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lpha}$-dilinoleoylphosphatidylcholine (DLPC)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인지질막 liposome에 미치는 쑥갓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Fractions on the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

  • Bae, Song-Ja;Noh, Ok-Jeong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4-150
    • /
    • 2002
  • 쑥갓(Chrsanthemum coronarium L., CC)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독특한 향기를 가진 지중해 원산 식물이다. 우리 나라에는 중국을 거쳐 조선초기에 전해졌으며 시기용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쑥갓의 메타놀 분획물(CCMM), 헥산분획물(CCMH),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CCMEA), 부타놀분획물 (CCMB) 및 수층인 CCMA 분획물을 얻고 각각 일정량을 불포화인지질인 L-$\alpha$-dilinoleoylphosphatidylcholine(DLPC) liposome에 가하고 benzoyl peroxide를 가하여 산화시켜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산화지수 ( $A_{234nm}$/ $A_{202nm}$)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쑥갓의 각 분획물 일정량을 가한 경우의 DLPC liposome의 산화지수는 시료를 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아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나 강한 항산화제인 BHT를 가한 경우 보다는 항산화 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특히 본 연구에서 알려진 결과로는 쑥갓 분획물들의 항산화력이 널리 알려진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을 가한 경우와 그 효과가 비슷하여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쑥갓의 항산화적 생리활성이 본 연구에서 입증되었으며 이 효과를 기초로하여 식물 속의 항산화성을 이용한 식품의 개발이 기대 된다.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Brassica oleracea L. Fractions)

  • 윤경아;박윤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가 가진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항노화 과정의 기초 자료로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인지질 리포좀 내부에 적채의 용매별 분획물을 가하고 그 산화 지수를 구하여 각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적채의 ethylether 분획층인 BOMEE와 ethylacetate 분획층인 BOMEA의 결과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BHT와 $\alpha$-tocopherol을 대조군으로 가하여 비교해 보았으며 이들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항산화제인 vitamin C와 $\alpha$-tocopherol을 DLPC-리포좀에 가했을 때의 항산화 상승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즉, DLPC-리포좀에 BOMEE와 BOMEA 일정량을 가했을 때 이미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vitamin C와 $\alpha$-tocopherol을 첨가시 더욱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적채 분획물 단독으로 가했을 때에는 항산화 효과가 없었던 BOMH, BOMB 및 BOMA에서도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DLPC-리포좀을 이용한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이미 공인되어 사용되고 있는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발색정도를 비색 정량하여 유지의 산패도를 측정하는 TBA가를 이용한 실험 결과 DLPC-리포좀을 이용한 항산화 결과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 경우 BOMEE와 BOMEA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불포화 인지질로 구성된 DLPC-리포좀에 시료를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본 실험의 결과가 TBA가의 결과를 통해 다시 한번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진행되는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한 노화의 한 과정을 적채 중의 멜라닌 색소형성방지 효과의 면에서 연구 검토하였으며, 요즈음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천연물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내 실험에서 적채 분획물 BOMH, BOMEE, BOMEA, BOMB 및 BOMA를 일정량 취하고, kojic acid를 10, 20, 30 및 40 $\mu\textrm{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특히 BOMEA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억제율이 컸음을 관찰하였다. 이상 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 및 멜라닌 색소 형성억제 물질을 연구 결과, 적채의 분획물 중 BOMEE와 BOMEA층에서 가장 두드러진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BOMEA층이 우세하였다. 이 결과에 의해 현재 식용 식품으로서만 상용되는 적체의 생리활성 성분 중 비극성 부분에서 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의 흑화를 방지할 수 있는 미백제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