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8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31초

NMR Characterization of Oxidized Form of Human 8-kDa Dynein Light Chain

  • Shin, Jae-Sun;Jeong, Woo-Jin;Chi, Seung-Woo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3
    • /
    • 2010
  • Redox-dependent conformational change of human 8-kDa Dynein light chain (LC8) plays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NF-${\kappa}B$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structural states of the oxidized and reduced forms of LC8 by using NMR spectroscopy. The $^1H-^{15}N$ 2D HSQC spectra of oxidized LC8 indicated that no significant change in tertiary structure of LC8 occurred upon oxidation. The chemical shift perturbations of LC8 upon oxidation suggest a redox-dependent quaternary structural change.

Role of the mammalian ATG8/LC3 family in autophagy: differential and compensatory roles in the spatiotemporal regulation of autophagy

  • Lee, You-Kyung;Lee, Jin-A
    • BMB Reports
    • /
    • 제49권8호
    • /
    • pp.424-430
    • /
    • 2016
  • Autophagy, an evolutionarily conserved cellular degradation pathway of the lysosome, is associated with many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The hallmark of autophagy is the formation of the autophagosome that engulfs and degrades cytosolic components via its fusion with the lysosome, in either a selective or a non-selective manner. Autophagy is tightly regulated by proteins encoded by autophagy-related (atg) genes. Among these proteins, ATG8/LC3 is essential for autophagosome biogenesis/maturation and it also functions as an adaptor protein for selective autophagy. In mammalian cells, several homologs of yeast Atg8 such as MAP1LC3, GABARAP, and GABARAPL 1/2 have been identified. However, the biological relevance of this gene diversity in higher eukaryotes, and their specific role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mammalian ATG8/LC3 family and discuss recent advancements in understanding their roles in the autophagic process.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구성 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Typ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Yield in Alpine Pasture)

  • 성경일;이준우;정종원;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9-266
    • /
    • 2005
  • 본 연구는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초지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지역에 맞는 방목용 혼파조합을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대관령의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1990년 8월부터 1993년까지 3년간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해발 840m에 위치한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목초의 혼파조합 및 파종량(kg/ha)은 관행혼파조합으로 대조구인 C구 : OG+TF+TI+KBG+LC (18:9:8:3:2), T1구 : OG+TF+KBG+LC (24:8:2:2), T2구: OG+TF+KBG+RC(24:8:2:2), T3구: OG+TI+KBG+LC (26:8:2:2), T4구 : OG +TF+KBG+LC (8:28:2:2), T5구: OG+TI+KBG+LC (8:24:2:2) 및 T6구: OG+RCG+KBG+LC (8:26:2:2)의 7개 처리로 하였다. 목초 파종 후 초종별로 정착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복율이 점차 높아져 목초비율은 증가하고 잡초 및 나지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생구성은 TI, OG, KBG 및 LC가 균형적인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잡초와 나지율이 낮은 T5구가 대관령지역에 적합한 혼파조합으로 나타났다. 방목이 경과됨에 따라 목초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차별로는 1993년의 T5구에서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처리간에 건물수량도 유의차는 없었지만 T5구에서 9,344kg/ha로 가장 많았다. 이상에서 산지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으로 적합한 것은 식생구성비율 및 건물수량 면에서 티머시 위주의 T5 (OG:TI:KBG:LC=8:24:2:2kg/ha)인 것으로 사료된다.

야관문(Lespedeza Caneata) Ethanol 추출물이 납 투여한 생쥐의 간장과 콩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spedeza Caneata ethanol extract on the Liver, Kidneys of Lead administered Mice)

  • 정경아;정민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07-214
    • /
    • 2016
  • 본 연구는 야관문 추출물이 납 투여된 생쥐의 간장과 콩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조군(Nor), 납 단독투여 4주군 (Pb 4W), 납 단독투여 8주군 (Pb 8W), 납-야관문 복합투여 4주군(Pb-LC 4W), 납-야관문 복합투여 8주군(Pb-LC 8W)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대조군은 1차 증류수를, 납 단독투여군은 lead acetate를 증류수에 1000ppm으로 용해하여 식수로 공급하였다. 납-야관문 복합투여군은 납을 식수로 공급하면서 야관문을 500 mg/kg 농도로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혈액의 AST, ALT, BUN 효소활성과 간장, 콩팥의 조직학적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ST, ALT, BUN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의 납 단독투여군 보다 납-야관문 복합투여군에서 수치가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결과는 간장과 콩팥에서 Pb 4W군은 일부가 변형되었고 Pb 8W군은 대부분에서 괴사와 변형이 일어났고 Pb-LC 4W군과 Pb-LC 8W군은 Pb 4W군과 Pb 8W군 비해 변형이 완화되었다. 같은 기간의 납 단독투여군 보다 납-야관문 복합투여군에서 조직 변화가 완화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야관문 추출물이 납 투여한 생쥐의 간장과 콩팥의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노르아드레날린성 신경세포에서의 BDNF 생산 증진 물질 탐색 (Screening of Potential Compounds Promoting BDNF Production in Noradrenergic Locus Coeruleus Neurons)

  • 전홍성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07-210
    • /
    • 2003
  • Locus coeruleus (LC)에는 전체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의 절반 가량이 모여 있는데, 여기서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이 뇌의 거의 모든 부위로 신경자극을 보내게 된다. LC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같은 여러 가지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타격을 받는 주요 부위이다. 뇌 유래 신경영양인자, BDNF가 LC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뉴런들의 분화와 신경세포 생존에 중요한 조절자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LC 노르아드레날린성 신경세포에서 여러 가지 작은 분자들과 성장인자들이 BDNF 생산을 촉진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분자들로는 neuropeptides, cytokines, 성장인자, 신경전달물질들과 세포내 신호전달물질들이 포함되었다. 여러 가지 작은 분자들과 성장인자들 중에서 FGF8b, BMP-4, forskolin 그리고 dibutyrl cGMP가 LC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에서 BDNF 분비를 뚜렷하게 증대시킨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BMP-4는 BDNF 생산을 2.5배 이상 증가시켰다. LC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에서 BDNF를 증가시킨 물질들은 여러 가지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신경세포가 손실되는 것을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치료제나 증상완화제로서의 가능성이 높다.

부울함수의 DC 및 LC특성

  • 지성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3-5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블럭 암호를 벡터 부울함수로 해석하여 블럭 암호의 주 공격 방법인 DC및 LC 특성에 관한 제반 사항을 분석한다. 특히, 벡터 부울함수가 일대일, 균형 또는 치환인 경우에DC 및 LC특성의 결과를 블력 암호에 적용하여 이들 두 공격에 대한 안전성을 명확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DC 및 LS 에의 안전성이 증명되는 블럭 암호 설계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출력 신호의 진폭 제어 회로를 가진 10 GHz LC 전압 제어 발진기 (10 GHz LC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Amplitude Control Circuit for Output Signal)

  • 송창민;장영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75-981
    • /
    • 2020
  • 위상 잡음을 개선하기 위한 출력 신호의 진폭을 제어하는 회로를 가진 10 GHz LC 전압 제어 발진기(VCO : voltage-controlled oscillator)가 제안된다. 제안된 LC VCO를 위한 진폭 제어 회로는 피크 검출 회로, 증폭기, 그리고 전류원 회로로 구성된다. 피크 검출 회로는 2 개의 diode-connected NMOSFET과 하나의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출력 신호의 최젓값을 감지함으로 수행된다. 제안하는 진폭 제어 회로를 가진 LC VCO는 1.2 V 공급 전압을 사용하는 55 nm CMOS 공정에서 설계된다. 설계된 LC VCO의 면적은 0.0785 ㎟이다. 제안된 LC VCO에 사용된 진폭 제어 회로는 기존 LC VCO의 출력 신호에서 발생되는 242 mV의 진폭 변화를 47 mV로 줄인다. 또한, 출력 신호의 peak-to-peak 시간 지터를 8.71 ps에서 931 fs로 개선한다.

Liquid Crystal Lens Array with Thermally Controllable Focal Length and Electrically Convertible Lens Type

  • Heo, Kyong Chan;Kwon, Jin Hyuk;Gwag, Jin Seo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1호
    • /
    • pp.88-94
    • /
    • 2015
  • This paper reports the fabrication of a lenticular liquid crystal (LC) lens array with thermally tunable focus and with the function of a convertible lens type, using the surface structure of a UV-curable polymer and a twisted-nematic (TN) LC cell. The TN LC cell makes the LC lenticular lens function as a converging or diverging lens by controlling electrically the polarization of input light. Therefore, the focal lengths for both the converging and diverging lenses, which can be switched from the TN cell, can be tuned by changing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LC by Joule heating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As a result,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with the E7 LC was changed continuously from 8.7 to 31.2 mm for the converging lens type and from -9.8 to -14.2 mm for the diverging lens when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25 to $56^{\circ}C$.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이용한 이중 도메인 FFS 모드의 전기광학 특성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the Dual Domain Fringe-Field Switching(FFS) Mode using the Liquid Crystal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 김향율;고재완;노정동;서대식;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720-725
    • /
    • 2002
  • The fringe-field switching (FFS) mode was known to exhibit both a wide viewing angle and high transmittance, especially when using the liquid crystal (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In the device, the LC director rotates almost in-plane. However, in the bright state the device shows bluish and yellowish color along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LC director at off-normal directions since the LC director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Such a problem was greatly improved using a wedge shape of only pixel electrodes. In this way two different field directions exist in a pixel, enabling the LC director to rotate in two opposite directions. Consequently, owing to dual domain effect when using the 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greatly improved.

Fodder Productivity and Growth Persistency of Three Local Cassava Varieties

  • Tung, C.M.;Liang, J.B.;Tan, S.L.;Ong, H.K.;Jelan, Z.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9호
    • /
    • pp.1253-1259
    • /
    • 2001
  • Three cassava varieties, namely MM 92 (MM), Black Twig (BT) and Local (LC), were arrang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o evaluate their dry fodder and crude protein (CP) productivity as well as growth persistency. Cassava plants grown in small plots of $5m{\times}10m$ at a planting distance of $25cm{\times}25cm$ were harvested every 6 weeks starting from 3 months after planting. Dry fodder yields of MM, BT and LC over the 8 harvests were 8.55, 8.01 and 6.15 t/ha, respectively. All varieties produced more leaves than stems with average leaf:stem ratios of 5, 5.9 and 4.8 for MM, BT and LC, respectively. In terms of CP production, MM was the highest yielder (272 kg/ha/harvest), followed by BT and LC (238 and 184 kg/ha/harvest, respectively). The total accumulative CP amounts over the 8 harvests were 2179, 1903 and 1474 kg/ha for MM, BT and LC,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s were 9.91, 14.01 and 13.98% for MM, BT and LC, respectively. Phosphorus content was more stable than potassium content during defoliation. MM, BT and LC had whole plant phosphorus contents of 0.41, 0.41 and 0.39%, respectively; whole plant potassium contents were 1.25, 1.38 and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