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AEP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정신질환에서 Loudness Dependence of Auditory Evoked Potential (LDAEP)의 임상적 의미 (Clinical Implication of Loudness Dependence of Auditory Evoked Potential (LDAEP) in Psychiatic Illness)

  • 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1호
    • /
    • pp.29-37
    • /
    • 2012
  • LDAEP와 세로토닌 기능 간의 직접적인 관계의 초기 증거들은 동물 실험으로부터 도출되었고 이후 세로토닌성 장애에 기반한 질병들의 임상 실험을 통하여 간접적인 뒷받침이 이루어 져왔다. 현재까지 LDAEP와 세로토닌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해주는 증거는, 우선 세로토닌 시스템 내에서 유전적 polymorphism을 연구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 직접적으로 약물을 투여 하는 방식으로 확보되었다. LDAEP가 연관된 대부분의 연구는 모노아민 시스템에 초점을 맞춰왔으나 LDAEP에 대한 다른 신경전달 시스템의 효과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향후 세로토닌 외에도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등 다른 신경전달물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vivo 중추 세로토닌 기능의 유효한 비침습적 표지자로서 LDAEP를 확정짓기 전에, 단기적 조절뿐 아니라 장기적 세로토닌성 조절이 포함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증거로 보면 LDAEP의 가장 유망한 활용은 초기 항우울 치료반응과 관련된 생물학적 지료서의 활용이다. 최근의 연구들은 LDAEP의 노르아드레날린성 그리고 세로토닌성 항우울제 반응에 대한 민감도를 확인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기초 결과들을 재현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뇌 사건유발전위의 관계 (Cognitive Abilities and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가영;민정아;채정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3호
    • /
    • pp.115-120
    • /
    • 2012
  • Objectives : Event-related potentials have been suggested as an objective marker for brain functions in psychiatric disorder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300, the mismatch negativity (MMN), the loudness dependence of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LDAEP),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neurocognitive abiliti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P300, the MMN, and the LDAEP were measured and the Korean Stroop color-word test (K-stroop test) and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were performed in 43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relationship of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and the MMN as well as regression slope of the LDAEP with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analyzed by t-test and correlation analyses for categorical and continuous variables, respectively. Results :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 latency of central (Cz) and parietal (Pz) P300 posivitively correlated with GAF at admission (Cz ; ${\gamma}$ = 0.385, p = 0.047, Pz ; ${\gamma}$ = 0.421, p = 0.029). The amplitude of parietal P300 correlated with the correction rate of the K-stroop test (${\gamma}$ = 0.575, p = 0.002). In addition, the frontal (Fz) P300 latency tended t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rrection rate of the WCST (${\gamma}$ = -0.371, p = 0.057).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values of P300 latency and amplitude might be correlated with GAF at admission and working memory measured by the K-Stroop test and the WCST. Meanwhile, the MMN and the LDAEP did not correlate with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These results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howing associations with P300 and impaired cognitive ability.

우울증 환자에서 불면과 자살, 세로토닌의 연관성 (Insomnia in Relation to Suicide and Serotoni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박영민;강승걸;이헌정;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1호
    • /
    • pp.29-32
    • /
    • 2014
  • 목 적: 세로토닌 활성도와 척도를 이용하여 세로토닌과 수면, 세로토닌과 자살 사고, 자살과 수면과의 상호 관련성을 평가하려고 하였다. 방 법: 주요우울증으로 진단된 65명을 대상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투여 받기 전 우울증의 심각도, 수면 양상, 자살 사고 정도를 평가하고 소리 자극과 뇌파를 이용하여 세로토닌 활성도 수치를 측정하였다. 결 과: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중 불면 척도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불면증이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총 BDI 점수와 BDI 중 자살 항목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두 군 간의 세로토닌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살 시도 과거력이 있는 군과 자살 시도 과거력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자살 시도군이 비시도군보다 BDI 중 자살 항목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세로토닌 활성도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자살 시도군에서 세로토닌 활성도가 더 낮은 경향성을 보였다. 결 론: 현재까지의 연구로는 자살, 수면, 세로토닌 모두가 서로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아직까지 유효한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을 보다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우울증 환자에서 일주기 형태에 따른 양극성 경향, 자살 사고, 청각유발전위와의 관련성 : 예비 연구 (Chronotype in Relation to Bipolarity, Suicidal Ideation, and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Preliminary Study)

  • 박영민;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1호
    • /
    • pp.14-20
    • /
    • 2014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utativ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suicidality or bipolar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Method Nineteen outpati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MDD according to the four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text revision were recrui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ir Basic Language Morningness (BALM) scores (dichotomized according to the median BALM score). The Loudness Dependence of Auditory Evoked Potentials (LDAEP)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before beginning medication with serotonergic agents. In addition, K-Mood Disorder Questionaire (K-MDQ), Beck Scale for Suicidal Ideation (BSS), Beck Hopelessness Scale (BH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were applied. Results The K-MDQ, BSS, BHS, BIS score was higher for the eveningness group than for the morningness group. However, the LDAEP,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ilton Anxiety Scale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m.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BALM score and the total K-MDQ, BSS, and BHS scores (r=-0.64 and p=0.0033, r=-0.61 and p=0.0055, and r=-0.72 and p=0.00056, respectively). Conclusions Depressed patients with eveningness are more vulnerable to the suicidality than those with morningness. Eveningness is also associated with bipo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