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2TP

검색결과 421건 처리시간 0.042초

광주천의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의 동태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Periphyton in Gwangju Stream)

  • 조혜경;정명화;김규만;심성순;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69-78
    • /
    • 2010
  • 광주천의 5개 지점에서 2003년 4월부터 2004년 2월 까지 부유 및 부착 조류를 조사한 결과 총 8강 19목 6아목 35과 4아과 79속 274종이 동정되었다. 군집 구조는 규조류가 절대우점하는 가운데, 녹조류와 남조류 등이 포함된 다양한 종조성을 나타냈다. 조사기간 동안 부유조류는 방림교정점과 양동시장정점에서 총 137종이 채집되어 가장 다양한 부유조류 분포를 나타냈고, 유촌교정점에서 118종이 출현하였으며 동산타워정점에서는 50종이, 증심천정점에서는 43종이 출현하였다. 월별 출현종 변화는 양동시장정점에서 가장 컸고 동산타워정점에서 가장 작았으며 강우가 출현종 변이의 큰 요인이었다. 부착조류도 규조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광주천 조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에서 조류의 총 개체수와 성관성을 가장 크게 보인 요소는 클로로필 a (평균: R=0.795)의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 성장에 중요한 영양염류인 TN과 TP도 양동시장정점에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상요인으로는 7일 전 강우와 총 개체수 사이에 비교적 높은 상관성이 나타났는데 광주천의 상류인 동산타워정점에서 R=0.810의 상관도를 기록하였다. 기온과 습도는 거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BOD와 COD, DO, pH의 경우도 미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총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지점별로 살펴 보면, 동산타워정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사시점의 7일 전 강우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그 영향력이 감소되었다. 클로로필 a의 농도와 개체수의 상관성은 개체수가 점차로 증가하는 하류에서 그 상관성이 높았으며, 이 두 가지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pH, DO, BOD, COD, SS, TN, TP 등은 모두 가장 하류인 유촌교정점에서보다 양동시장정점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추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유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음료의 관능적 특성 (Effect of extract temperature and dur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Ulmus pumila bark extract)

  • 조명래;오유나;마진경;이수진;최영희;손동화;장은희;김종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95-1003
    • /
    • 2016
  • 본 연구는 유백피를 기능성 음료로 사용하고자 유백피를 다양한 온도(4, RT, $80^{\circ}C$)및 시간(1, 5분)으로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된 유백피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otal phenolic 및 tannin 함량을 분석하고, 유백피 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백피 수용성 추출물의 pH는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의 경우 $80^{\circ}C$ 5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유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H_2O_2$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4^{\circ}C$ 1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유백피 추출물에 함유된 total phenolic의 함량은 유백피 $80^{\circ}C$ 수용성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total tannin content는 $4^{\circ}C$ 1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온도에서 5분간 추출한 유백피 음료를 관능평가한 결과 $80^{\circ}C$ 열수 추출물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유백피 추출물은 phenolic 및 tannin compound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성 음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광주지역 주요하천에서 TOC 특성과 수질오염지표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TOC and Water Pollution Index in Major Streams of Gwangju)

  • 양윤철;이대행;이경석;안상수;송형명;이세행;윤상훈;김선정;전홍대;조영관;서광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3-210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placement of COD to TOC, which is more accurate and reliable in analysis, as the water quality pollution index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the correlations for organic matter, suspended solids and nutrient materials during 2012 to 2015. The oxidation rates were compared by calculating the values of BOD-C/TOC & COD-C/TOC. The average value of TOC was 3.4(1.1 ~ 8.0) mg/L at 14 sites during the period. The ratios of BOD-C/TOC and COD-C/TOC, that mean the resolvability amounts among all carbon materials, were 28.8% and 62.7%,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to COD at all sites was 0.718 (p<0.01), the highest value in comparing all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to COD at Gwangju stream was 0.753 (p<0.01), the highest compare to the values at other riv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to COD was 0.757 (p<0.01) at all sites in the range of TP-III ($0.1{\leq}TP$) and the value was 0.762 (p<0.01) in the range of TN-II ($2.0{\leq}TN$<3.0). As a result, TOC could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index of organic matter instead of COD.

미세조류 옥외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돈분 액체 비료의 영양염류 제거 및 바이오디젤 생산 (Biodiesel Production and Nutrients Removal from Piggery Manure Using Microalgal Small Scale Raceway Pond (SSRP))

  • 최종은;김병혁;강시온;오희목;김희식
    • 환경생물
    • /
    • 제32권1호
    • /
    • pp.26-34
    • /
    • 2014
  •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화석 연료의 감소로 인해 바이오디젤과 같은 재생 가능한 대체 에너지 자원이 관심을 받고 있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은 기존의 농작물과 경쟁하지 않는 것과 더불어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배양의 생산 비용 절감과 축산 폐수 처리라는 두 가지 목표를 충족시키지 위해 돈분 액체 비료를 사용하였다. 옥외 배양 시스템(Small Scale Raceway Pond; SSRP)과 희석된 돈분 액체 비료를 이용하여 단일 미세조류 Chlorella sp. JK2, Scenedesmus sp. JK10 과 혼합 토착 미세조류 CSS를 20일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미세조류 혼합균주인 CSS의 바이오매스 생산과 지질 생산성은 각각 $1.19{\pm}0.09gL^{-1}$, $12.44{\pm}0.38mgL^{-1}day^{-1}$로 단일 종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돈분 액체 비료의 TN, TP의 제거율 역시 혼합 토착 미세조류 CSS에서 93.6%, 98.5%로 단일 종의 이용에 비해 30%이상 높은 제거 효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돈분 액체 비료는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N과 P를 제공하며, 미세조류를 이용한 SSRP를 통하여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조류 배양을 위한 생산 비용의 감소로 경제성 있는 바이오디젤의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들잔디 위의 한지형 잔디 덧파종 효과 (Effects of Cool-Season Turfgrass Overseeding onto Zoysiagrass)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85-9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cool-season turfgrass overseeding onto zoysiagrass(Zoysia japonica L.) for extending green color and solving traffic problem during dormant periods. Overseeding rates of cool-season turfgrasses were $10g/m^2$ of Kentucky bluegrass(KB1), $20g/m^2$of Kentucky b1uegrass(KB2), $60g/m^2$ of perennial ryegrass(PR), $80g/m^2$ of Tall fescue(TF), and $10g/m^2$ of Kentucky bluegrass + $10g/m^2$ of perennial ryegrass mixture(KB+PR) onto 2m${\times}$2m(width${\times}$length) zoysiagrass plots with 3 replications.1 to 9-sca1e of visual quality and visual color were measured after treatment, Consequently cool-season turfgrass overseeding gave a good performances of extending the green periods and enhancing the turf grass quality. KB1 and KB2 were found to be excellent performances for visual quality and visual color compared to PR, TF, KB+PR and control. KB2 showed better turf performances than KB1 within Kentucky bluegrass overseedings. Turfgrass color was kept up for 10 months by overseeding of cool-season turfgrasses(KB1, KB2, PR, TP, KB+PR) compared to about 5~6 months by zoysiagrass(Control). The visual quality and visual color of PR and TF showed good performances during a green-up period of spring, but decreasing tendencies through the summer.Percent diseases data revealed also higher ratings for PR and TF compared to for KB1 and KB2.

낙동강 지류 이안천의 수질 평가 (Estimation on the Water Quality of the Ian Stream, a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 최광순;이혜근;김호준;김세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9-1243
    • /
    • 2005
  • The water quality of the Ian Stream, a tributary of the Na14dong River, was estimated to provide an information in establishment of an 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r fan dam which will be constructed in near future. Seven stations were selected in upstream (3 stations) and downstream (4 stations) of Ian Stream, centering the construction site of Ian dam.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surface water of 7 stations selected on May 1, June 16, and September 1 in 2004. The values of DO, pH, and BOD are satisfied Grade I for river water standard in nearly all site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showed low level with ranges of $1.10\~2.25\;mgN/L,\;5\~14\;{\mu}gP/L$. However, the total and fecal conform bacteria were detected in nearly stations, especially high at the upstream stations. The number of fecal conform bacteria corresponds to the Grade III for river water standard. In addition, some metals (iron, manganese) were detected during dry season. As a consequence, general water quality of Ian Stream satisfied Grade I for river standard and it is expected that pollution loads from watershed i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detection of fecal conform, which is thought to be from livestock and residents, and some metals originating mimes watershed can have a potential health risk exists for aquatic organisms lived in Ian Stream. It needs to be solved by the construc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to diminish the health risk from stream water polluted by fecal conform and metals, and to provide the safe ecological habitat for aquatic organisms.

  • PDF

Coloring agent가 지르코니아 색조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oring agent on the color of zirconia)

  • 김광현;노관태;배아란;우이형;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25
    • /
    • 201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coloring agent의 종류와 적용 횟수가 지르코니아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단일구조 지르코니아($15.7mm{\times}15.7mm{\times}2.0mm$)를 준비하여 완성된 시편은 11개 실험군 그룹으로 coloring agent의 종류와 적용 횟수에 따라 a1-a5와 w1-w5로 나누었다. 색조의 측정은 분광측색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Coloring agent를 적용시키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각 그룹의 색차의 정도(${{\Delta}E^*}_{ab}$)와 translucency parameter (TP)를 분석하였다. 측정치는 two-way ANOVA, multiple comparison $Sch{\acute{e}}ffe$ test, Pearson correlation와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Coloring agent의 적용횟수가 증가할수록 두가지 종류 모두에서 지르코니아의 명도는 감소하고 황색계열은 증가했다. Coloring agent는 지르코니아의 투명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각 그룹 간의 색조차이는 ${0.87{\Delta}E^*}_{ab}$에서 ${9.43{\Delta}E^*}_{ab}$였다. 결론: Coloring agent의 종류와 적용 횟수는 지르코니아의 색조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BR을 이용한 하수와 우사폐수로 구성된 혼합폐수의 영양소 제거 (The Nutrient Removal of Mixed Wastewater composed of Sewage and Stable Wastewater using SBR)

  • 김홍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617-62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optimal operating parameter on organic matters and nutrient removal of mixed wastewater which was composed of sewage and stable wastewater using SBR. A laboratory scale SBR was operated with An/Ae(Anaerobic/Aerobic) ratio of 3/3, 2/4 and 4/2(3.5/2.5) at organic loading rate of 0.14 to 0.27 kgBOD/$m^3$/d. TCOD/SCOD ratio of mixed wastewater was 3, so the important operating factor depended upon the resolving the particulate parts of wastewate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mixed wastewater, BOD and COD removal efficiencies were 93-96% and 85-89%, respectively. It was not related to each organic loading rate, whereas depended on An/Ae ratio. During Anarobic period, the amount of SCOD consumption was very little, because ICOD in influent was converted to SCOD by hydrolysis of insoluble matter. 2) T-N removal efficiencies of mixed wastewater were 55-62% for Exp. 1, 66-76% for Exp. 2, and 67-81% for Exp. 3,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nitrification rate was increased according to organic concentration in influent increased. Therefore, the nitrification rate seemed to be achieved by heterotrophs. During anoxic period, denitrification rate depended on SCOD concentration in aerobic period and thus, was not resulted by endogenous denitrification. However, the amount of denitrification during anaerobic period were 3.5-14.1 mg/cycle, and that of BOD consumed were 10-40 mg/cycle. 3) For P removal of mixed wastewater, EBPR appeared only Mode 3($3^*$). It was found that the time in which ICOD was converted to VFA should be sufficient. For mode 3 in each Exp., P removal efficiencies were 74, 87, and 81%, respectively. But for 45-48 of COD/TP ratio in influent, P concentration in effluent was over 1 mg/L. It was caused to a large amount of ICOD in influent. However, as P concnetration in influent was increased, the amounts of P release and uptake were increased linearly.

  • PDF

돼지의 분뇨 배설량 및 분뇨 성분 조사 (The Study on the Amount and Major Compositions of Excreta from Swine)

  • 황보종;홍의철;박희두;김동운;조성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319-328
    • /
    • 2010
  • 돼지의 성장단계별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과 분뇨특성 등에 대한 정확한 자료 제시로 양돈농가에서 돈분뇨 처리에 기본 자료로 활용하여 적절한 분뇨처리를 유도하고, 장기적인 축산분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한 본 시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시돈은 평균체중 $19.00{\pm}0.33kg$의 3원교잡종(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자돈 12두와 번식돈 12두를 공시하여, 육성 비육돈 성장 4단계(20, 50, 80, 110 kg)와 번식돈 2단계(임신돈, 포유돈)에 걸쳐 실시하였다. 돼지 평균 분뇨 배설량은 자돈에서 3.46 kg/두/일(분: 1.07 kg, 뇨: 2.39 kg)이고 분과 뇨의 평균 수분함량은 각각 70.54%와 97.39%이었다. 분 중 칼슘, 마그네슘, 구리, 납 및 비소의 함량은 각각 1.00%, 0.26%, 10.47 mg/kg, 2.43 mg/kg 및 1.02 mg/kg이었다. 본 시험에서 카드뮴과 수은은 모든 성장 단계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돼지 분뇨의 $BOD_5$, CODmn, SS, T-N, T-P의 오염물질농도는 각각 분에서 96,335 mg/${\ell}$, 61,073 mg/${\ell}$, 207,466 mg/${\ell}$, 8,104 mg/${\ell}$ 및 4,209 mg/${\ell}$, 뇨에서 7,364 mg/${\ell}$, 7,149 mg/${\ell}$, 2,715 mg/${\ell}$, 10,110 mg/${\ell}$ 및 613 mg/${\ell}$이었다. 돈 분뇨에서 BOD, $COD_{mn}$, SS, T-N 및 T-P의 오염물질 부하량은 분에서 각각 일일 두당 102.1 g, 61.8 g, 221.6 g, 8.7 g 및 3.9 g이었고, 뇨에서 19.3 g, 16.7 g, 8.0 g, 22.2 g 및 1.3 g이었다. 또한 분뇨의 비료성분인 N, $P_2O_5$ 그리고 $K_2O$의 함량은 각각 분에서 0.96%, 0.83% 및 0.42% 이었으며, 뇨에서 0.80%, 0.09% 및 0.53% 이었다.

영농기 농촌 소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Discharge in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during Farming Season)

  • 김진호;이종식;류종수;이경도;정구복;김원일;이정택;권순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2
    • /
    • 2005
  • 괴산지역 내 소규모 농업유역을 대상으로 영농기 농촌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물질의 유출 특성을 조사하고자 소하천의 본류, 생활하수 유입하천 및 강수의 오염물질 농도와 하천 유량을 측정하여 오염부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영농기 동안 농촌유역 소하천 말단에서의 수질은 BOD의 경우 강우기 평균 3.0 mg/L, 평상시 평균 2.4 mg/L의 값을 보였으며, SS의 경우 강우기 평균 76.6 mg/L, 평상시 평균 10.9 mg/L을 나타냈으며, T-N과 T-P는 각각 강우기 평균 8.7, 0.16 mg/L, 평상시 3.5, 0.11 mg/L의 값을 나타내었다. 연구 기간 동안 측정한 수질 농도와 유량을 곱하여 부하로 계산한 결과 영농기에 유출되는 오염부하의 경우 95% 이상이 강우기에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기간 동안 유역 말단에서 측정된 오염물질의 부하량은 T-N의 경우 $26.63kg/km^2/day$, T-P의 경우 $0.62kg/km^2/day$의 값을 나타내어 기존 연구 결과의 범위 안에 있었다. 대상유역의 발생 및 배출 오염부하를 산정하기 위하여 환경부의 오염총량관리계획수립지침에 의거 계산한 배출부하량을 본 연구에서 실측한 유달부하량과 비교한 결과 유달율이 모든 수질 항목에서 10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영농기 농촌 소유역에 적용하여 오염부하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농촌 유역의 특성과 영농활동을 고려한 시기별 비점오염 물질의 유출 기작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