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LA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3초

In situ Gel Forming Stereocomplex Composed of Four-Arm PEG-PDLA and PEG-PLLA Block Copolymers

  • Jun, Yeo-Jin;Park, Kyung-Min;Joung, Yoon-Ki;Park, Ki-Dong;Lee, Seung-Ji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8호
    • /
    • pp.704-710
    • /
    • 2008
  • Injectable hydrogels are quite promising materials due to their potential to minimize invasive implantation and this provides versatile fitness irrespective of the damaged regions and facilitates the incorporation of bioactive agents or cells. In situ gel formation through stereocomplex formation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injectable hydrogels. In this paper, a new series of enantiomeric, four-arm, PEG-PLA block copolymers and their stereocomplexed hydrogels were prepared by bulk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D-lactide and L-lactide, respectively, with stannous octoate as a catalyst. The prepar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ourier-transform infrared (FT IR) spectroscop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thermal gravitational analysis (TGA), confirming the tailored structure and chain lengths. The swelling and degradation behavior of the hydrogels formed from a selected copolymer series were observ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degradation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polymer content in the solution. The rheological behavior indicated that the prepared hydrogel underwent in situ gelation and had favorable mechanical strength. In addition, its feasibility as an injectable scaffold was evaluated using a media dependence test for cell culture. A Tris solution was more favorable for in situ gel formation than PBS and DMEM solutions we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in situ formation of hydrogel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stereocomplex with enantiomeric, 4-arm, PEG-PLA copolymers. Overall, enantiomeric, 4-arm, PEG-PLA copolymers are a new species of stereocomplexed hydrogels that are suitable for further research into injectable hydrogels.

Clinical courses and degradation patterns of absorbable plates in facial bone fracture patients

  • Kim, Young Min;Lee, Jong Hu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297-303
    • /
    • 2019
  • Background: Absorbable plates are widely used i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surgeries for facial bone fractures. Absorbable plates are made of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dioxane (PDS), or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polymers. The degradation patterns of absorbable plates made from different polymers and clinical courses of patients treated with such plates have not been fully identified.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clinical courses of facial bone fracture patients using absorbable plates and compare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he plate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for 47 cases in 46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surgery using absorbable plates to repair facial bone fractures. All surgeries used either PLA/PGA composite-based or poly-L-lactic acid (PLLA)/hydroxyapatite (HA) composite-based absorbable plates and screws. Clinical courses were confirmed and comparisons were conducted based on direct observation. Results: There were no naturally occurring foreign body reactions. Post-traumatic inflammatory responses occurred in eight patients (nine cases), in which six recovered naturally with conservative treatment. The absorbable plates were removed from two patients. PLA/PGA compositebased absorbable plates degraded into fragments with non-uniform, sharp surfaces whereas PLLA/HA composite-based absorbable plates degraded into a soft powder. Conclusion: PLA/PGA composite-based and PLLA/HA composite-based absorbable plates showed no naturally occurring foreign body reactions and showed different degradation patterns. The absorbable plate used for facial bone fracture surgery needs to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ts degradation patterns.

Momordicine I alleviates isoproterenol-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through suppression of PLA2G6 and DGK-ζ

  • Hongming Li;Yumei Qiu;Mengdie Xie;Changsheng Ouyang;Xiaoyun Ding;Hao Zhang;Wei Dong;Yinhua Xiong;Xilan T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1호
    • /
    • pp.75-8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protective effect of momordicine I, a triterpenoid compound extracted from momordica charantia L., on isoproterenol (ISO)-induced hypertrophy in rat H9c2 cardiomyocytes and investigate its potential mechanism. Treatment with 10 μM ISO 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as evidenced by increased cell surface area and protein content as well as pronounced upregulation of fetal genes including atrial natriuretic peptide, βmyosin heavy chain, and α-skeletal actin; however, those responses were markedly attenuated by treatment with 12.5 ㎍/ml momordicine I. Transcriptom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381 and 447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expressed in comparisons of model/control and momordicine I intervention/model, respectively. GO enrichment analysis suggested that the anti-cardiomyocyte hypertrophic effect of momordicine I may be mainly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metabolic processes. Based on our transcriptome experiment results as well as literature reports, we selected glycerophospholipid metabolizing enzymes group VI phospholipase A2 (PLA2G6) and diacylglycerol kinase ζ (DGK-ζ) as targets to further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 through which momordicine I inhibited ISO-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momordicine I inhibited ISO-induced upregulations of mRNA levels and protein expressions of PLA2G6 and DGK-ζ. Collectively, momordicine I alleviated ISO-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which may be related to its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glycerophospholipid metabolizing enzymes PLA2G6 and DGK-ζ

식품용 생분해성 합성수지제의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afety of Biodegradable Synthetic Resins for Food)

  • 윤희정;전종섭;김영수;박성희;송서현;구은정;채선영;이명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5-101
    • /
    • 2024
  • 유통 중인 생분해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식품용 기구 및 위생용품 50건을 대상으로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공전'의 기준·규격을 검사하였다. PLA 재질의 유아식기 1건에서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20 mg/L으로 기준치(10 mg/L 이하)를 초과하였고, 그 외 모든 시료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납, 비소 등이 기준·규격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식기를 소독하는 방법의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PLA 재질의 유아식기(n=21)에서 반복적인 열탕소독과 자외선 조사에 따른 이행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반복적인 열탕소독이 자외선 조사에 비해 포름알데히드와 비소의 이행량이 많았으나, 이행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유아(만 1-3세) 기준으로 계산한 포름알데히드와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EDI)은 최대 6.0×10-4mg/kg b.w./day 및 1.3×10-1 ㎍/kg b.w./day였으며, 이는 일일섭취한계량(TDI, 0.15 mg/kg b.w./day) 및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9.0 ㎍/kg b.w./week)의 0.40% 및 10.42%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품용 생분해성 합성수지제는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Annealing and Drawing on Crystal Structure and Supermolecular Structure of Poly (L-Lactide)

  • Sawade, E.;Irie, S.;Sasaki, T.;Sakurai, K.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The Korea-Japan Joint Symposium
    • /
    • pp.97-97
    • /
    • 2003
  • Recent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biodegradable polymers in relation to the global environment. Poly-lactide (PLA) is one of such polymers and has studied by some investigators.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crystal structure, crystal orientation and supermolecular structure of Poly(L-lactide) (PLLA) during drawing or annealing have been investigated.

  • PDF

Selective Cytotoxicity of Novel Platinum(II) Complexes on Gastric Cancer Cell-Lines and Normal Kidney Cells

  • Kim, Jung-Tae;Hong, Eon-Pyo;Rho, Young-Soo;Jung, Jee-Ch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58.3-358.3
    • /
    • 2002
  • We recently synthesized new platinum(II) complex analogs containing trans-1 and cis-l.2-diaminocyclohexane (DACH) as carrier ligands and L -3-phenyllactic acid(PLA) as a leaving group. Our platinum-based drug discovery program has been aimed at developing drugs capable of diminishing toxicity and improving selective cytotoxicity. (omitted)

  • PDF

큰포식세포에서 퉁퉁마디 추출물의 아라키돈산 대사효소조절 및 항염증 활성 (Modulation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and inflammatory process in macrophages by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 강스미;최유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71-679
    • /
    • 2018
  • 퉁퉁마디는 식용 염생식물로서 이에 대한 유용 기능성 탐색 및 생리활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70% 메탄올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의 5분획의 NO제거 및 iNOS 발현, 아라키돈산 대사에 관련된 효소 $cPLA_2$, COX-2, 5-LOX 등의 발현과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항염작용과 메커니즘을 검토하였다. 이 중 Fr.EA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고 nitrite/아질산의 제거에 있어서도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LPS로 자극한 RAW264.7 큰포식세포 배양계에서는 Fr.E가 가장 우수한 NO 제거활성과 iNOS발현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어 Fr.H와 Fr.EA의 활성 순을 나타냈다. Fr.E는 또한 LPS로 자극한 RAW264.7 배양 세포계에서 $cPLA_2$와 COX-2의 발현억제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억제를 위한 $IC_{50}$는 각각 33.4과 $27.9{\mu}g/mL$로 나타났다. Fr.E는 $cPLA_2$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ERK1/2의 인산화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Fr.H와 Fr.EA도 $80{\mu}g/mL$ 이하 농도에서 iNOS와 아라키돈산 대사효소들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하지만 가장 극성 분획인 Fr.W는 모든 활성평가 시스템에서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퉁퉁마디가 iNOS와 아라키돈산 대사효소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으며, 특히 Fr.E와 Fr.H와 같은 소수성 분획들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이를 타깃으로 하는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초임계 용매내에서 생분해성 Poly(lactide-co-glycolide) 공중합체의 혼합물 밀도 측정 (Mixture Density Measurement of Biodegradable Poly(lactide-co-glycolide) Copolymer in Supercritical Solvents)

  • 변헌수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505-512
    • /
    • 2000
  • 본 연구는 초임계 용매인 $CO_2$, CHF$_3$ 및 CHClF$_2$내에서 poly(lactide-co-glycolide) [PLGAI 용액과의 흔합물 밀도를 측정하였다. 초임계 용매와 Poly(lactic acid) [PLA] 및 PLGA간의 흔합물 밀도는 온도 27-10$0^{\circ}C$와 압력 3000 bar까지 실험하여 나타내었다 [PLGA$_{x}$의 X는 0~50 mo1% 범위에 대한 glycolide의 몰농도이다]. PLA-$CO_2$ 흔합물은 약 1430 bar 이내에서, PLA-CHF$_3$계는 700 bar 이하에서, PLA-CHClF$_2$계는 100bar 이하에서 각각 용해되었다. 이때 온도범위는 27~93$^{\circ}C$이며, 흔합물 밀도는 1.084~l.334g/$cm^3$ 범위에서 나타났다. PLGA$_{15}$ 공중합체-$CO_2$ 흔합물은 약 1900 bar 이하에서 용해되었으며, 이때 혼합물 밀도는 37~92$^{\circ}C$에서 1.158~l.247g/$cm^3$으로 나타났다. PLGA$_{25}$공중합체-$CO_2$계는 약 2390 bar이하에서, PLGA$_{25}$-CHF$_3$계에 대해서는 1470 bar이하에서, PLGA$_{25}$-CHClF$_2$계에 대해서는 118 bar 이하에서 각각 용해되었으며, 흔합물 밀도는 29~81$^{\circ}C$사이에서 1.154~1.535g/$cm^3$로 나타났다. PLGA$_{50}$-$CO_2$계는 24$0^{\circ}C$, 3000 bar내fl서는 용해되지 않았으며, 반면 PLGA$_{50}$과 CHClF$_2$의 흔합물은 오히려 5$0^{\circ}C$와 100 bar내에서 쉽게 용해되었다. 또한 PLGA와 CHClF$_2$계는 glycolid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흔합물 밀도가 증가하였다.다..다..다..

  • PDF

한국산 검정콩 색소의 생리활성효과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 손준호;정명근;최희진;장운빈;손규목;변명우;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64-768
    • /
    • 2001
  • 한국산 검정콩의 종피색소를 1% HCI 용액으로 $4^{\circ}C$에서 24시간 추출하여 $0.45\;mu}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Sep-pak plus $C_{18}$ cartridge를 통과시켜 흡착된 색소성분을 메탄올로 용출시켜 $30^{\circ}C$에서 농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정콩 세 가지 품종의 조색소액의 생리활성 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혈압에 관여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는 검정콩 1호, 일품검정콩 및 밀양 95호에서의 ($IC_{50}$)는 각각 0.22, 0.28, 0.38mg/mL로 나타나 검정콩 1호가 가장 우수하였다. 통풍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실험에서의 ($IC_{50}$)이 각각 0.118, 0.165, 0.163mg/mL로 나타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와 동일하게 검정콩 1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효과를 살펴본 결과 $cPLA_2$를 50% 저해하는 ($IC_{50}$)값이 19.7, 10.7, $25.3\;{\mu}g/mL$로 나타났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각각의 시료 중 밀양 95호가 0.5mg/mL의 농도에서 사람 유래의 결장암 세포주인 HT-29 및 사람과 마우스 유래의 간암 세포주인 HepG2와 Hepa에 대하여 각각 66.0%, 58.2%, 64.4%의 억제능을 보여 시료 중 가장 높은 함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함암효과에서는 하나의 색소로 구성된 검정콩 1호보다는 여러 색소 성분이 공존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지는 색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직공학적 골재생을 위한 탈미넬화된 골분을 함유한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및 그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mineralized Bone Particle-loaded PLGA Scaffold for Tissue Engineered Bone)

  • 장지욱;이봉;한창환;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5호
    • /
    • pp.382-390
    • /
    • 2004
  • 생체적합성 천연재료 중 하나인 탈미네랄화된 골분 (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은 골형성단백질 (BMP)을 함유하고 있어 골수간엽줄기세포 (BMSCs)의 분화를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DBP를 함유한 폴리 락타이드 (PLA)와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 다공성 지지체를 용매 캐스팅/염추출법으로 제조하였고, 수은다공측정계 및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특성결정 하였다. BMSCs는 골분화 배지를 이용하여 조골세포로 분화시켜 Wright-Giemsa, Alizarin red, von Kossa 및 ALP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DBP가 함유된 지지체와 DBP가 함유되지 않은 지지체에 BMSCs를 파종한 후 면역결핍 누드마우스의 피하에 삽입하여 이들의 골형성 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제조한 지지체의 다공도는 $90.2\%$ 이상이었고 평균 다공크기도 69.1$\mu$m 이상이었다. BMSCs는 Wright-Giemsa, Alizarin red, von Kossa 및 ALP 염색결과 조골세포로 분화가 가능했으며,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DBP가 함유된 지지체에서 칼슘침착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DBP가 함유되지 않은 지지체에서는 칼슘침착 영역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DBP를 함유한 지지체에서 DBP와 BMSCs가 골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