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curing light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3초

수종의 광중합기를 이용한 교정용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VISIBLE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WITH SEVERAL LIGHT-CURING UNITS)

  • 김민수;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서로 다른 광원(할로겐 램프 :. Elipar Trilight ; 3M ESPE, Seefeld, Germany, Light Emitting Diode (LED) ; Elipar Freelight2 ; 3M ESPE, Seefeld, Germany, 플라즈마 광 : Flipo ; LOKKI, France)을 사용하여 브라켓과 광원사이의 거리에 따른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ORTHO LC : GC, Japan)의 전단 결합 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광중합기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는 광중합기로부터 브라켓까지의 거리가 0mm일 때 3가지 광원에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광중합기로부터 브라켓까지의 거리가 3mm, 6mm일 때,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 사이에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으나 LED 광은 유의성 있게 낮은 전단 결합 강도를 나타냈다. 2.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으로 광중합시 거리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 없었고 LED광을 사용하여 광중합시에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전단 결합 강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0mm에서 3mm로 거리가 증가시 유의할 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감염 조절용 차단막의 두께가 광중합기의 중합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ction control barrier thickness on light curing units)

  • 장훈상;이석련;홍성옥;류현욱;송창규;민경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68-373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감염 조절용 차단막을 여러 겹으로 사용했을 때 광중합기의 광강도와 파장, light diffusion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감염 조절용 차단막은 투명 랩 (크린랩)을 사용하였고 광중합기는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360)와 LED 광중합기 (Elipar FreeLight 2)를 사용하였다. 차단막을 1겹, 2겹, 4겹, 8겹으로 광중합기의 광섬유말단을 감싸고 휴대용 광강도 측정기 (Cure Rite)로 광중합기의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광중합기를 주문제작한 optical breadboard에 고정시킨 후 휴대용 spectroradiometer (CS-1000)를 이용하여 광중합기의 파장을 측정하였고, DSLR (Nikon D70s)을 이용하여 광중합기의 light diffusion을 사진 촬영하였다. 결과: 광강도 측정 결과는 차단막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광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할로겐 광중합기에서 1겹과 2겹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4겹 이상의 차단막을 투과할 때 광강도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여러 겹의 차단막을 투과한 광중합기의 전체적인 파장 형태와 peak wavelength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Light diffusion 사진 촬영 시, LED 광중합기에서는 차단막의 두께가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나 할로겐 광중합기에서는 차단막을 4겹 사용했을 때부터 중합광이 조사되는 각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8겹 사용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 < 0.05). 결론: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광중합할 경우 감염 조절용 차단막이 찢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1겹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2겹으로 사용하는 것이 환자간의 교차감염을 예방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LED를 이용한 복합레진의 광조사시, 중합수축의 속도와 양,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THE AMOUNTS AND SPEED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MICROHARDNESS IN LED CURED COMPOSITES)

  • 박성호;김수선;조용식;이순영;김도현;장용주;문현승;서정원;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4호
    • /
    • pp.354-359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LED) units for composite curing. To compare its effectiveness with conventional quartz tungsten halogen (QTH) light curing unit. the microhardness of 2mm composite. Z250, which had been light cured by the LEDs (Ultralume LED2, FreeLight, Developing product Dl) or QTH (XL 3000) were compar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One way ANOVA with Tukey and Paired t-test was used at 95% levels of confidence. In addition.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compared between composites which were light cured by QTH or LEDs using a custom-made linometer in 10s and 60s of light curing, and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compared by one way ANOVA with Tukey.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t 10s was XL3000 > Ultralume 2. 40. 60 > FreeLight, D1 (P<0.05)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t 60s was XL3000 > Ultralume 2, 60> Ultralume 2.40 > FreeLight, D1 (P<0.05) The microhardnes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was as follows ; (equation omitted) It was concluded that the LEDs produced lower polymerization shrinkage in 10s and 60s compared with QTH unit. In addition. the microhardness of samples which had been cured with LEDs was lower on the lower surfaces than the upper surfaces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QTH cured samples.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복합레진 중합 평가 (Evaluation of New LED Curing Light on Resin Composite Polymerization)

  • 강지은;전새로미;김종빈;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2-156
    • /
    • 2014
  • 최근 도입된 광범위 스펙트럼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는 4개의 램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중합 모드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광범위 스펙트럼 발광 다이오드($VALO^{(R)}$, Ultradent, USA) 광중합기와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 ($Elipar^{TM}$ Freelight 2, 3M ESPE, USA)의 효율을 미세경도 시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광중합기는 $VALO^{(R)}$$Elipar^{TM}$ Freelight 2이며 중합 시간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랐다. $37^{\circ}C$의 생리식염수에 중합된 레진 시편을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미세경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편 상부와 하부의 복합레진 미세경도는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광범위 스펙트럼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고성능 모드에서 4초, 플라즈마 모드에서 20초 광중합을 실시한 복합레진 시편의 상부는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에 비해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나(p < 0.05), 시편의 하부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광중합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ED용 실리콘 봉지재의 경화방법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Method on the Reliability of Silicone Encapsulant for Light Emitting Diode)

  • 김완호;장민석;강영래;김기현;송상빈;여인선;김재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844-848
    • /
    • 2012
  • Encapsulant curing in terms of convection oven leads to thermal induced stress due to nonuniform thermal conductivity in LED package. We have adopted infrared (IR) light for silicone curing in order to release the stress. The light uniformity irradiated on an encapsulant surface is confirmed to be uniform by optical simulation. Shear strength of die paste using IR compared to convection oven is increased 19.2% at the same curing time, which indicates curing time can be shortened. The indentation depth difference between center and edge of silicone encapsulant in terms of convection oven and IR are 14.8% and 3.4%, respectively. Curing by IR also shows 2.3% better radiant flux persistency rate of LED at $85^{\circ}C$ after 1,000 h reliability test compared to convection curing.

Errors in light-emitting diodes positioning when curing bulk fill and incremental composites: impact on properties after aging

  • Abdulrahman A. Balhaddad;Isadora M. Garcia;Haifa Maktabi;Maria Salem Ibrahim;Qoot Alkhubaizi;Howard Strassler;Fabricio M. Collares;Mary Anne S. Mel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4호
    • /
    • pp.51.1-51.1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roper positioning single-peak and multi-peak lights on color change, microhardness of bottom and top, and surface topography of bulk fill and incremental composites after artificial aging for 1 year. Materials and Methods: Bulk fill and incremental composites were cured using multi-peak and single-peak light-emitting diode (LED) following 4 clinical conditions: (1) optimal condition (no angulation or tip displacement), (2) tip-displacement (2 mm), (3) slight tip angulation (α = 20°) and (4) moderate tip angulation (α = 35°). After 1-year of water aging, the specimens were analyzed for color changes (ΔE), Vickers hardness, surface topography (Ra, Rt, and Rv),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For samples cured by single-peak LED, the improper positioning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lor change compared to the optim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composite (p < 0.001). For multi-peak LED, the type of resin composite and the curing condition displayed a significant effect on ΔE (p < 0.001). For both LEDs, the Vickers hardness and bottom/top ratio of Vickers hardness were affected by the type of composite and the curing condition (p < 0.01). Conclusions: The bulk fill composite presented greater resistance to wear, higher color stability, and better microhardness than the incremental composite when subjected to improper curing. The multi-peak LED improves curing under improper conditions compared to single-peak LED. Prevention of errors when curing composites requires the attention of all personnel involved in the patient's care once the clinical relevance of the appropriate polymerization reflects on reliable long-term outcomes.

치아 충전용 복합레진의 광중합 광원 종류에 따른 마멸 비교 (Wear Of Dental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Cured by Two Different Light Sources)

  • 김환;이권용;박성호;정일영;전승범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350-354
    • /
    • 2004
  • In this study, the wear characteristics of five different dental composite resins cured by conventional halogen light and LED light sources were investigated. Five different dental composite resins of Surefil, Z100, Dyract AP, Fuji II LC and Compoglass were worn against a zirconia ceramic ball using a pin-on-disk type wear tester with 15 N contact force in a reciprocal sliding motion of sliding distance of 10 mm/cycle at 1Hz under the room temperature dry condition. The wear variations of dental composite resins were linear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cycles increased. It was observed that the wear resistances of these specimens were in the order of Dyract AP > Surefil > Compoglass > Z100 > Fuji II LC. On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by SEM, the large crack formation on the sliding track of Fuji ?LC specimen was the greatest among all resin composites. Dyract AP showed less wear with few surface damag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r performance between conventional halogen light curing and light emitting diodes curing sources. It indicates that a light emitting diodes (LED) source can replace a halogen light source as curing unit f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PDF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USING STRAIN GAUGE)

  • 김응학;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29
    • /
    • 2008
  • 본 연구는 복합레진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수축양상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광중합기의 광원은 light-emitting diode(LED)와 plasma arc lamp(PAL)이었으며, 복합레진은 Filtek $Z350^{TM}$를 사용하였다. 교정 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60개의 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교합면에 와동을 형성하고 일회충전법, 수평적층법, 사면적층법으로 나누어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치면에 발생된 strain과 응력을 측정하였고, 법랑질 표면에 시편을 부착하여 동일한 적층방법으로 충전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train의 변화를 살펴보면, LED와 PAL 조사군 모두 와동의 협설면에서는 주로 팽창이 일어났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수축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2. 와동의 근원심면에서는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서서히 수축량이 증가하였다. 3. LED와 PAL 조사군 모두 적층방법 간의 응력 차이는 없었다(p>0.05). 4. LED 및 PAL 조사군 간의 응력 차이는 협면에서만 존재하였다(p<0.05). 5. 전단결합강도 측정 결과 LED 군에서는 사면적층법이 일회충전법, 수평적층법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PAL 광조사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6. 각 치면에 발생된 응력은 전단결합강도보다 낮았다(p<0.05).

  • PDF

The polymerization rate and the degree of conversion of composite resins by different light sources

  • Ryoo, Joo-Hee;Kwon, Hyuk-Choo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65-566
    • /
    • 2003
  • The clinical performance of light polymerized composite resin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the light curing unit used. Commonly used halogen light curing units(LCUs) have some specific drawbacks such as decreasing light output with time. To overcome this, the blue LED LCUs are newly developed and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action kinetics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when cured by different light source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lue LED LCUs compared with conventional halogen LCUs.(omitted)

  • PDF

Double curing unit system을 이용한 복합 레진의 광중합 수축에 관한 연구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USING DOUBLE CURING UNIT SYSTEM)

  • 한미란;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9-198
    • /
    • 2009
  • 본 연구는 복합 레진이 광원을 향해 수축이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합 수축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치질과의 결합단절을 개선하고자 double light emitting diode(LED) system을 고안하였으며, 중합 수축 시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기록하고 미세 누출의 양상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트레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single LED system과 double LED system에서 광중합 개시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유사한 수축 응력 양상을 보였다. 2. 최대 응력의 발생과 유지는 double LED system보다 single LED system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3. Double LED system이 single LED system보다 미세 누출이 더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single LED system에 비해 double LED system에서 중합 수축 응력이 크지 않고 미세 누출도 줄일 수 있어 임상에서 매우 유용한 장비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두 개의 광원이 구강내에서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광원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야 한다. 현재 개발된 LED는 광량이 충분하지 않아 시술 시간의 단축을 원하는 소아 환자의 접착 수복에서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수복물의 완전한 중합과 중합 시간의 감소를 위해 더 높은 출력의 광원이 필요하고, 이는 LED광원의 발달에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