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3Shim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3초

Evaluation of Enzymatic Method using an Automated Chemistry Analyzers for Homocysteine Measurement

  • Shim, Moon-Ju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6-200
    • /
    • 2007
  • 호모시스테인은 관상동맥질환,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지고 있다. 초기의 호모시스테인 측정은 HPLC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검사실에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으며 현재 여러 가지 면역분석기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자동화학분석기를 이용한 새로운 효소법의 시약이 개발되어 이 시약의 유용성 평가를 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면역분석기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밀도 평가에서 변이계수는 0.98 - 3.23%, 2.55~4.58%를 나타내었고, 자동화학분석기(TBA 200FR와 Advia 1650)를 이용한 새로운 효소법(HBI)과 기존의 면역분석기(Advia Centaur와 Immulite 2000)간의 상관관계 평가에서 상관계수는 0.9632와 0.9625로 우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호모시스테인 측정에 있어 새로운 효소법의 자동화학분석기를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어 보다 간편하고 쉬운 routine analysis에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 PDF

정상 어린이에서 혈청 인슐린양 성장인자-I과 인슐린양 성장인자 결합단백-2 및 -3의 농도 분석 (Evaluation o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IGFBP)-2 and IGFBP-3 Levels in Healthy Korean Children)

  • 양기훈;정혜림;김덕수;심재원;심정연;박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298-305
    • /
    • 2005
  • 목 적 : 혈청 IGF-I, IGFBP-2, IGFBP-3 농도 및 IGF-I/IGFBP-3 molar ratio는 소아의 성장 발달, 당뇨병, 비만 및 악성종양의 진단, 예후 예측과 치료후 추적에 유용한 지표이지만 성별, 연령별, 인종별 변이가 있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어린이의 성별 및 연령군별 혈청 IGF-I, IGFBP-2, IGFBP-3 농도 및 IGF-I/IGFBP-3 molar ratio의 정상 표준치 확립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총 92명(남자 42명, 여자 50명)의 건강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고, 신생아군 9명(남자 3명, 여자 6명), 영아군 19명(남자 9명, 여자 10명), 유아군 24명(남자 13명, 여자 11명), 학령군 30명(남자 12명, 여자 18명), 청소년군 10명(남자 5명, 여자 5명)으로 분류 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 IGF-I, IGFBP-2 및 IGFBP-3 농도를 측정하였고, 각 군간의 IGF-I, IGFBP-2, IGFBP-3 및 IGF-I/IGFBP-3 molar ratio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1) 남자에서는 IGF-I과 IGFBP-3는 출생과 더불어 증가하여 각각 유아군(P<0.05), 학령군(P<0.05)에 최고값에 도달한 후 청소년군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IGFBP-2와 IGF-I/IGFBP-3 molar ratio는 각각 학령군과 영아군에 최고값을 보이고 감소하였으나 출생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각 군간의 비교에서 IGFBP-2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여자에서는 IGF-I과 IGFBP-2, IGFBP-3는 출생과 더불어 증가하여 각각 청소년군, 학령군(P<0.05), 학령군(P<0.05)에 최고값에 도달하였으나 IGF-I은 출생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IGF-I/IGFBP-3 molar ratio는 출생시에 최고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군간의 비교에서 IGFBP-2 및 IGFBP-3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동일연령군별 남녀 비교에서 IGF-I과 IGFBP-2, IGFBP-3 및 IGF-I/IGFBP-3 molar ratio 어느 것도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상관관계 조사시 IGF-I의 농도가 높을수록 IGFBP-3의 농도 역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r=0.504, P=0.000), IGF-I/IGFBP-3 molar ratio와 비만도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051, P=0.629). 또한 비만도와 IGF-I, IGFBP-2 및 IGFBP-3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결 론 : IGF-I과 IGFBP-3는 사춘기 진행에 따라 증가하며, 본 연구에서 IGFBP-3가 학령군에서 최고 수준을 보이는 것은 사춘기가 일찍 오는 요즘 어린이들의 성장 추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IGFBP-2는 신생아군에서 가장 높고 영아군에서 감소하는 데 이것은 IGFBP-2가 출생 전 발달 과정에 중요한 물질임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향후 더 많은 정상아를 대상으로한 연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우리나라 어린이의 성별 연령군별 정상 표준치 확립이 필요하겠다.

올리고당을 첨가한 설기떡의 노화지연에 관한 연구 (Effect of Oligosaccharides on Retrogradation of Sulgidduk)

  • 김영아;심혜련;노정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13-524
    • /
    • 2015
  •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oligosaccharides with 2, 4, 6% (w/w) (fruc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chito-oligosaccharide and soybean-oligosaccharide)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sulgidduks (Korean rice cake) were examined. The amylograph results of rice flour showed that chito-oligosaccharide hastened gelatinization, and delayed retrogradation. Blue value results of chito-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showed retarded retrogradation during storage (1, 2 and 3 days). Chitooligosaccharide and xylo-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showe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during storage. Lightness (L) decreased and redness (a) and yellowness (b) increased with increasing oligosaccharide amounts.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sulgidduks, color of fructo-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obtained the highest score among 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During storage, xylo-oligosaccharide and fructo-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had higher flavor, taste, graininess and overall quality scores than the control. Physicochemical tests showed that chito-oligosaccharide retarded retrogradation, whereas chito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had low scores in sensory tests due to aftertaste of chito-oligosaccharide. To improve the sensory quality of chito-oligosaccharide added sulgidduks, mixtures of chito-oligosaccharide with xylo-oligosaccharide and fructooligosaccharide were applied at ratios of 3%:3%, 2%:4% and 1%:5%,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chito-oligosaccharide and xylo-oligosaccharide at ratios of 2%:4% and 1%:5% to sulgidduks showed relatively high scores in the sensory evaluation retarding retrogradation.

가와사끼병에서 관상동맥류 발생에 관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임상적 의의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s a Predictive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Coronary Artery Lesions in Kawasaki Disease)

  • 박민혁;정혜림;양주희;심정연;김덕수;심재원;박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811-816
    • /
    • 2003
  • 목 적 : 저자들은 가와사끼병의 혈관염 발생 및 관상동맥 질환 합병증 발생에 있어서 VEGF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가와사끼병에서 혈청 VEGF 농도를 측정 후 관상동맥류 등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과 다른 임상적 위험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그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강북삼성병원 소아과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11례의 환자와 건강 검진을 위해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였던 건강한 어린이 11명을 대상으로 ELISA 방법으로 혈청 VEGF 농도를 측정하여 두 군 사이를 비교하였으며, 관상동맥 내경, 발열 기간, 혈색소치, 백혈구 수, 혈소판 수, ESR, CRP, LDH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1) 평균 혈청 VEGF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279.9{\pm}150.6pg/mL$, 가와사끼병 환자군에서 $847.9{\pm}495.7pg/mL$으로 대조군에 비해 가와사끼병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환자군 중 두 번 채혈이 가능하였던 5명의 급성기 VEGF 농도는 $913.1{\pm}662.6pg/mL$이었고, 발열이 회복된 아급성기 VEGF 농도는 $1,086.2{\pm}624.7pg/mL$로서 급성기와 아급성기 두 시기에서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3) 환자군 중 관상동맥류(CAL)가 있었던 5명의 평균 VEGF 농도는 $1,059.2{\pm}573.8pg/mL$이었고, CAL이 없었던 6명의 평균 VEGF 농도는 $671.9{\pm}382.5pg/mL$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혈청 VEGF 농도와 관상 동맥의 내경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_s=0.75$). 5) 혈청 VEGF 농도와 발열기간, 혈색소치, 백혈구 수, 혈소판 수, ESR, CRP, LDH치 사이에 의의있는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가와사끼병에서 혈청 VEGF 농도의 측정은 가와사끼병의 진단과 관상동맥류 합병증 발생 예측에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CaAl-monosulfate와 CaAl-ettringite를 이용한 인공비소폐수의 비소 제거 연구 (Arsenic removal from artificial arsenic water using CaAl-monosulfate and CaAl-ettringite)

  • 심재호;김기백;최원호;박주양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1-148
    • /
    • 2012
  • 시멘트를 이용한 고형화/안정화의 여러 기작 중 시멘트 페이스트의 구성물인 monosulfate와 ettringite에 초점을 맞춰 이들을 각 각 합성하고 인공비소폐수에서의 비소 제거 실험을 실시했다. 소성과 중탕 과정을 거쳐 $Ca^{2+}$$Al^{3+}$이 mainlayer를 이루고 있으며, $SO_4^{2-}$가 interlayer에 삽입되어 있는 CaAl-monosulfate와 $Ca^{2+}$$Al^{3+}$가 column형태의 구조로, $SO_4^{2-}$가 channel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CaAl-ettringite를 합성했다. 순수하게 합성된 시료로 1.335 mmol/L As(V) 농도의 수용액을 각각 0.054 mmol/L As(V)와 0.300 mmol/L As(V)까지 감소시켰다. PXRD와 FESEM을 이용하여 반응 전 후의 시료 결정 구조와 상 분석을 행함으로써 이온교환에 의해 인공비소폐수의 비소가 제거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Ethanol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지은;심상필;정유석;정희경;김영찬;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55-763
    • /
    • 2011
  • 본 실험은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진피의 에탄올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예비실험 결과에 따라 요인변수들 중 시료대 용매비를 20 mL/g로 고정하여 반응표면을 나타내었다.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 및 총 폴리페놀함량의 최대값은 예측된 정상점에서 능선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36.31%와 13.86 mg/mL이었다. 추출조건별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3.19~6.67 mg/mL의 범위였으며, 결과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0.8986로 5%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는데 에탄올농도보다 추출온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8646로 10%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추출조건에 따른 hesperidin함량은 0.4282~3.823 mg/mL의 범위였으며, 추출온도보다는 에탄올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진피 추출물의 특성인 수율, 총 폴리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전자공여능, hesperidin함량에 대해 contour map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시료대 용매비 20 mL/g, 에탄올 농도 55~73%, 추출온도 $89\sim95^{\circ}C$로 예측되었다.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E_2$ 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Barks of Ulmus macrocarpa

  • Kim, Hyun-Jung;Yeom, Seung-Hwan;Kim, Min-Kee;Shim, Jae-Geul;Lim, Hyun-Woo;Lee, Min-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344-346
    • /
    • 2004
  • Eight phenolic compounds (1-8)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barks of Ulmus macrocarpa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nitric oxide (NO) and prostagrandin $E_2$ (COX-2) production in $interferon-{\gamma}\;(INF-{\gamma})$ and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in vitro. NO and COX-2 levels were moderate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compounds (1-8). Among them 3,4,5,6,7 and 8 inhibited NO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an $IC_{50}$ of 92.2, 97.3, 36.1, 43.5, 32.8, 39.4 and 37.1 ${\mu}g/ml$, respectively (positive control, L-NMMA; 36.4 ${\mu}g/ml$), and 3,4,5,6,7 and 8 reduced the COX-2 level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an $IC_{50}$ of 43.2, 24.8, 24.8, 33.4, 44.8 and 22.7 ${\mu}g/ml$, respectively (positive control, indomethacin; 23.4 ${\mu}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enolic compounds may be developed as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코로나19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여성호르몬이 강화된 캐나다산 식이 보충제의 동향 (Trends in Canadian Dietary Supplements Enhanced with Female Hormones Required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 심윤영;뤠니 제이 티 마틴;이학성;김혜진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2022
  • As one of the post-COVID-19 response strategies, representative processed products derived from the natural plant material flaxseed and a dietary supplement fortified with female hormones (estrogens) were developed in Canada, an eco-friendly country was introduced. These products were: 1) flaxseed oil to help maintain cognitive and immune function, 2) Lignan50, a substance with effects similar to estrogen, a female hormone, 3) XanFlax, a thickener for confectionery/baking and egg substitute, 4) MediFlax, a constipation reliever, 5) SesaFlax, which has a fragrance similar to sesame, 6) Linusorb, which is effective for its pharmaceutical anti-inflammatory/anti-oxidation and anti-aging properties, and 7) LinuLyte, a water/electrolyte supplement containing high dietary fiber. It is expected that these dietary products will help maintain and promote health as part of a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남극 연안생태계에서 일차생산력의 계절변화 (The 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Antarctic Coastal Ecosystems)

  • 김해철;양성렬;배세진;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2호
    • /
    • pp.80-89
    • /
    • 1998
  • 남극 내만 생태계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에 따른 분포 및 생리상태, 그리고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남극에 위치한 Maxwell 만과 Marian 소만에서 1994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색소량, 일차생산력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 동안 관측한 chlorophyll a의 농도는 미검출 수준(not detected)~3.03 ${\mu}g/l$ (평균 0.63 ${\mu}g/l$)의 비교적 큰 변화를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0.53~18.95 mg C/$m^3{\cdot}day$를 기록하였으며, 수층적분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은 41.28~560.20 mg C/$m^3{\cdot}day$의 범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일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2$=0.29, p < 0.01), 일차생산력은 일사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나($r^2$=0.85, P < 0.001), 온도와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절하는데 기여하지 않았다.

  • PDF

생체시료 중 멜라민 화합물의 미량분석법 개발연구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Melamine Related Compounds in Biological Samples)

  • 한경문;김진호;조수열;심선보;이진희;이지현;황의선;김성일;조양하;채갑용;권순재;이준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5-1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료나 수지의 원료물질로 알려진 멜라민이 최근 수입식품 및 가공식품 등에서 검출되어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어 생체시료 중 멜라민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벨리데이션을 실시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생체시료(뇨 및 혈액) 중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 분석을 위해 단백질 침전법, 액체상 추출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LC/MS를 이용한 멜라민 최적분석법의 벨리데이션 결과에서 검출한계는 0.2 ng/mL(멜라민), 2.0 ng/mL(시아누르산)이었으며 각 정량범위내의 직선성은 0.9990이상을 가졌다. 뇨및 혈 중 멜라민의 quality control 시료는 0.5 ng/mL, 0.8 ng/mL, 2.0 ng/mL, 3.0 ng/mL으로서 뇨 중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의 정확성은 91.6%-107.6%범위를 나타내었고 정밀성은 2.0%-11.8%으로 나타났다. 혈 중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의 정확성은 94.9%-119.0%범위를 나타내었고 정밀성은 3.7%-13.5%으로 나타났다. 또한, GC/MS를 이용한 멜라민 분석의 검출한계는 5.0 ng/mL(멜라민), 5.0 ng/mL(시아누르산)이었고, 뇨 및 혈중 멜라민의 quality control 시료는 10.0~40.0 ng/mL이었으며, 뇨 및 혈 중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의 정확성은 83.7%~ 10.7% 범위를 나타내었고, 정밀성은 3.5%-13.8% 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