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lucidu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택란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효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Cytotoxic Effects, and Flavonoid Content of Fractions from Leaves of Lycopus lucidus Turcz.)

  • 나은;이정우;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택란 잎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택란 잎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택란 잎 분획물에 의한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택란 잎 85% MeOH 및 n-BuOH분획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1.5{\pm}0.00mg/g$$77.2{\pm}0.01mg/g$으로 n-BuOH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DPPH assay에서 택란 잎 n-BuOH 분획물의 활성산소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85% MeOH 분획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높았다(p<0.05).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9.76 mg/ml, 85% MeOH 0.50 mg/ml, n-BuOH 0.03 mg/ml 및 water 0.78 mg/ml로 나타났다. 또한 택란 잎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에 의한 ABTs+소거활성은 각각 89.3% 및 92.1%이었으며 대조군인BHT와 L-ascorbic acid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p<0.05). ABTs+ assay에서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0.96 mg/ml, 85% MeOH 0.16 mg/ml, n-BuOH 0.01 mg/ml 및 water 0.31 mg/ml로 나타났다.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은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 특히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가장 높았다. AGS 암세포에 대한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18, 0.03, 0.62 및 0.12 mg/ml이었고 HT-29 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26, 0.16, 0.60 및 1.14 mg/ml이었다. HT-1080 암세포에서 택란 잎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34, 0.14, 0.48, 및 1.05 mg/m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택란 잎 n-BuOH 분획물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에 효과적이었고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은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향후 택란 잎을 이용한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Betulinic Acid by Producing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ctivation of Macrophages

  • Yun, Yun-Ha;Han, Shin-Ha;Park, Eun-Jung;Yim, Don-Sool;Lee, Sook-Yeon;Lee, Chong-kil;Cho, Kyung_Hae;Kim, Kyung_Ja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2호
    • /
    • pp.1087-1095
    • /
    • 2003
  • Betulinic acid (BA), a pentacyclic triterpene isolated from Lycopus lucidus, has been reported to be a selective inducer of apoptosis in various human cancer and shown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properties. We postulated that BA modulates th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at least two groups of protein mediators of inflammation, interlukin-1$\beta$ (IL-1$\beta$) and th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role of the monocytes and tissue macrophages in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s. TNF-$\alpha$ and IL-1$\beta$ were produced by BA in a dose 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 of 0.625 and 10 $\mu$g/mL. The production of NO associated with iNOS was inhibited when treated with LPS at the concentration of 2.5 to 20 $\mu$g/mL of BA whereas COX-2 expression was decreased at 2.5 to 20 $\mu$g/mL. These modulations of inflammatory mediators were examined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peritoneal macrophages. The morphology of macrophage was also examined and enhanced surface CD 40 molecule was expressed when treated BA at 0.625∼5 $\mu$g/mL with or without LPS. Furthermore, BA (20 $\mu$g/mL) enhanced apoptosis by producing DNA ladder in the RAW 264.7 cells. Our results indicated that BA induced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his may provide a molecular basis for the ability of BA to mediate macrophage, suppress inflammation, and modulate the immune response.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 비교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 최웅;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2-148
    • /
    • 1992
  • 95종의 식용 혹은 약용식물로부터 에탄올과 물을 용매로 하여 얻은 126종의 추출물을 괌유, 돈지 및 대두유에 첨가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면서 추출 수율이 높은 민들레, 질경이, 붉나무, 택란엽, 황기, 포공영 등 6종을 1차 선발하여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실험한 결과 붉나무 추출물이 팜유 및 돈지의 유도기간을 연장시키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붉나무 추출물을 팜유에 600ppm 첨가시 AI(Antioxidant index, 각 항산화제 첨가구의 유도기간을 무첨가구의 유도기간으로 나눈 값)는 1.35였고, 돈지에서는 AI가 3.03으로 돈지에 효과가 우수하였다.

  • PDF

Neuroprotective Effects of Medicinal Herbs in the Transient Focal Ischemia

  • Oh, Jin-Kyung;Jung, Ji-Wook;Ahn, Nam-Yoon;Oh, Hye-Rim;Ryu, Jong-H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64-64
    • /
    • 2003
  • It is thought that highly reactive oxygen radicals generated at the ischemia-reperfusion in case of strok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amaging the brain. We examin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from the several medicinal herbs in the transient ischemic rat model and compared their effects with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ransient ischemia was induced by intraluminal occ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ty for 120 min and reperfusion was continued for 22 h in rat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medicinal herbs were examined in vitro by determination of the interaction with the 1,l-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table free radical. Aqueous extracts of 11 medicinal herbs (200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promptly prior to reperfusion and 2 h after reperfusion. Total infarction volume in the ipsilateral hemisphere of ischemia reperfusion rats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the treatment of 7 medicinal herbs (Sophora flavescens, Lycopus lucidus, Sanguisorba officinalis, Caesalpinia sappan, Albizia julibrissin, Rubia akane, Psoralea corylifolia, Prunella vulgaris). However, all of these medicinal herbs did not show antioxidative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oprotective effects of several drugs are not always correlated with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 PDF

한국산(韓國産) 민어과(科)(농어목(目)) 어류(魚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검토(再檢詞)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Sciaenidae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이충렬;박미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53
    • /
    • 1992
  • 1989년부터 1992년 5월까지 우리나라 서남연안에서 채집된 한국산 민어과 Sciaenidae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 민어과 어류는 5속(屬) 13종(種)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조사 결과 강달이속(屬) Collichthys에는 황갈달이 C. lucidus와 눈강달이 C. niveatus, 조기속(屬) Pesudosciae-na에는 부세 P. crocea와 참조기 P. polyactis, 수조기속(屬) Nibea에는 수조기 N. albiflora, 동갈민어 N. mitsukurii, 그리고 꼬마민어 N. diacanthus, 민태속(屬) Johnius에는 민태 J. grypotus, 민어속(屬) Miichthys에는 민어 M. miiuy, 백조기속(屬) Argyrosomus에는 보구치 A. argentatus, 흑조기속(屬) Atrobucca에는 흑조기 A. nibe, 라강달이속(屬) Larimichthys에는 라강달이 L. rathbunae 등 모두 8속(屬) 12종(種)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보고되었던 종(種) 중에서 Peseudosciaena manchurica는 P. polyactis로, Nibea goma는 N. diacanthus로, Johnius belengerii는 J. grypotus로, Nibea imbricatus는 Miichthys miiuy로, Nibea argentatus는 Argyrosomus argentatus로, Nibea nibe는 Atrobucca nibe로 확인되어 모두 12종(種) 중 6종(種)의 학명이 재정리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Collichthys속(屬)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출현한다는 C. fragilis는 C. lucidus와 동일종(種)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이들 종(種)들의 각종 분류학적 주요 형질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산 민어과 어류의 속(屬), 종(種) 검색표(檢索表)를 작성하였고, 각종(各種)들의 형태적 특징 및 계수 계측 형질을 기재하면서 한국산 민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고 이들의 지리적 분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새만금 일대의 어류상 (Fish Fauna of the Saemankum Area in the West Coast of Chollabuk-do, Korea)

  • 심광수;이충렬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93-303
    • /
    • 1999
  • 전라북도 서해에 위치하고 있는 새만금 지역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에 대한 조사가 1996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5개 지점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구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총 13목 52과 83속 107종이었다. 본 수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중에서 농어목 어류가 총 50종으로 전체 어류의 46.7%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16종인 횟대목과 14종인 가자미목 순으로 나타나 이들 3목 어류가 전체 출현 어종의 74.8%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 어류 중에서 13종이 확인된 망둑어과 어류는 12.1%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민어과 어류가 6종으로 5.6%, 그리고 멸치과와 참서대과 어류가 각각 5종씩으로 4.7%씩 나타내었다. 한편 본 수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여 이 지역 일대의 우점종으로 나타난 종은 E. japonicus로 전체의 23.4%였고, 다음은 T. kanmalensis가 18.5%, S. schlegeli가 12.3%, S. zunasi가 11.1% 등의 순으로 나타나, 멸치과와 청어과 어류가 전체 어류의 61.7%로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본 조사 지역에서 출현량도 많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는 A. japonica, E. japonicus, T kammalensis, K. punctatus, S. zunasi, M. cephalus, S. schlegeli, A. argentatus, P polyactis, C. lucidus, C. joyneri등이고,계절적으로 우기가 들기 전에 출현량이 많은 어종으로는 A. japonica, C. nasus, E. japonicus, T. kummulensis, K. punctatus, S. zunasi, S. schlegeli, P. polyactis, C. lusidus, P. fangi등이었으나 해수의 염도가 낮은 우기철에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한편 본 수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중에서 우리나라의 고유어종으로는 O. rotundus, R. koreanus와 R. leucopoecilus등의 3종이었다. 본 새만금 사업이 진행됨으로써 본 지역에서 완전 소멸될 수 있는 종으로는 B. pectinirostris와 갯벌에서만 서식하는 O. rotundus가 제일 먼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외에도 출현하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서식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종으로는 R. leucopoecilus, P. modestus, T. barbatus, L. ocellicauda등이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갯벌이 소멸됨으로 인해 전라북도 서해연안에 물리적, 생태적인 악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광활한 연안 조간대가 없어짐으로 인해 우기철의 만조시기에 인근 저지대에서 침수의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