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curing light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광중합 시 공기 중 산소의 차단이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locking the oxygen in the air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sealant)

  • 오유향;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5-376
    • /
    • 2006
  • 할로겐, 플라즈마 그리고 2세대 고강도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치면열구전색제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산소 차단 용액인 glycerin gel($DeOx^{(R)}$)의 도포, 질소가스와 탄산가스를 분사시켜 공기 중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시킨 후 산소억제층의 두께,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률 그리고 표면경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각각의 제작된 시편을 HPLC에서 역상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 TEGDMA의 용출양을 측정하여 중합률을 평가하였고, Vickers hardness tester를 이용하여 표면미세경도를 측정,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산소억제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질소 및 탄산가스를 분사하면서 중합한 군, $DeOx^{(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 모두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보다. TEGDMA 용출량이 감소되었다(p<0.05). 2. 할로겐 광으로 20초간 중합한 경우 $DeOx^{(R)}$를 도포한 군과 질소 및 탄산가스를 분사한 군의 TEGDMA 용출량은 유사하였지만(p>0.05), 40초로 중합한 경우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TEGDMA 용출량이 적었다(p<0.05). 3. 플라즈마 광으로 10초간 중합한 경우 $DeOx^{(R)}$를 도포한 군의 TEGDMA 용출량이 가장 적었고(p<0.05),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용출량이 적었다(p<0.05). 4. LED 광원에서는 탄산가스 분사군이 질소가스 분사군보다 TEGDMA의 용출량이 적었다(p>0.05). 5. 세 광원 공히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보다 산소를 차단한 상태에서 중합한 군에서 미세경도가 크게 나타났다(p<0.05). 6. $DeOx^{(R)}$로 처리했을 때 플라즈마 광 10초와 LED광 20초 중합군이 할로겐 광 40초 중합군보다 미세경도 값이 높았고, 질소가스와 탄산가스 분사하에서 플라즈마 광으로 10초간 중합한 경우와 LED 광으로 20초간 중합 한 경우가 할로겐 광으로 40초간 중합한 경우 보다 높은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0.05). 7. 세 광원 모두 공기 중에서 중합한 군에 비해 질소 및 탄산가스 분사를 분사하면서 중합한 군 $DeOx^{(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 PDF

광역동 치료가 구강 내에서 분리한 수종의 Streptococcus mutans의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ON THE VIABILITY OF STREPTOCOCCUS MUTANS ISOLATED FROM ORAL CAVITY)

  • 정지숙;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3-241
    • /
    • 2012
  • 광역동 치료는 광감각제가 빛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이용한 것으로, 치료 원리는 광화학 반응으로 자유 라디칼 및 반응성 산소가 생성되고 이 산물들에 의한 세포 독성으로 항균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광원(할로겐, LED)과 광감각제(erythrosine)를 이용하여, 치아 우식증과 연관된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항균 효과를 알아보고, 광감각제의 농도에 따른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또한 임상 분리 균주와 표준 균주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표준 및 임상 분리 균주 모두 광감각제 처리 후 광조사를 시행한 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S. mutans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광조사를 시행한 군에서 첨가한 광감각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S. mutans의 감소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 균주와 비교 시 임상 분리 균주에서는 표준 균주와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S. mutans의 감소가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광감각제로 에리스로신의 사용과 광원으로 치과용 광중합기를 사용한 광역동 치료는 S. mutans 연관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rythrosine과 LED를 이용한 광역동 치료 후 Streptococcus mutans 바이오필름의 회복 (Recovery of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after Photodynamic Therapy with Erythrosine and LED Light Source)

  • 신용욱;박호원;이주현;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9-15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erythrosine 매개 광역동 치료 (Photodynamic therapy, PDT)가 Streptococcus mutans 바이오필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Colony Forming Unit (CFU) 측정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의 관찰을 통해 평가하는 것이었다. PDT에서 광감각제로 erythrosine을 사용하였다. S. mutans ATCC 25175 바이오필름에 LED 광원을 통해 광역동 치료를 시행하였다.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CHX) 처리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각 군에 따른 처리 후 바이오필름의 회복을 위해 배양하였다. 세균 생존율을 처리 직후, 재배양 후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까지 CFU 계수를 통해 측정하였다. 항균 처리 직후 PDT, CHX에서 모두 음성대조군과 비교 시 S. mutans CFU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재배양 12시간 후 PDT는 음성대조군과 비교 시 CFU 수 감소에 관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띄지 않았지만 CHX는 24시간 동안 통계적으로 낮은 CFU 수를 보였다. Erythrosine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는 S. mutans 바이오필름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만 클로르헥시딘보다 바이오필름의 회복이 빠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치아 우식 예방을 위한 광역동 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동요치 고정에 사용되는 복합레진의 색품질 평가 (Color quality evaluation of composite resins used for splinting teeth)

  • 정지혜;천경준;오용희;장훈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995-100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lor stability of composite resins used for splinting teeth by comparing a self-cure resin cement (Superbond C&B, SB), a flowable composite resin (G-aenial Universal Flo A2, GU), and a composite resin exclusively used for splinting teeth (G-Fix, GF) before and after aging in NaOCl. Methods: Resin samples were fabricated to a size of 2 mm thickness and 8.5 mm diameter and light-cured with an LED light curing unit (G-Light, n = 12). Immediately after fabrication, CIE L*a*b* values of the resin samples were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CM-5) as baseline. Then, the resin samples were immersed in 5% NaOCl at $60^{\circ}C$ and the color was measured after 23 hours every day for 4 days.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followed by Duncan post hoc test (p<0.05), and color differences (${\Delta}E$) of resin samples before and after NaOCl aging were also calculated. Results: For SB, there were no changes in L* and a* values but changes were observed in b* values. For GU, there were no changes in L* and b* values but in a* values. For GF, changes were observed in L*, a*, and b* values. All resin samples showed highest ${\Delta}E$ between baseline and the 1st day of NaOCl immersion. ${\Delta}E$ of SB, GU, and GF was 4.6 - 5.8, 4.9 - 7.9, and 9.9 - 16.9, respectively. GF showed highest color change during NaOCl ag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olor quality evaluation showed that the composite resin exclusively used for splinting teeth might be more vulnerable to color change during intraoral service.

광중합 기전에 따른 복합레진 중합 시 치수강 내 온도변화 (THE TEMPERATURE RISING IN PULP CHAMBER DURING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 황동환;이주현;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1-438
    • /
    • 2003
  • 수복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증가가 치수조직에 미칠 수 있는 위해효과는 치의학의 오랜 관심사였다. 일반적으로, $5.5^{\circ}C$를 초과하는 치수 내 온도변화는 치수조직 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기존의 할로겐 램프 광중합기와 더불어 최근 시판되고 있는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 LED 중합기를 사용하여 복합레진 중합시 치수강 내 온도증가량을 조사하였다. 한 개의 우식이 없는 치아를 대상으로 V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 내에 복합레진(Z250, Shade A2)을 충전한 후, 광중합조건을 달리하여 5군(I군: VIP, 20초 (mode 3), II군: VIP, 20초 (mode 6), III군: Flipo, 3초, IV군: Flipo, 5초 (2-step), V군: Lux-O-Max, 40초)으로 분류하고, 각 조건에 맞게 복합레진을 중합시키면서 치수강 내의 온도측정 단자를 통하여 $37.0^{\circ}C$로부터 증가되는 치수강 내 최대 온도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모든 군에서 치수강 내 최대 온도 증가량은 치수의 변성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경계온도인 $5.5^{\circ}C$ 보다 낮았으며, II군에서 치수강 내 최대 온도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5). 또한 Lux-O-Max를 조사한 V군은 다른 군보다 낮은 치수강 내 최대 온도증가량을 나타내었다(p<0.05). 2. VIP로 조사한 두 군을 비교할 경우, 조사강도가 높은 II군이 I군보다 치수강 내 최대 온도증가량이 더 높게 증가하였으며(p<0.05), Flipo로 조사한 III군과 IV군 사이에서는 2-step 조사모드로 5초간 조사한 IV군이 3초간 조사한 III군보다 치수강 내 최대 온도증가량이 더 높게 증가하였다(p<0.05). 3. VIP와 Flipo를 비교할 경우, II군이 III, IV군보다 더 높게 증가하였고, IV군이 I군보다 더 높게 증가하였으나(p<0.05), I군과 III군 사이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한 치과용 복합레진의 수복 시 중합수축분포 관찰 (Polymerization Shrinkage Distribution of a Dental Composite during Dental Restoration Observed by Digital Image Correlation Method)

  • 박정훈;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6호
    • /
    • pp.393-398
    • /
    • 2017
  • 손상된 치아의 복구에 사용되는 재료인 치과용 복합레진 Clearfil AP-X (Kuraray, Japan)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하여 광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분포를 관찰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상관분석법을 위해,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조사 중과 광조사 이후의 촬영 조건을 달리하여 사진을 획득하였다. 광조사중의 최적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노출시간을 0.15 ms부터 0.55 ms까지 0.05 ms 간격으로 촬영한 사전 실험을 통해 촬영 조건을 획득하였다. DIC 분석 결과 복합레진의 비균일한 수축 분포를 관찰하였으며 복합레진의 중심 부분에서 시편의 계면부보다 좀 더 자유로운 유동성으로 더 큰 수축이 발생하였다.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은 초기 20 s 의 광조사에서 최종경화수축률의 50~60% 수준까지 발생하였다. 이러한 치과용 복합레진의 큰 수축량은 레진/기질계면 근처에서 인장응력이 집중하도록 영향을 주었다.

음향방출법을 이용한 치아/복합레진 수복재의 계면부 파괴해석 (Interfacial fracture analysis of human tooth/composite resin restoration using acoustic emission)

  • 구자욱;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45-51
    • /
    • 2009
  • 치아의 와동에 수복된 치과용 복합레진을 광(LED) 조사를 통해 경화 수축시키면서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법을 이용하여 와동 벽면과 복합레진 사이의 계면상태를 실시간 해석하였다.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에 의해 AE 신호들이 검출되었는데 계면 접착 상태가 나쁜 경우, 경화 수축률이 큰 초기 1분 동안 많은 AE 사상들이 관측되었으며, 이들 AE는 주파수범위가 주로 100-200kHz인 돌발형이었다. 인간치아 재질의 시편에서 발생된 AE 사상수는 스테인리스 스틸 시편보다 적었으나, PMMA 시편보다는 많았고 접착제의 도포 상태가 양호할수록 검출되는 AE 사상수는 적었다. AE 파라미터의 특성은 복합레진과 링재 사이의 접착부에서 발생하는 인장형 균열전파 및 복합레진의 수축에 따른 링재의 압축거동과 관련되었으며, 음향방출법이 치아 수복물의 접착성에 대한 비파괴 검사법으로써 유효함을 알았다.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the Color Stability of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 Kim, Ah-Rang;Jeon, Yong-Chan;Jeong, Chang-Mo;Yun, Mi-Jung;Huh, Jung-B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49-56
    • /
    • 2015
  • Purpose: The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color stability of various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Color stability was examined using three different brands of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G-CEM LinkAce (GC America), MaxCem Elite (Kerr), and PermaCem 2.0 (DMG) with the equivalent color shade. Each resin cement was filled with Teflon mold which has 6 mm diameter and 2 mm thickness. Each specimen was light cured for 20 seconds using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curing uni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color stability, color parameters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 $L^*$, $a^*$, $b^*$) and color differences (${\Delta}E^*$) were measured at three times: immediately, after 24 hours, and after thermocycling. The $L^*$, $a^*$, $b^*$ values were analyzed using Friedman test and ${\Delta}E^*$ values on the effect of 24 hours and accelerated aging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limit value of color difference (${\Delta}E^*=3.7$) for dental restoration. One-way ANOVA and Scheff's test (P<0.05) were performed to analyze each ${\Delta}E^*$ values between cements at each test period.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color specification ($L^*$, $a^*$, $b^*$) values after accelerated aging except $L^*$ value of G-CEM LinkAce (P<0.05). After 24 hours, color difference (${\Delta}E^*$) values were ranged from 2.47 to 3.48 and $L^*$ values decreased and $b^*$ values increased in all types of cement and MaxCem Elite had high color stability (P<0.05). After thermocycling, color change's tendency of cement was varied and color difference (${\Delta}E^*$) values were ranged from 0.82 to 2.87 and G-CEM LinkAce had high color stability (P<0.05). Conclusion: Color stability of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after accelerated aging was evalu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lor changes occurred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

세척 용액 및 세척 방법이 3D 프린팅 임시수복용 레진의 굴곡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hing Solvent and Washing Method on Flexural Strength of 3D-Printed Temporary Resin Material)

  • 김해봄;최재원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389-39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washing solvents and washing methods on the flexural strength of 3D printed temporary resin. A bar(25 × 2 × 2 mm) was produced with a layer thickness of 50 ㎛ using an LCD-type 3D printer and divided into 15 groups(n = 10, each) according to washing solution(IPA; 99% isopropyl alcohol, TPM; 93% Tripropylene glycol monomethylether, ETL; Ethanol, TWC; Twin 3D Cleaner, and DNC; DIO navi Cleaner) and washing method(Dip; Dip washing, Ultra; Ultrasonic washing, and Auto; Automated washing). All groups were washed for 5 minutes, and post-cured for 5 minutes using a UV LED light curing machine. The 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three-point bending test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Tukey HSD post hoc test, Kruskal-Wallis test and post-hoc by Bonferroni-Dunn test(𝛼=.05) wer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normality test was satisfied. In all washing solvents except TPM and DNC, the Dip group showed the lowest flexural strength values, while the Auto group showed the highest flexural strength values except for DNC. Additionally, the washing solution showed completely different flexural strength values depending on the washing method.

복합레진 적층계면에서 oxygen inhibition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XYGEN INHIBITION ON INTERFACIAL BONDING BETWEEN COMPOSITE RESIN LAYERS)

  • 최수미;박재홍;최성철;김광철;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98-307
    • /
    • 2010
  • 복합레진의 적층계면에서 산소억제층(oxygen inhibition layer:이하 OIL)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아크릴릭 몰드(하층) 에 복합레진의 shade A3를 충전한 후 표면의 조건을 달리하여 중합하였으며 상층은 shade A1으로 충전하고 중합하였다. 대조군(OIL 존재), 1군(OIL 형성억제), 2군(OIL 형성억제+레진표면의 미반응 모노머 제거), 3군(가압하에 중합), 4군(열중합), 5군(시효처리), 6군(시효처리+본딩제 도포)로 하층의 계면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 전환률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전단결합강도 측정 결과 대조군과 제 1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제 2군은 대조군과 1군에 비해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3. 제 3군은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 반면, 4군은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4. 6군은 5군보다 두 배 정도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5. 대조군과 1군 및 3군에서는 주로 응집성 복합레진파절이 일어난 반면 2군, 4군, 5군과 6군에서는 주로 접착성 계면파절이 일어났다. 6. FTIR로 전환률을 측정한 결과 2군에서는 50.55%로 가장 높았고, 대조군에서는 가장 낮았다(p<0.05). 전단결합강도와 전환률의 결과로 보아, OIL은 복합레진 계면의 결합에 필수적인 요인은 아니며, 표층의 미반응 모노머가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계면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반응 모노머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