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nsan basi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까치-1공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Kachi-1 Well, K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 유인창;김태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4호
    • /
    • pp.473-490
    • /
    • 2007
  •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까치-1공의 퇴적층을 통합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까치-1공 내에서 (1)트라이아스기 돌로마이트 기반암층, (2) 후기 쥬라기 말-전기 백악기 초 퇴적층, (3) 전기 백악기 퇴적층, (4) 후기 백악기 퇴적층 및 (5) 중기 마이오세 이후 퇴적층 등 5개의 단위층들이 인지되었다. 각 단위층은 부정합에 의해 경계되는 구조층서 단위층으로 군산분지의 형성, 퇴적 및 변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후기 쥬라기 말에 들어와 탄루탄층대를 따라 이차 및 삼차 순위의 주향이동 단층들이 분지되면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전기 백악기 이후 팔레오세 말까지 지속된 분지단층들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군산분지는 대규모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소규모 열개 분지들은 대규모의 인리형 분지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팔레오세 말에 시작된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연성충돌에 의한 1차 히말라야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탄루단층이 우수향으로 이동을 시작하면서 군산분지는 서서히 변형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에오세 중기에 일어났던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강성충돌에 의한 2차 히말라야 조산운동에 의해 탄루단층의 우수향 이동이 본격화되면서 군산분지는 극심한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에오세 말과 올리고세 동안 군산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군산분지는 간헐적인 해침과 함께 광역적인 침강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대륙 연변부 침강분지로 전이되었다.

CFD를 이용한 펌프확산 및 수리낙차 방식의 혼화공정 흐름 분석 (MIXING PROCESS FLOW ANALYSIS OF PDM AND HYDRAULIC MIXING BASIN SYSTEM USING CFD)

  • 이성우;장세명;조용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17
  • The mixing of water and chemicals i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In this paper, we compare PDM(pump diffusion mixer) and hydraulic mixer at the basin in the mixing process. The proper flow rates are predicted and compared in both mixers using CFD technique.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purifier chemical liquid should be 5% of that of water for the optimal performance of mixing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mixing method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strong and weak points on the operation of the purification system, discussed in the view point of CFD simulations.

중자력 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지질 구조 해석 (Analysis of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Yellow Sea Using Gravity and Magnetic Data)

  • 박계순;최종근;구준모;권병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9-57
    • /
    • 2009
  • 황해 군산분지 지역의 지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2006년 획득한 선상 자력 자료와 Scripps 해양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고도계위성중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력자료에 대해 파워스펙트럼 분석과 심도역산이 수행되었고, 자력자료 분석을 위해 분석신호기법과 가중력변환 및 이에 대한 역산을 수행하였다. 중자력 자료 분석 결과 남 중소분지 중심부로 갈수록 기반암 심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기반암의 심도는 깊은 곳에서 6-8km, 낮은 곳에서 약 2km로 해석되었다. 또한 남중소분지 중심부이서 기반암 심도와는 달리 중력이상과 자력이상이 높지 나타나는 것은 주변 기반암보다 밀도가 높은 화성암의 관입에 의한 효과로 해석되며, 이는 동일지역에서 수행된 정밀 탄성파 해석 결과와 잘 부합하고 있다.

인공위성 해면고도계 중력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밀도 불연속면에 대한 연구 (Study on Density Discontinuous Layers of the Kunsan Basin in the Yellow Sea Using Satellite Altimetry Gravity Data)

  • 김경오;오재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6호
    • /
    • pp.751-759
    • /
    • 2007
  • 황해 군산분지의 지하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공위성 해면고도계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파워 스펙트럼 분석(power spectrum analysis) 방법으로 밀도 불연속면의 평균 깊이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군산분지를 포함한 본 연구지역에서는 각각 -1.1km, -3.4km, -9.1km 그리고 -31.0km의 평균 깊이를 가지는 밀도 불연속면이 검출되었다. -1.1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은 본 연구지역의의 탄성파 단면에서 관찰되는 왕복 주시 1초 부근에서 나타나는 광역 부정합면으로 해석되었고, -3.4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 또한 탄성파 단면에서 인지되는 음향기반암 상부면과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9.1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은 본 연구지역의 시추공 자료, 탄성파 단면, 광역 지질 등을 고려하여 화성기원 기반암의 상부면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본 연구지역의 음향 기반암층은 기존의 연구에서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31.0km의 평균 깊이를 가지는 밀도 불연속면은 일반적인 대륙지각의 평균 두께와 유사한 값을 보이므로 모호면으로 해석하였다. 화성기원 기반암 상부면으로 해석된 -9.1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의 검출은 군산분지의 석유 가스 부존 가능성에 관한 연구에 있어 기존의 연구보다 심부층(음향 기반암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울릉분지의 고환경과 화산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 퇴적환경 (Paleoenvironments and Volcanism of the Ulleung Basin : Sedimentary Environment)

  • 박맹언;이광훈;송용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1-496
    • /
    • 1996
  • The last Sea is a typical bark-arc basin consisting of basins, plateaus, ridges, and seamounts. The Ulleng Bas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rner of the last Sea, contains thick Neogene sedimentary sequence. Analysis of over 2,500 km of single-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suggests that hemipelagic sedimentation prevailed over much of the basin during the late Miocene and pelagic sedimentation became more dominant during the Pliocene. During the Pleistocene terrigeneous sediments transported by turbidity currents and other gravity flows, together with continuous hemipelagic settling, resulted in well-stratified sedimentary layers. Influx of terrigenous sediments during the Pleistocene formed depocenters in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basins.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where the Ulleung Basin joins the deeper Japan Basin, sediment waves suggesting bottom current activities are seen.

  • PDF

한반도 서해안 금강하구 연안퇴적물과 육상지질과의 지화학적 상관관계 (Geochemical Relationship Between Shore Sediments and Land Geology in Keum River Area, West Coast of Korea)

  • 지정만;장윤호;오재경;이연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6호
    • /
    • pp.447-467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geochemically and mineralogically to define how Kunsan shore sediments are related to their terrestrial source rocks in the region of Keum River Basin, western Korea. As a whole the chemical composition for major elements, trace elements and rare earth elements analysis from shore sediments and river bed sediments doesn't show the big difference, and especially rare earth elements chondrite normalized patterns are almost same. Heavy minerals of shore sediments are identified as hornblende, epidote, ilmenite, garnet, hematite, magnetite, sphene and rutile. Compared with Taean Area of Seo et al. (1998) and Byeonsan Area of Kwon et al. (1999), Kunsan shore sediments of this study area were origined mostly from Keum River Basin.

  • PDF

Gravity Variation Estimation of the 2011 Tohoku Earthquake

  • Kim, Kwang Bae;Lee, Chang Kyu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7-506
    • /
    • 2015
  • Gravity variations due to the 2011 Tohoku (M9.0) earthquake, which occurred at the plate boundaries near the northeastern coast of Japan, were estimated through the GRACE spherical harmonic (Stokes)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CSR. About -5 μGal gravity variation by the GRACE data was found in the back-arc basin area with respect to a reference gravity model. The mean gravity variations in the back-arc basin area and the Japan Trench area were -4.4 and -3.2 μGal in order. The small negative gravity variations around the Japan Trench area can be interpreted by both crustal dilatation and the seafloor topography change in comparison with the large negative gravity variations in the back-arc basin area by co-seismic crustal dilatation of the landward plate. From the results of the gravity variations, vertical displacements generated from relatively short wavelength caused by the earthquake were estimated by use of multi-beam bathymetric measurements obtained from JAMSTEC. The maximum seafloor topography changes of about ±50 m were found at west side of the Japan Trench axis by the earthquake. The seafloor topography change by the megathrust earthquake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e landslide of the seafloor throughout the landward side.

수직 패들형 및 하이드로 포일형 응집기 특성의 전산유체역학 해석 (CF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FOR FLOCCULATORS OF VERTICAL PADDLE AND HYDRO-FOIL TYPE)

  • 신종현;장세명;조용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30
    • /
    • 2016
  •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the mixture of water and chemical from the mixing basin enters the flocculation basin. The rotating flocculators are generally used for the efficient flocculation of dreg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flocculators of a vertical paddle type, widely used in the typical flocculation basins, and a hydro-foil type, recently disseminated in the field,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use of the numerical method.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iciency are analyzed with CFD techniques. The strain rate and the eddy viscosity are compared for two types to predict the mixing efficiency, and the maximum speed and its location are pursued from the computed data. The hydrofoil type shows that the eddy viscosity is enhanced 1.66 to 3.03 times larger than that of vertical paddle type, and also produced 1.87 to 1.95 times larger flocs for each stage. However, the rapid rotation of hydrofoil may chop the floc to small size due to the higher turbulence intensity. From the result of computation,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each type have been analyzed for the decision making.

동해 해저지형의 명명 (Naming of Undersea Features in the East Sea)

  • 권영락;최진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23-629
    • /
    • 2006
  • 현재 동해의 해저지형 가운데 한국대지, 쓰시마분지, 순요퇴 3개의 지 명 이 해저지명목록집(Gazetteer)에 등재되어 있다. 이들 지명은 지명등재의 근거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단지 국제해도(INT 511)에 표기되어 있는 명칭이 해저지명목록집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중 쓰시마분지와 순요퇴는 수로학적 지질학적 근거나 지리적인 관련성이 부족하므로 지리적 성인적 측면에서 관계가 깊은 울릉분지와 이사부해산으로 명칭이 대체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