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GO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A report of 17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of Korea belonging to the phylum Bacteroidetes

  • Cho, Jang-Cheon;Seong, Chi Nam;Joh, Kiseong;Cha, Chang-Jun;Bae, Jin-Woo;Yi, Hana;Lee, Soon Dong;Kim, Myung Kyum;Yoon, Jung-H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7권3호
    • /
    • pp.231-239
    • /
    • 2018
  • While screening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in Republic of Korea in 2017, a total of 17 bacterial strains assigned to the phylum Bacteroidetes were isolated from a variety of environmental habitats including water of fountain, tidal flat, plant root, soil, the gut of Russian grayling butterfly, ginseng field, seawater, lagoon and seashore sand. From the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of more than 98.7% and the formation of a robust phylogenetic clade with the closest species, it was found that the 17 strains belong to independent and recognized bacterial species. There has been no official report that the identified 17 species have been previously isol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us, 15 species in 10 genera of one family in the order Flavobacteriales, one species in one genus of one family in the order Cytophagales, and one species in one genus of one family in the order Sphingobacteriales are proposed as unrecorded species of the phylum Bacteroidetes found in the Republic of Korea. Gram reaction, colony and cell morphology, basic phenotypic characteristics, isolation source, taxonomic status, strain ID and other information are described in the species descriptions.

고창 장호리 해안사구의 수직 발달 과정 연구 (Vertically Development Processes of Jangho-ri Coastal Dune, West Coast of Korea)

  • 한민;김진철;양동윤;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9-92
    • /
    • 2016
  • Samples from two boreholes of coastal dune field at Jangho-ri coast, Gochang was studied. These were analyzed by grain size analysis geochemical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of OSL dating metho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during the Holocene. The boreholes SB8 and SB9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sedimentary layers by their mean grain siz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upper sand layer is equivalent to the present coastal dune layer, which developed since 1,200 years ago; the silt layer in the middle to the dune slack or lagoon sedimentation layer, which developed between 1,200 and 6,000 years ago; and the sand layer at the bottom to the paleo coastal dune that developed between 6,000 and 7,000 years ago. It was proposed that the forming material of current coastal dune was supplied from the sandy flat in coastal area, while the middle silt layer was supplied from the weathered soil of a bed rock by the comparison with material of surrounding area. In the case of coastal dune, concentrated layer of sands were identified which were buried about 300 and 1,200 years ago, which is identified as the little ice age. This study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Jangho-ri coastal dunes after Holocene Climate Optimum period, and it is likely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coastal dunes development.

First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sp. and Fusarium sp. Isolated from Mangrove in Mexico and the Antagonist Effect of Trichoderma harzianum a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 Grano-Maldonado, Mayra I.;Ramos-Payan, Rosalio;Rivera-Chaparro, Fernando;Aguilar-Medina, Maribel;Romero-Quintana, Jose Geovanni;Rodriguez-Santiago, Amparo;Nieves-Soto, Mari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5호
    • /
    • pp.465-475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potential fungal species affecting mangrove species in Mexico. The phytopathogen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1/ITS4) primers then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related sequences in GenBank (NCBI). Three fungal species were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queenslandicum (Weir and Johnst, 2012) from black mangrove (Avicennia germinans); Colletotrichum ti (Weir and Johnst, 2012) from white mangrove (Laguncularia racemosa) and buttonwood mangrove (Conocarpus erectus); Fusarium equiseti (Corda) from red mangrove (Rhizophora mangle). In addition, C. ti and F. equiseti were identified from mango Mangifera indica L. sampled close by the mangrove area. This study provides first evidence of anthracnose on four mangrove species caused by Colletotrichum and Fusarium species in the "Términos" coastal lagoon in Campeche State southern Mexico. This is the first time that C. queenslandicum and C. ti are reported in Mexico. F. equiseti has not been reported affecting M. indica and R. mangle until the present work. Little is known regarding fungal diseases affecting mangroves in Mexico. These ecosystems are protected by Mexican laws and may be threatened by these pathogenic fung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effect of Trichoderma harzianum TRICHO-SIN as an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against of Colletotrichum and Fusarium species.

Diversity of phytoplankton species in Cheonjin Lake, northeastern South Korea

  • Kim, Han S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40-258
    • /
    • 2018
  • Background: Several investigations carried out from large brackish lagoons in South Korea. However, no studies have yet examined phytoplankton in lagoons that changed to freshwater, such as Cheonjin Lak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lgae from Cheonjin Lake.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at monthly inetrvals from May 2017 to April 2018, from the surface layer using a plankton net (mesh size $20{\mu}m$), and sequeezing submerged macrophytes. Microscopic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t a magnification of 200 to 1000x using a Zeiss microscope (Axio Imager. A2), and photographs were taken with an AxioCam HRC camera. Silica-scaled samples of Chrysophyta for SEM were placed on coverglass, air dried, coated with gold, and then examined with a Hitachi SV8220 SEM. Results: A total of 376 taxa from six major algal groups (Chlorophyta, Chrysophyta, Euglenophyta, Cyanophyta, Dinophyta, and Cryptophyta) were identified. Among these algae, 28 taxa of desmids, 9 taxa of Euglenophyceae, 4 taxa of Chlorophyceae, 2 taxa of Chrysophyceae, and 1 taxon of Xanthophycea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new species, Cosmarium hexagonum sp. nov was describe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haracterized by an abundance of Desmids (within Charophyceae) accounted for 148 taxa from 22 genera. Species richness were particularly high in the Autumn. Conclusion: In this study, a total 376 taxa of 148 desmids (Charophyceae), Chlorophyceae (103 taxa), Chrysophyceae (53 taxa), Euglenophyta (49 taxa), Dinophyta (8 taxa), and Cryptophyta (2 taxa) were identified from Cheonjin Lake. Twenty-eight taxa of desmids including a new species (Cosmarium hexagonum sp. nov.), 9 taxa of Euglenophyceae, 4 taxa of Chlorophyceae, 2 taxa of Chrysophyceae, and 1 taxon of Xanthophyceae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동해안 석호 퇴적물의 간극수에 함유된 금속류의 화학종 분포 (Metal Speciation in the Lagoon Sediment Interstitial Water from the Northeast Coast, Korea)

  • 김동진;김민철;유진열;권상용;서용찬;양재의;오승륜;옥용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712-720
    • /
    • 2008
  • 호소나 하천바닥의 퇴적물에는 많은 양의 미량 금속이 함유되어 있으며, 퇴적물과 간극수 사이에는 미량 금속들의 교환이 일어난다. 간극수로 이동된 미량 금속들은 쉽게 수환경으로 확산되어 수생태계에 독성을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미량 금속들은 존재형태에 따라 수생물에 미치는 독성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포호 등 10개의 동해안 석호에 대한 퇴적물의 간극수를 분석하고 화학종 분포 예측 프로그램(MINTEQA2)을 이용하여 미량 금속들의 존재형태를 예측하여 수환경에서의 독성여부를 확인하였다. 퇴적물에서 추출한 간극수의 미량 금속 분석결과를 예측 결과, K와 Na는 자유이온형태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Al, As 및 Cr 등은 자유이온 형태를 비롯한 3$\sim$4개의 착물을 형성하였고 Ca, Co, Cd, Ni, Pb 및 Zn 등은 10개 이상의 다양한 착물을 형성하였다. 염분도가 높은 청초호 등(Group I호소)은 Cd, Co, Ni, Pb, Hg 및 Zn이 주로 염화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Fe, Mn 및 Mg는 황산화 착물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염분농도가 낮은 천진호 등(Group II호소)은 Hg와 Cd가 염화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Cu, Mg, Mn, Ni, Pb 및 Zn는 황산화 착물을 형성하였다. Fe는 Fe(OH)$_2{^+}$, Fe(OH)$_3$(aq) 등의 수산기 착물을 형성하였다. 또한 염분농도와 상관없이 Al, As 및 Cr은 전체 호소에서 수산기 및 산화형태의 착물을 형성하였다. 대부분 호소의 간극수에 존재하는 미량 금속들은 자유이온(M$^{x+}$)형태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 M$^{x+}$ + xCl$^-$와 M$^{2+}$ + SO$_4{^{2-}}$의 착물을 형성하고 있어 수환경으로 확산될 경우 생태계 독성 및 축척을 일으킬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중부 동해안 석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Landscape Changes of Coastal Lagoons during the 20th Century in the Middle East Coast, South Korea)

  • 윤순옥;황상일;박충선;김효선;문영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49-465
    • /
    • 2008
  • 석호는 홀로세 해진극상기 이후 지속적으로 매적되어가는 자연스러운 지형발달과정을 겪는다. 한반도 중부 동해안의 대표적인 7개 석호인 화진포, 송지호, 광포호, 영랑호, 매호 향호, 경포호를 대상으로, 석호 지형 경관 보존의 우수성과 20세기 동안 석호 경관 변화 정도를 석호 면적과 호안길이 보존율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석호를 분류하고 경관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면적은 송지호($0.56km^2$, 92%), 화진포($2.06km^2$, 90%), 영랑호(0.96km, 86%), 향호($0.32km^2$, 76%), 경포호($0.90km^2$, 52%), 매호($0.14km^2$, 50%), 광포호($0.07km^2$, 32%) 순으로, 호안길이는 화진포(11.90km, 100%), 향호(3.34km, 90%), 영랑호(7.21km, 89%), 경포호(7.11km,79%), 송지호(5.56km,79%), 광포호(1.16km, 62%), 매호(2.16km, 58%) 순의 경관보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20세기 동해안 석호의 경관 변화 특징은 화진포(Al), 향호(A2), 영랑호(A3), 송지호(A4)는 보존이 잘 되었으나, 경포호(B4), 광포호(B5), 매호(B6)는 크게 축소되었다. 금세기에 이르러 경지확대를 위한 매립과 개발사업이 심각하게 진행되면서 석호면적은 크게 축소되고 경관이 변하였다. 경포호, 매호, 광포호는 경관 변화가 컸는데, 특히 매호, 광포호와 같이 소규모 석호일수록 변형과 파괴가 심하였고, 경포호는 도시화와 관광산업을 위해 인공호수로 바뀌었다.

중국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의 돌로마이트 산상과 화학조성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olomite from Zhenzigou Pb-Zn Deposit, China)

  • 유봉철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3호
    • /
    • pp.177-191
    • /
    • 2021
  •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은 중국 동북지역에선 가장 규모가 큰 연-아연 광상 중의 하나로 지체구조상 Jiao Liao Ji belt내 Qingchengzi mineral field에 위치한다. 이 광상의 주변지질은 시생대의 그래뉼라이트(granulite)와 이를 관입한 고원생대의 미그마타이트질 화강암과 고-중원생대의 소딕(sodic)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피복한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 및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의 섬록암과 몬조나이틱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내 Langzishan 층 및 Dashiqiao 층내에서 층상 광체 및 맥상 광체로 산출되며 층준규제 퇴적분기형 또는 퇴적분기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들은 산출 광물조합 및 정출순서를 기초로 1)모암인 돌로마이트(D0), 2)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층상 광체내 돌로마이트(백색운모, 석영, 칼리장석, 섬아연석, 방연석, 황철석, 유비철석)(D1) 및 3)석영맥과 함께 산출되는 맥상 광체내 돌로마이트(석영, 인회석, 황철석)(D2)로 산출된다. 이들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은 각각 Ca1.00-1.03Mg0.94-0.98Fe0.00-0.06 As0.00-0.01(CO3)2(D0), Ca0.97-1.16Mg0.32-0.83Fe0.10-0.50Mn0.01-0.12Zn0.00-0.01Pb0.00-0.03As0.00-0.01(CO3)2(D1), Ca1.00-1.01Mg0.85-0.92Fe0.06-0.11Mn0.01-0.03As0.01(CO3)2(D2)로써 이론적인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보다 미량원소들의 함량이 높다. 특히, 이들 돌로마이트내 FeO 및 MnO 함량은 각각 0.05-2.06 wt.%, 0.00-0.08 wt.%(D0), 3.53-17.22 wt.%, 0.49-3.71 wt.%(D1) 및 2.32-3.91 wt.%, 0.43-0.95 wt.%(D2)로써 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1)에서 높은 함량을 갖는다. 또한 다른 미량원소들은 ZnO, As2O5, PbO, Sb2O5 및 HfO2 원소들이 소량 함유되며 단지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1)에서 ZnO 및 PbO 원소들의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다.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의 Do 및 D2는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되며 D1는 철백운석(ankerite)과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된다. 따라서 1)모암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0)는 고원생대의 Jiao Liao Ji 분지내 해양증발석호(marine evaporative lagoon) 환경에서 퇴적된 Ferroan 돌로마이트, 2)층상 광체내 돌로마이트(D1)는 고원생대의 화성활동 및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열수교대작용으로 의한 돌로마이트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철백운석(ankerite) 및 Ferroan 돌로마이트 및 3)맥상 광체내 돌로마이트(D2)는 중생대의 화성활동에 수반된 열수용액에 의해 형성된 Ferroan 돌로마이트이다.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Analysis of Tidal Asymmetry and Flood/Ebb Dominance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 윤병일;우승범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915-928
    • /
    • 2012
  •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M_2$ 진폭비를 분석한 결과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며, 조석의 상대 위상차($2M_2-M_4$)를 계산하면 모든 정점의 값이 $180^{\circ}C$ 이하로 창조 우세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류자료의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조석 조화상수의 상대 위상차 결과와는 다르게 최강 평균 낙조가 창조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나며, 정조시각을 이용하여 창조, 낙조 지속시간을 계산하면 낙조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각 조류 관측정점의 주축 방향 유속성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 이후 염하수로 북쪽입구까지는 상관도 값이 0.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류 분석결과에서 보여지는 낙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화분해 결과를 재구성하였다. 주 분조($M_2$)와 천해 분조($M_4$)를 결합하면 창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전형적인 창조우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곡선에 조류 성분의 산술 합으로 계산한 비 조류성분(잔차류)의 값을 더하면 낙조가 강해지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로 나타난다. 즉, 천해분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류방향의 흐름을 극복하는 담수와 하구 비선형 효과에 의해서 생성되는 장주기 조류성분과 같은 낙조방향의 평균적인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특한 낙조심화 현상이 염하수로에서 나타난다.

생물학적 처리 침출수의 응집 및 펜톤산화 처리 (Effective Coagulation and Fenton Reagent Oxidation of Effluent from Biological Landfill Leachate Treatment)

  • 원종철;남궁완;박기혁;조준호;윤조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11-81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으로 질산화/탈질 처리한 침출수와 기존 라군 처리한 침출수를 대상으로 응집과 펜톤산화시 최적 처리조건을 탐색하고, 펜톤산화시 알카리도가 COD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Jar-Tester를 이용한 응집처리시 염화제이철($FeCl_3$)의 적정 투입농도는 약 $1500mgFe^{3+}/L$로 조사되었으며, 이때 $COD_{Cr}$은 약 55%, $COD_{Mn}$은 약 64%의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응집처리후($1,500mgFe^{3+}/L$) 펜톤처리시 약품투입비는 $Fe^{2+}/H_2O_2$의 비 1.5에서 COD 처리효율은 약 80%로 최대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며, 이때 최적 약품투입농도는 철염 $600mgFe^{2+}/L$, 과산화수소수 $400mgH_2O_2/L$이었다. 펜톤 산화시 유입수의 알카리도가 증가됨에 따라 COD 처리효율이 저하되었다.

  • PDF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하천유수지 오염토의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Brewing Cycle for Contaminated Soil in Water Retention Basin)

  • 신은철;정민교;김경식;강정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1호
    • /
    • pp.35-43
    • /
    • 2016
  • 이 연구는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수지 악취 제거와 유수지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정화효과를 확인하고, 현장 적용성 시험을 바탕으로 토양오염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 내에 침전된 유기오염물질을 분석하여 악취유발 원인과 토양오염 물질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복합발효미생물과의 혼합발효를 이용하여 악취와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유수지 오염토의 물리 화학적 구성과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확인하여 악취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토의 혼합실험을 통해 혼합방법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은 한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오염 제거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자연정화처리 방법에 비해 악취농도가 2.5배 저감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토양으로부터 배출된 간극수의 수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 혼합토의 교반실험에서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된 구리와 납이 각각 65%와 66%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기물인 TPH 성분은 85%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유수지 오염토의 복원은 교반과 혼합비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을 통해 악취와 토양오염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