐쇄 후 단계에는 처분장의 방사성 물질로 인한 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 처분장의 장기적 안전성을 위하여 필요한 주요 부지특성 항목을 감시한다.

  • PDF

Deployment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with the Introd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NPP) in Kenya

  • Shadrack, A.;Kim, C.L.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37-47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basic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with the introd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NPPs) for Kenya. The specific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otal projected waste volumes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LILW) expected to be generated from the Kenyan nuclear power programme. The facility is expected to accommodate LILW to be generated from operation and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for a period of 50 years. An on-site storage capacity of 700 $m^3$ at nuclear power plant sites and a final disposal repository facility of more than 7,000 $m^3$ capacity were derived by considering Korean nuclear power programme radioactive waste generation data, including Kori, Hanbit, and APR 1400 nuclear reactor data. The repository program is best suited to be introduced roughly 10 years after reactor operation. This study is important as an initial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LILW disposal program for Kenya and other newcomer countries interested in nuclear power technology.

A Study About Radionuclides Migration Behavior in Terms of Solubility at Gyeongju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LILW) Repository

  • Park, Sang June;Byon, Jihyang;Lee, Jun-Yeop;Ahn, Seokyoun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3-121
    • /
    • 2021
  • A safety assessment of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is a mandatory requirement process because there are possible radiological hazards owing to radionuclide migration from radioactive waste to the biosphere. For a reliable safety assessmen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parameter database that reflects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isposal facility and repository site. From this perspective, solubility, a major geochemical parameter, has been chosen as an important parameter for modeling the migration behavior of radionuclides. The solubilities were derived for Am, Ni, Tc, and U, which were major radionuclides in this study, and on-site groundwater data reflecting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Gyeongju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LILW) repository were applied to reflect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The radiation dose was derived by applying the solubility and radionuclide inventory data to the RESRAD-OFFSITE code,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dose according to the solubility variat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owing to the low amount of radionuclide inventory, the dose variation was insignificant. The derived solubility can be used as the main input data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the Gyeongju LILW repository in the future.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 내 배경 단열의 통계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tatistical properties for the background fractures in the LILW disposal site of Korea)

  • 지성훈;박경우;김경수;김천수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7-263
    • /
    • 2008
  • 중 저준위 방사성패기물 처분장 부지의 지하수 시스템을 개념화하기 위해 부지 내 유동성 배경 단열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지 내 시추공에서 얻어진 시추공 로깅 자료의 배경 단열의 주향과 경사 자료를 분석하여 부지 내 배경 단열들을 4개의 단열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시추공에서의 수리 시험 결과로 얻어진 시추공 구간별 투수량계수 분포 자료로부터 배경 단열의 투수량계수 분포를 추정하였다. 각 단열군의 단열 크기 분포는 관찰된 단열 밀도와 지표지질조사 자료로부터 유추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배경 단열의 통계적 특성을 부지에서 관찰된 투수량계수 분포와 분석 된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생성된 단열망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투수량계수 분포를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 관측치와 계산치가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 PDF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의 폐쇄후 처분안전성평가: 1단계 인허가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A Safety Assessment for the Wolsong LILW Disposal Center: As a part of safety case for the first stage disposal)

  • 박주완;윤정현;김창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9-346
    • /
    • 2008
  •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영구처분을 위하여 건설되는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의 1단계 폐쇄후 안전성평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처분시설의 건설운영허가를 위하여 작성된 안전성평가에 대하여 평가개요, 처분시설의 폐쇄개념, 처분부지에 대한 지하수 유동특성을 이용하여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의 개발과정과 도출된 평가대상 시나리오에 대한 개념을 기술하였다. 폐쇄후 안전성평가 모델링을 위한 평가도구, 입력인자와 개별 시나리오에 대한 핵종누출 모델링, 기체발생 및 기체이동 모델링, 인간침입 모델링과 생태계 모델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처분시설의 폐쇄후 안전성 평가시나리오에 대하여 국내 규제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향후 처분시설 안전성에 대한 불확실성 저감과 신뢰성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 PDF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PROGRESS AND CHALLENGES

  • Park, Jin-Beak;Jung, Hae-Ryong;Lee, Eun-Young;Kim, Chang-Lak;Kim, Geon-Young;Kim, Kyung-Su;Koh, Yong-Kwon;Park, Kyung-Woo;Cheong, Jae-Hak;Jeong, Chan-Woo;Choi, Jong-Soo;Kim, Kyung-De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477-492
    • /
    • 2009
  •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experience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These experiences have importance as a first implementation for the national LILW disposal faci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As for the progress, it relates to the area of selected disposal site, the disposal site characteristics, waste characteristics of the disposal facility, safety assessment, and licensing process. During these experiences, we also discuss the necessity for new organization and change for a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ystem. Further effort for the saf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needs to be pursued.

역사시대 고분을 이용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천층처분 덮개성능 자연유사연구 (A natural analog study on the cover-layer performance for near-surface LILW disposal by considering the tomb of historical age)

  • 박진백;박주완;김창락;양시은;이선복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79-291
    • /
    • 2005
  •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천층처분시설의 처분덮개설계 및 성능평가를 위해 국내 역사시대 고분연구를 수행하였다. 처분덮개 성능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현황을 조사하고 삼국시대 고분을 중심으로 봉분의 층상특성을 정리하였다. 국내 고분에 대한 봉토의 시료채취와 시료에 대한 수리전도도 측정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분에 대한 자연유사 연구에서 발굴조사보고서 상에 제시된 봉토의 유사판축기법의 적용, 모세관 방벽현상과 배수로를 이용한 봉분 내 습도조절 여부를 천층처분 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고분발굴현장이 있을 때 현장을 방문하여 필요한 자료수집과 더불어 원자력분야의 관심사와 필요사항에 대하여 국내 고고학계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의 지하수 유동에 대한 수치 모사: 2. 처분 안전성 평가 인자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in LILW Repository site:II. Input parameters for Safety Assessment)

  • 박경우;지성훈;고용권;김건영;김진국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3-296
    • /
    • 2008
  •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 건설될 지하 시설물을 고려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처분 안전성 평가를 위해 건설 중 지하 시설물로의 지하수 유입량, 처분장 폐쇄 후 처분 사일로를 통과하는 지하수 유동량 및 처분 사일로에서 배출 지역까지의 지하수 유동로에 대한 이동 거리 및 단위 유량에 대한 입력 인자를 도출하였다. 처분장 건설 중 지하수 유입량 및 폐쇄 후 지하수의 유동량은 처분 심도에서 존재하는 다수의 투수성 구조 영역에 의해 영향을 받아 10가지 경우에서 각각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지하수 유동로에 대한 지하수의 이동 거리 및 단위 유량에 대한 결과도 지하수의 유동로에 존재하는 투수성 구조 영역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상의 인간 침입 시나리오를 위해 우물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처분 안전성 평가와 관련된 입력 인자를 도출하였다.

  • PDF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의 지하수 유동에 대한 수치 모사: 1. 지하수 유동 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in LILW Repository site:I. Groundwater flow modeling)

  • 박경우;지성훈;김천수;김경수;김지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5-282
    • /
    • 2008
  •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의 부지특성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처분장 부지의 지하수 유동체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부지의 투수성 단열대 및 암반단열의 분포 특성에 근거하여 단열망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10개의 수리전도도장을 지하수 유동 모델링에 반영한 추계론적 Hybrid-EPM 방법으로 수치 모델을 구성하였다. 10회의 지하수 유동 모델링 결과, 처분 부지의 지하수두 및 지하수 흐름은 지표 근처에서 지형적인 요소에 크게 지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나며 처분장 심도에서는 주변에 존재하는 투수성이 높은 단열대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처분 시설 건설 중 사일로 주변 지역에서 수위 강하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처분 시설 폐쇄한 후 지하수위는 1년 이내에 급속히 회복되며, 대략 2년이 지난 후 완전히 회복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