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m river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7초

금강수계에 서식하는 담수패류의 중금속 함량에 관하여 (Heavy Metal Analysis in Fresh Water Shellfishes of the Kum River System)

  • 김덕만;김형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6-75
    • /
    • 1991
  • 금강수위에 서식사는 패류의 중금속함량을 알아 보기 위하여 1001년 4월부터 동년 10월사이에 우기를 피하여 금강유역에서 8개 지소를 임으 선택하여 채집한 8종의 부족류 중 비교적 각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채집될 수 있었던 말조개와 채첩을 각각 10개체씩 선택하여 패를 아가미, 외투막, 폐각근, 족근 및 내장기관등 각 부위별롸 나누어 Cd, Cu, Pu, Zn의 함량을 원가흡광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각 부위별 중금속 함량을 전체적으로 본 평균값은 Zn을 제외하고는 전체 패류의 내장부위가 모두 다른 어느 부위보다도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은 지역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언ㅆ지만 대부분 외투막과 아가미, 족근, 폐각근의 순으로 나타났다.2. 각 패류별 중금속 함량은 역시 Zn만을 제외하고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감에 따라 중금속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3. 여러 금속 중 Zn만이 각 부위별에서 내장부위보다 아가미, 외투막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볼 수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중금속은 하류보다 상류가 그 함량이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Zn만은 상류족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고, 지역에 따라 그 함량이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Zn 다음의 중금속함량은 Cu, Pb, Cd의 순으로 그 농도를 나타내었다.

  • PDF

어패류의 비브리오패혈증 균 오염과 그 대책 (Contamination of Shellfish with Vibrio vulnificus the Present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 김영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21
    • /
    • 1993
  • Vibrio septicemia,, resulting in high mortality, has been caused by Vibrio vulnificus. Ingestion of marine products or contact with sea water contaminated with Vibrio vulnificus can cause septicemia. Vibrio vulnificus has been detected world wide and west sea area of Korea, Kum river estuary in particular, showed high detection rate. Higher detection rate of Vibrio vulnificus were reported in the bottom deposit with low depth of water, low salinity, and high COD. Man with the liver disease can easily come down with Vibrio septicemia and the main source is the sliced raw fish dish. The preventive measure for this disease is to wash raw fish material thoroughly with tap water and handle in sanitary conditions. Washing with sea water is strictly prohibited . It may be necessary to forbid the small-scale businessmen from selling the sliced ray fish dish in the vicinity of seashore. Man with the liver disease of diabetes should not swim or consume the raw fish dish in the contaminated area during summer.

  • PDF

금강유역의 정기시 체계변화 (Changes of the Periodic Market System in the Kum River Basin, Korea)

  • 성준용;한주성;주경식;김학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5-252
    • /
    • 1998
  • 한국의 정기는 농촌의 상거래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한 정기시의 지역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충북지역의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정기시의 성쇠와 정기시의 이동상인과 소비자의 공간적인 패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기시에 출시하는 이동상인과 정기시에서 구매하는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정기시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교통기관의 발달, 농촌 인구의 감소, 농산물 출하체계의 개선, 근대적인 상업시설의 등장 등 때문에 농촌지역의 상위계층 중심지에 입지한 정기시는 규모가 커지고 있으나, 일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계층 중심지의 정기시는 그 규모가 줄어들어 쇠퇴하고 있다.

  • PDF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 김구환;금지돈;양홍준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51-258
    • /
    • 2001
  • 낙동강 하구의 어류상과 하구둑에 설치한 어도의 어류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12월까지Dam을 중심으로 상${\cdot}$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와 어도를 통과하는 어종을 조사하였다. 하구에 Dam을 건설함으로서 기존에 존재하던 기수지역의 생태계가 완전히 사라지고 Dam을 중심으로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선상으로 인접하여 추이대가 형성되지 않았다. 조사기간에 해수와 담수의 두 생태계에서 채집된 어종은 모두 10목 29과 45속 49종이었는데 그 중 담수산 어류가 10종. 주연성 어류는 11종, 해산 어류는 28종이었다. 해수와 담수라는 생태계의 차이 때문에 조사지역별로 종 구성이 달랐는데, 명지지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9목27과 36속 39종이며 우점종은 A. flavimanus (39.1%)이었고 담수영역인 사상지역은 6목 9과 19속 21종 중에 우점종은 A. macropterus (44.4%)였다. 낙동강 하구 Dam의 어도에 설치해 둔 video camera로 촬영한 어류를 3회에 걸쳐 확인한 결과 C. ectenes, C. carpio, H. labeo, S. gracilis majimae, P. altivelis, L. japonicus, A. japonica, M. cephalus 및 P. nebulosa 등 9종만이 확인되었다. 채집된 개체수를 기준으로 산출한소하성 어류의 이동율은 10.1%이었는데, 이를 근거로할 때 회유어류의 이동을 위해 어도의 설치는 필요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도의 효율성은 낮았다.

  • PDF

금강 하구의 Vibrio cholerae non-O1과 Vibrio mimicus의 선택 (Ecology of Vibrio cholerae non-O1 and Vibrio mimicus in Estuary of Kum River, Korea)

  • 장수현;송대진;양송주;신일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2
    • /
    • 1995
  • 새로운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지고 있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분포와 서식 조건을 밝히고자 금강 하구에서 1993년 3월 26일부터 1994년 2월 22일까지 수질 환경과 V cholerae non-O1 및 V mimicus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 cholerae non-O1은 해수 54개 시료에서 $16.7\%$, 뻘 49개 시료에서 $6.1\%$, 전체 $11.7\%$가 검출되었으며 V mimicus는 해수 54개 시료에서 $11.1\%$, 뻘 49개 시료에서 $10.2\%$, 전체 $10.7\%$가 검출되었다. 2.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는 수온 $24^{\circ}C$이상, 염도 $10\%o$ 이하의 기수에서 주로 검출되었으나, 수온이 $3.5^{\circ}C$인 1월에 뻘에서 검출되었다. 3.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는 온도, 염도 및 유기물질의 오염이며, V. cholerae non-O1은 V. mimicus보다 염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더 높았다.

  • PDF

우리나라 주요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류 체내에 함유된 DEHA, Carbaryl, Amitrole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EHA, Carbaryl, and Amitrole in the Fishes and Amphibians from the Major River Systems of Korea)

  • 주여정;김혜숙;김영복;문지용;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5권2호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와 양서류에 대해 DEHA, carbaryl, amitrole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그리고 기타 수계를 포함한 29개 지점과 습지 2개 지점 등 총 3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Carbaryl과 amitrole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DEHA는 10개 지점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DEHA의 최대 평균 농도는 금강에서 $52.7{\mu}g/kg$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10개 지점에 대해 살펴보면, 어류에 대한 평균 농도는 $40.0{\mu}g/kg$으로 나타났고, 양서류에 대한 평균 농도는 $8.90{\mu}g/kg$으로 어류에 비해 1/5 정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검출빈도는 어류 10/62, 양서류 2/62를 보였고 어류에 대한 최대 검출 농도는 공주 지역의 붕어로 $95.5{\mu}g/kg$을 나타내었고, 양서류에 대해서는 나주 지역의 황소개구리로 $12.1{\mu}g/kg$였다. 검출된 10개 지점 중 6개 지점은 농경지였고 나머지 4개 지점은 준도시였다.

금강 하구호에서 수질의 계절변동과 오염도 (Seasonal Dynamis and Pollution Statu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Kum River Reservoir)

  • 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51-259
    • /
    • 2000
  • 금강 하구호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1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수질 인자 중 TN, TP, chl-a 및 투명도의 평균값은 각각 3,900 ${\mu}$g N/l, 160 ${\mu}$g P/l, 73 ${\mu}$g/l 및 0.8m로서 부영양화 특성이 잘 나타났다. TN 중에서 유기질소가 66%, 무기질소가 34%를 차지하였고 무기질소 중에서 NH$_{4}$와 NO$_{3}$는 각각 30%와 70%를 점유하였다. 또한 TP에 대한 SRP의 비율은 9% 이하였다. TN/TP 및 DIN/SRP비는 겨울에 높고 여름에 낮았다. SRSi는 0${\sim}$3.0 mg Si/l 범위로 변동 폭이 컸고 하계에 매우 높았으며 SRSi가 장기간 고갈되는 양상도 관찰되어 SRP와 더불어 담수조류(규조류)의 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한영양염으로 추정되었다. Chla는 동${\cdot}$하계에 각각 113 ${\mu}$g/l, 162 ${\mu}$g/l로서 월등히 높았고 이 시기는 규조류 Stephanodiscus와 남조류 Microcystis가 번무하는 시기였다. 하구 저수지의 수질오염도는 과영양상태로 평가되어 이에 대한 수질관리가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금강유역 논토양과 현미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군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Soil and Rice in the Kum River Basin)

  • 김영오;유형렬;이재형;기노석;황인담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20-328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ir correlationship between paddy soil and brown rice near the Kum-River area. In this study, eighty soil samples and forty brown ric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paddy soil.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measured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contents of soluble heavy metals in surface soil were Cd 0.19, Cu 15.31, Zn 18.10 and Pb 9.08 ppm. The average contents of soluble heavy metals in subsurface soil were Cd 0.19, Cu 14.52, Zn 17.75 and Pb 8.11 pp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yers. 2. The contens of Cu, Zn and Pb of Taejeon(S6) and Cd of Sinbyung(S5) in surface soil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The contents of Cd and Cu of Taejeon(S6) and Zn and Pb of Kumnam(S3) in brown r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and four heavy metals in soil and brown rice of Simchon(S7)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areas. 3. The ratio of soluble contents(Cd:Cu:Zn:Pb) in surface soil was 1:79:93:47, that of soluble contents in subsurface soil was 1:76:94:43, and that of total contents in brown rice was 1:84:294:12. 4. The correlationship of the content between soluble heavy metals in surface(0-15 cm depth) soil total heavy metals in brown rice was found to be order of Cd>Cu>Zn>Pb. The correlationship of the content between soluble heavy metals in subsurface(20-30 cm depth) soil and total heavy metals in brownricewasfoundtobeorderofcu>Cd>Zn>Pb.

  • PDF

황해 중부의 조석전선과 연관된 해양학적 연구 : 물리적 특성 (Oceanographic Studies Re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Physical Aspects)

  • 송영호;정정호;박용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4-95
    • /
    • 1990
  • CTD, 해류계, 인공위성 영상사진을 이용하여 황해 중부의 조석전선 주변역을 조사 한 결과 몇 가지 물리적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전선은 태안반도 끝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4월 중에 태양열에 의한 해표면 가열과 함께 나타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뚜렷 하며 11월에는 표층냉각과 함께 소멸한다. 전선의 북측에서는 전선을 가로지르는 조류 에 의하여 수온 염분의 조석주기 변화가 나타남으로써 전선구조를 보여준다. 경기만에 서 나타나는 전선은 통최상의 조석전선과 달리 한강에서 유출된 담수와 외양수의 만남 에 의하여 형성된다. 표층냉수의 중심에서는 조석혼합역이 연안으로부터 약 50 km 외 양하지 분포한다. 전선의 남측에서도 전선의 구조는 비슷하나 전반적으로 혼합 정도가 약하게 나타난다. 이 연안 혼합역의 연안쪽에서는 금강유출된 담수에 의하여 염분전선 이 좁은 범위에서 흥성된다. 이 염분전선 부근의 일부에서는 용승과 같은 현상이 관측 되었다.

  • PDF

Isolation and inheritance of microsatellite loci for the oily bittering (Acheilognathus koreensis): applications for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wild populations

  • Kim, Woo-Jin;Kong, Hee-Jeong;Shin, Eun-Ha;Kim, Chi-Hong;Kim, Hyung-Soo;Kim, Young-Ok;Nam, Bo-Hye;Kim, Bong-Seok;Lee, Sang-Jun;Jung, Hyung-Tae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4호
    • /
    • pp.321-328
    • /
    • 2012
  • The oily bittering Acheilognathus koreensis is a freshwater species that is endemic to Korea and is experiencing severe declines in natural populations as a result of habitat fragmentation and water pollu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is species, it is necessary to assess its genetic diversity at the population level. We developed 13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that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of two populations collected from the Kum River and the Tamjin River in Korea. All loci exhibited Mendelian inheritance patterns when examined in controlled crosses. Both populations revealed high levels of variability, with the number of alleles ranging from 3 to 20 and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ranging from 0.500 to 0.969 and from 0.529 to 0.938, respectively. None of the loci showed significant deviation from Hardy-Weinberg equilibrium, and one pair of loci showed significant linkage disequilibrium after Bonferroni correction. Pairwise $F_{ST}$ and genetic distance esti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popu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satellites developed herein can be used to study the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and conservation measure of A. koreen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