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BC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Counterterrorism in the Lake Chad Basin Commission and Its Effects on Tenure

  • Gwaya, Kwalar Raymond;Ham, Myungsik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3권2호
    • /
    • pp.155-182
    • /
    • 2019
  • 이 글은 아프리카 지역의 정부조직인 차드 분지 호수위원회(LCBC) 회원국이 테러조직인 보코하람의 테러 행위에 맞서기 위해 형성한 다국적군의 활동이 참여국 정치지도자들의 권력 유지에 어떤 영향을 행사하는지 조사했다. 2010년에서 2018년 기간 나이지리아, 카메룬, 니제르, 차드의 정치지도자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이 지역에서 독재국가의 지도자들보다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지도자들이 반테러주의 활동의 실패에 대해 더 많은 정치적 비판에 직면한 결과 권력 유지에 실패했음을 파악했다.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add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nnamon extract)

  • 허창기;심기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4-7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물 대신 첨가하여 제조한 sourdough의 제빵 특성과 식품첨가물로서의 계피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반죽의 무게는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식빵의 무게는 D 식빵에서 가장 높았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C 시료에서 가장 높았고, 굽기손실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분함량과 pH는 계피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적정산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색도에서 백색도는 계피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식빵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액이 감소하고 계피추출물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증가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ALH(Lactobacillus sakei subsp. ALI033)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로 제조한 식빵은 대조구보다 부피와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피 추출물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여도 식빵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ALH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주정 추출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β-Carotene prevents weaning-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by modulating gut microbiota in piglets

  • Li, Ruonan;Li, Lingqian;Hong, Pan;Lang, Wuying;Hui, Junnan;Yang, Yu;Zheng, Xi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7호
    • /
    • pp.1221-1234
    • /
    • 2021
  • Objective: Weaning is an important stage in the life of young mammals, which is associated with intestinal inflammation, gut microbiota disorders, and even death. β-Carotene display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an prevent the develop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However, whether β-carotene can affect intestinal microbiota remains unclear. Methods: Twenty-four piglets were distributed into four groups: the normal suckling group (Con), the weaning group (WG), the weaning+β-carotene (40 mg/kg) group (LCBC), and the weaning+β-carotene (80 mg/kg) group (HCBC). The serum, jejunum, colon, and faeces were collected separately from each group. The effects of β-carotene on the phenotype, overa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were assessed in weaning pigle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β-carotene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relieved inflammation. Furthermore, β-caroten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pecies from phyla Bacteroidetes and the genus Prevotella, and Blautia, and increased the species from the phyla Firmicutes and the genera p-75-a5, and Parabacteroides compared to the WG group.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revotella and Blautia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Parabacteroides and Synergist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interleukin-1β (IL-1β), IL-6, and tumour necrosis factor-α (TNF-α), while p-75-a5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L-6 in serum samples from piglet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β-carotene could alleviate weaning-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by modulating gut microbiota in piglets. Prevotella may be a potential target of β-carotene in alleviating the weaning-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in pig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