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inine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6초

고분자 미셀과 경피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파슬리 추출물의 피부흡수 효과 (Skin Permeability of Petroselinum Crispum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s and Epidermal Penetration Peptide)

  • 안규민;박수인;김민기;허수현;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슬리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이용하여 파슬리 추출물에 대한 피부흡수 효능을 검토하는 것이다. 항산화 측정방법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121.68{\pm}2.49mg/g$이며 파슬리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72.42{\pm}1.52mg/g$이었다. 농도 2,000 mg/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90.48{\pm}0.46%$이고 열수 추출물의 경우 $83.92{\pm}0.13%$로 나타났다. 농도 800 mg/L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91.08{\pm}0.14%$로 열수 추출물의 값($69.63{\pm}0.55%$)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SOD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고, 모든 농도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SOD 활성능이 파슬리 열수 추출물의 값보다 높았다. 16,000 mg/L의 농도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128.45{\pm}0.70%$의 가장 높은 SOD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능 실험 결과에서도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2,000 mg/L에서 가장 높은 $99.99{\pm}1.54%$의 elastase 저해능이 나타났다. 난용성 문제와 피부 흡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과 1% 세포투과 펩티드(6개 알르기닌, R6)를 함유한 40.01 nm의 입자크기를 갖는 PCL-PEG 고분자 미셀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24시간 동안 피부흡수 실험 결과에서, 총 축적된 beta-carotene의 투과량은 파슬리 추출물만 적용한 경우 $37.99{\mu}g/cm^2$을 나타내었지만,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께 적용한 경우의 파슬리 추출물의 투과량은 $68.38{\mu}g/cm^2$으로 1.8배의 경피투과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카시아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적용한 피부흡수증진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of Robinia pseudo acacia Leaf Extracts and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Using Polymer Micelles and Cell Penetrating Peptide)

  • 허수현;박수인;안규민;신문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71-2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카시아 잎의 생리활성을 평가하고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피부흡수 증진에 관한 것이다. 아카시아 잎을 열수 및 에탄올 추출한 후에, 항노화, 미백,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열수 추출에서 56.88 mg/g, 에탄올 추출에서 47.42 mg/g이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1,000{\mu}g/mL$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44.24% 저해율을 나타냈고 이는 열수 추출물의 값(41.50%)보다 더 좋은 효능을 나타냈다. Elastase 저해능 실험결과에서 농도 의존성을 보였으며,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가장 높은 54.09% 저해능, 열수 추출물은 36.95% 저해능을 보였다. SOD 유사 활성능 결과에서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고, 모든 농도에서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의 값보다 높았다. $500{\mu}g/mL$에서 76.41%, 같은 농도에서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에서 86.31%로 더욱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능 실험에서는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56.47% 저해율, 아카시아 잎 열수 추출물은 23.05% 저해율이 나타났다. 항균실험 결과에서는 아카시아 열수 추출물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아카시아 에탄올 추출물은 P ropionbacterium acnes 균주에서 11.00 mm의 최대 clear zone을, Bacillus subtilis 균주에선 10.50 mm로 최대 clear zone을 제시하였다. 난용성 문제와 피부 흡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아카시아 에탄올 추출물과 1.0% 세포투과 펩티드(6개 알르기닌, R6)을 함유한 108.23, 126.47 nm로 약 1/10배 미세한 나노입자 크기를 갖는 PCL-PEG 고분자 미셀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고, 우수한 경피흡수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심장 수술 후 혈관 확장성 쇼크가 발생한 환자에서 바소프레신 투여 요법 (Arginine Vasopressin Therapy of Vasodilatory Shock after Cardiac Surgery)

  • 안영찬;박철현;김건우;이재익;전양빈;최창휴;현성열;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13-919
    • /
    • 2006
  • 배경: 혈관 확장성 쇼크는 체외 순환을 이용한 심장 수술 후 전신성 염증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이러한 혈관 확장성 쇼크에서는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감소되어 있으므로 바소프레신을 투여함으로써 효과적인 혈역학적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심장 수술 후 혈관 확장성 쇼크가 발생한 환자에서 바소프레신 치료 요법에 관한 본원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4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체외 순환을 통한 심장 수술을 받은 199명 중에서 혈관 확장성 쇼크가 발생한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 확장성 쇼크는 평균 동맥압 70 mmHg 이하, 심장 박출 지수 2.5 $L/min/m^2$ 이상, 전신 혈관 저항 800 $dyn/s/cm^5$ 이하, 카테콜아민 혈압상승제가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진단된 혈관 확장성 쇼크 환자에게 바소프레신을 투여하고 혈역학적 변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심장 질환으로 체외 순환을 이용한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199명 중에서 22명이 혈관 확장성 쇼크로 진단되었다. 이들은 과량의 카테콜아민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였으나 평균 동맥압은 70 mmHg 이하로 유지되어 바소프레신 치료 요법을 시행하였다. 바소프레신 투여 1시간 후 평균 동맥압은 $53.3{\pm}7.4$ mmHg에서 $82.0{\pm}12.0$ mmHg로 의미 있게 상승하였고, 혈압 상승제 요구량은 $25{\pm}7$에서 $18{\pm}6$로 의미 있게 감소되었으며, 각각 12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결론 바소프레신은 혈관 확장성 쇼크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혈압 상승제이다. 심장 수술 후 발생한 혈관 확장성 쇼크 환자에서 적극적으로 바소프레신 치료요법을 시행한다면 과량의 카테콜아민 혈압 상승제 투여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고 효과적인 혈류역학적인 호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가루, 크럼블 및 펠렛사료 급여가 브로일러육의 이화학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ound, Crumble and Pellet of Physico-chemical Properites on Broiler Meat)

  • 조헌조;강신곤;차용호;김병기;우선창;여영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85-592
    • /
    • 2002
  • 본 시험은 대형육계에 있어서 생산체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영양수준(2${\sim}$3주령, ME 2,843 kcal/kg, CP 19.46% ; 4${\sim}$6주령, ME 3,072 kcal/kg, CP 17.85% ; 7${\sim}$8주령, ME 3,109kcal/ kg, CP 17.26%)에 따른 사료가공형태(대조구 : 가루$\longrightarrow$크럼블$\longrightarrow$펠렛 ; 처리1구 : 가루$\longrightarrow$크럼블$\longrightarrow$펠렛 ; 처리2구 : 크럼블$\longrightarrow$크럼블$\longrightarrow$펠렛 ; 처리3구 : 펠렛$\longrightarrow$펠렛$\longrightarrow$펠렛)로 활성탄(1%)을 혼합첨가하여 8주(56일간)동안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육의 일반성분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22.22 ${\sim}$23.40%였고, 조지방 함량은 0.30${\sim}$0.45% 범위로서 처리구가 낮았으며, 특히 처리2구는 0.28로서 가장 낮았다 (P<0.05). 계육의 가열감량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전단력과 pH는 처리3구가(1.21kg, 5.85) 낮은 경향이었다. 육색에서 명도(L)는 대조구와 처리2구가 가장 밝았고, 적색도(a)는 0.19${\sim}$0.85의 범위였고, 황색도(b )는 처리1구가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와 조직감, 향미에서 시험구간에서는 유의차는 없었다(P<0.05). 지방산에서의 myristic acid와 arachidoic acid는 처리1구가, oleic acid과 지방의 불포화도가 처리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아미노산에서 cyst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은 처리1구와 처리2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가잠의 견사물질 생성능력에 있어서 품종간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etal Features for the Silk Yielding Ability, Bombyx mori L.)

  • 이용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45
    • /
    • 1980
  • 가잠의 견사물질 생성능력에 대한 견사선의 특이성을 구명코저 견사생산성이 다른 8개 원종과 그 F$_1$교잡종에 대하여 견사선의 성장 및 조직학적 특성, 후부견, 사선의 RNA 및 DNA합성과 그 아미노산조성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을 결론을 얻었다. 1) 견사생성량이 다론 가잠품종간 F$_1$ 교배조를 만들 경우 다사량 품종은 5령유충기의 잠체중대 견사선중비 및 견사선중대 견사생성량비가 다사량 품종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2) 후부견사선의 조직학적 관찰에서 견사물질합성이 활발히 전개될 때는 세포핵의 크기 및 분지가 증대하고 5령 96시간째 세포핵의 형태에 있어서 견사생성량이 가장 적은 품종인 $N_2$$C_{60}$의 세포핵은 잠107, 잠108 등의 것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단순한 형태를 취하였다. 3) 가잠 후부견사선의 RNA함유율은 다사량계 품종이 소사량계 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잠품종간 F$_1$ 교배조를 만들 경우 견사생성량과 RNA 함유율은 정상관으로 비례하였다. 4) 가잠 5령유충기중 5령 3일을 전후(2일~4일) 한 후부견사선의 RNA 및 DNA 생성량의 증가율은 다사량계품종이 소사량계에 비하여 약 30%정도 높았다. 5) 가잠 5령유충기(2~4일)의 후부견사선에 있어서 DNA에 의한 RNA 생성효율은 다사량계가 소사량 계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6) 다사량계 잠품종의 후부견사선 DNA 생성량은 5령 4일째 374$\mu\textrm{g}$/두인데 비하여 소사량계품종은 199$\mu\textrm{g}$로서 약 53%정도이었다. 7) 가잠 후부견사선의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함유량이 가장 높은 것은 Alanine 34.8%이며 Glycine 22.8%, Serine 9.1%, Tyrosine 7.3%의 순으로서 견사 fibroin의 아미노산조성과는 달리 Glycine 함량이 Alanine에 비하여 적었다. 8) 가잠 원종과 교잡종의 후부견사선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및 Arginine등 잠체성장에 대한 영양성 아미노산은 원종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었고 Glycine Se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등 비영양성 아미노산과 Threonine은 F$_1$ 교잡종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었다. 9) 견사 생성량이 다른 가잠 품종간의 F$_1$ 교배조에 있어서 후부견사선의 아미노산조성중 G.A.S.(Glycine+Alanine+Serine)함량은 다사량 품종일수록 증가되었다.

  • PDF

Sequencing, Genomic Structure, Chromosomal Mapping and Association Study of the Porcine ADAMTS1 Gene with Litter Size

  • Yue, K.;Peng, J.;Zheng, R.;Li, J.L.;Chen, J.F.;Li, F.E.;Dai, L.H.;Ding, SH.H.;Guo, W.H.;Xu, N.Y.;Xiong, Y.ZH.;Jiang, S.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7호
    • /
    • pp.917-922
    • /
    • 2008
  • A disintegrin-like and metalloprotease (reprolysin type) with thrombospondin type 1 motif (ADAMTS1) plays a critical role in follicular rupture and represents a major advance in the proteolytic events that control ovulation. In this study, a 9,026-bp DNA sequence containing the full coding region, all 8 introns and part of the 5'and 3' untranslated region of the porcine ADAMTS1 gene was obtained. Analysis of the ADAMTS1 gene using the porcine radiation hybrid panel indicated that pig ADAMTS1 is closely linkage with microsatellite marker S0215, located on SSC13q49. The open reading frame of its cDNA covered 2,844 bp and encoded 947 amino acids. The coding region of porcine ADAMTS1 as determined by sequence alignments shared 85% and 81% identity with human and mouse cDNAs, respectively. The deduced protein contained 947 amino acids showing 85% sequence similarity both to the human and mouse proteins, respectively. Comparative sequencing of three pig breeds revealed o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ithin exon 7 of which a G-C substitution at position 6006 changes a codon for arginine into a codon for proline. The substitution was situated within a PvuII recognition site and developed as a PCR-RFLP marker for further use in population variation investigations and association analysis with litter size. Allele frequencies of this SNP were investigated in seven pig breeds/lines. An association analysis in a new Qingping female line suggested that different ADAMTS1 genotyp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tter size (p<0.0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te-incubation egg amniotic fluid and a potential in ovo feed supplement

  • Omede, A.A.;Bhuiyan, M.M.;lslam, A.F.;Iji, P.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24-1134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te-incubation egg amniotic fluid and a potential in ovo feed (IOF) supplement. Methods: Amniotic fluid was collected from broiler breeders (Ross 308, 51 weeks and Cobb 500, 35 weeks) on day 17 after incubation. A mixture of high-quality soy protein supplement - Hamlet Protein AviStart (HPA) was serially diluted in MilliQ water to obtain solutions ranging from 150 to 9.375 mg/mL. The mixtures were heat-treated (0, 30, 60 minutes) in a waterbath ($80^{\circ}C$) and then centrifuged to obtain supernatants. The amniotic fluid and HPA supernatants were analys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sults: Only viscosity and $K^+$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in both strains. Of all essential amino acids, leucine and lysine were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both strains. The osmolality, viscosity and $pCO_2$ of the supernatants decreased (p<0.05) with decreasing HPA concentration. Heat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osmolality, pH, and $pCO_2$, of the supernatants. The interactions between HPA concentration and heat treatment were significant with regards to osmolality (p<0.01), pH (p<0.01), $pCO_2$ (p<0.05), glucose (p<0.05), lactate (p<0.01) and acid-base status (p<0.01) of HPA solutions. The $Ca^{2+}$, $K^+$, glucose, and lact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HPA solution. The protein content of HPA solutions decreased (p<0.05) with reduced HPA solution concentrations. The supernatant from 150 mg/mL HPA solution was richest in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and lysine. Amino acid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p<0.05) with each serial dilution but increased with longer heating. Conclusion: The values obtained in the primary solution (highest concentration) are close to the profiles of high-protein ingredients. This supplement, as a solution, hence, may be suitable for use as an IOF supplement and should be tested for this potential.

UV-B 조사시 옥수수 잎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Nitric Oxide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Nitric Oxide against Oxidative Stress under UV-B Radiation in Maize Leaves)

  • 김태윤;조명환;홍정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323-1334
    • /
    • 2010
  • The effect of nitric oxide (NO) on antioxidant system and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oxidative stress under UV-B radiation was investigated in leaves of maize (Zea mays L.) seedlings during 3 days growth period. UV-B irradiation caused a decrease of leaf biomass including leaf length, width and weight during growth. Application of NO donor, sodium nitroprusside (SNP), significantly alleviated UV-B stress induced growth suppression. NO donor permitted the survival of more green leaf tissue preventing chlorophyll content reduction and of higher quantum yield for photosystem II than in non-treated controls under UV-B stress, suggesting that NO has protective effect on chloroplast membrane in maize leaves. Flavonoids and anthocyanin, UV-B absorbing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accumulated in the maize leaves upon UV-B exposure. Moreover, the increase of these compounds was intensified in the NO treated seedlings. UV-B treatment resulted in lipid peroxidation and induced accumulation of hydrogen peroxide ($H_2O_2$) in maize leaves, while NO donor prevented UV-B induced increase in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MDA) and $H_2O_2$.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O serves as antioxidant agent able to scavenge $H_2O_2$ to protect plant cells from oxidative damage. The activities of two antioxidant enzymes that scavenge reactive oxygen species, catalase (CAT)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in maize leaves in the presence of NO donor under UV-B stress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UV-B stress alone. Application of 2-(4-carboxyphenyl)-4, 4, 5, 5-tetramethylimidazoline-1-oxyl-3- oxide (PTIO), a specific NO scavenger, to the maize leaves arrested NO donor mediated protective effect on leaf growth, photosynthetic pigm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PTIO had little effect on maize leaves under UV-B stress compared with that of UV-B stress alone. $N^{\omega}$-nitro-L-arginine (LNNA),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NOS), significantly increased $H_2O_2$ and MDA accumulation and decrease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maize leaves under UV-B stress. This demonstrates that NOS inhibitor LNNA has opposite effects on oxidative resistance.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NO might act as a signal in activating active oxygen scavenging system that protects plants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UV-B radiation and thus confer UV-B tolerance.

겨우살이 Lectin의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from Viscum album)

  • 장철수;오미정;노광수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578-584
    • /
    • 1999
  • 겨우살이가 가지고 있는 lectin의 약리작용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lectin을 분리 . 정제하였으며, 분자량, subunit수, 탄수화물의 조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적혈구 응집력, 탄수화물 특이성, pH 및 열 안정성등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Lectin의 분리는 0.15 M NaCl에 의한 추출, $(NH_4)_2SO_4$ 침전, 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150 gel filtration에 의해 11.64배 정제에 0.14%의 수율을 획득하였으며, HPLC와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순도를 검정하였다. Gel filtration에 의해 분석된 lectin의 분자량은 124,000 Da이였고, SDS-PAGE에 의해 분자량이 30,000과 32,000 Da인 2개의 band로 나타나서 각각 2개의 subunit를 갖는 tetramer로 확인되었다. 겨우살이 lectin의 탄수화물은 glucose, fructose, arabinose 및 xylose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phenlylalanine, lysine, tyrosine, aspartic acid가 비교적 풍부하였고 methionine, alanine, arginine은 비교적 적었다. Lectin은 적혈구에 종 특이성을 나타내는데 겨우살이의 혈구응집반응에서는 사람혈액형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쥐에서 가장 높았고 소에서 가장 낮았으므로 동물 종간에 대한 특이성은 뚜렸하였다. Lectin은 당 특이성을 가지는데, D-galactose, D-mannose, D-lactose 및 D-raffinose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겨우살이 lectin은 pH4~7에서 안정하였으며, 5$0^{\circ}C$까지는 10~30분 열처리해도 활성이 유지되는 열 안정성 단백질이었다.

  • PDF

Overexpression of Ubiquitin and Amino Acid Permease Genes in Association with Antimony Resistance in Leishmania tropica Field Isolates

  • Kazemi-Rad, Elham;Mohebali, Mehdi;Erfan, Mohammad Bagher Khadem;Hajjaran, Homa;Hadighi, Ramtin;Khamesipour, Ali;Rezaie, Sassan;Saffari, Mojtaba;Raoofian, Reza;Heidari, Mansour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4호
    • /
    • pp.413-419
    • /
    • 2013
  • The mainstay therapy against leishmaniasis is still pentavalent antimonial drugs; however, the rate of antimony resistance is increasing in endemic regions such as Iran.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of resistance to antimonials could be helpful to improve treatment strategies.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genes involved in antimony resistance of Leishmania tropica field isolates. Sensitive and resistant L. tropica parasites were isolated from anthroponotic cutaneous leishmaniasis patients and drug susceptibility of parasites to meglumine antimoniate (Glucantime$^{(R)}$) was confirmed using in vitro assay. Then, complementary DNA-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DNA-AFLP) and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CR (RT-PCR) approaches were utilized on mRNAs from resistant and sensitive L. tropica isolates. We identified 2 known genes, ubiquitin implicated in protein degradation and amino acid permease (AAP3) involved in arginine uptake. Also, we identified 1 gene encoding hypothetical protein. Real-time RT-PCR revealed a significant upregulation of ubiquitin (2.54-fold), and AAP3 (2.86-fold) (P<0.05) in resistant isolates compared to sensitive ones. Our results suggest that overexpression of ubiquitin and AAP3 could potentially implicated in natural antimony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