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Chinese Danc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 고대 무용사 기술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점 (On some Problems in describing of the History of Ancient Chinese Dance)

  • 남종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25호
    • /
    • pp.31-56
    • /
    • 2012
  • 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의 무용은 정치, 사회, 문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형식, 내용, 기능, 위상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중국의 전통 무용을 이해하려면 그 변천의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동아시아 전통 무용의 교류와 발전의 궤적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중국의 전통 무용에 대한 통시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가장 편리한 방법은 중국 무용 통사를 개관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출간된 20종에 달하는 중국 무용사는 모두 중국의 학자들이 저술한 것이다. 중국학자들이 저술한 중국 무용 통사의 초기 무용사 기술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된다. 첫째, 중국 고서(古書)의 무용 관련 기록을 사료(史料)로 수용함으로써 역사 기술의 객관성과 합리성을 훼손하고 있다. 따라서 신화와 전설의 기록과 역사의 기록을 구별하여, 적확하게 기술하여야 할 필요성이 지적된다. 둘째, 무용사 연구의 보조 자료로 이용되는 도기(陶器)의 문양이나 벽화(壁畵) 등 고고자료가 실증적 자료임에는 틀림없으나, 일부는 자료의 해석이나 시기의 특정(特定)에 있어서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다. 따라서 자료의 해석이나 시기 산정 등에 대한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만, 완전한 실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무용의 기원과 기능에 대하여 현대 중국학자들의 정치적 관점 내지 민족주의적 태도가 자못 반영된다는 점이다. 즉, '노동'을 무용의 기원으로 선언하는 편협한 시각은 예술의 기원에 대한 균형감 있는 시각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이 요구된다.

중국 조선족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작품 경향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Trends in the Dance of Ethnic Koreans in China)

  • 조영;윤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623-634
    • /
    • 2022
  • 중국 조선족 무용은 원형 그대로 전해 내려왔으며, 간혹 인명 또는 지명들이 바뀌면서 일부 무용들이 약간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한민족의 뿌리에 바탕을 두고 발전시킨 창작무용이다. 따라서 그 유산에는 한민족의 고유한 심리와 정서, 예술적 기호, 창조적 재능이 배어있으면서도 조선족만의 역사와 생활이 반영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무용예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 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시대별 대표작품들을 통해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알아보았으며, 한민족의 뿌리를 지니고 있는 조선족무용의 특성을 알아보면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체성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들을 바탕으로 조선족 무용의 개념 및 형성과정을 파악하여 조선족 무용사를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대표작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무용은 단순한 춤이 아닌 중국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지키는 것이 현시대에 가장 큰 과업이 아닐까 사료된다.

북한춤의 해외전파 :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North Korea's Overseas Transfer Dance - Focusing on Japan and China -)

  • 김채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22호
    • /
    • pp.185-221
    • /
    • 2011
  • 본 연구는 해외교포사회에 북한춤이 전파되는 과정과 그 발전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해외에 거주하는 민족집단으로서의 재외동포들의 무용문화, 특히 재중, 재일조선인들의 무용문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생각해보았다. 문헌연구 중심으로 살펴본 논점의 결과, 재일조선인사회와 중국조선족자치구의 무용문화의 출발점엔 공통적으로 최승희춤이 있었으며, 두 민족집단은 최승희로부터 직접·간접적으로 춤을 배우거나 작품을 전수받았으며, 최승희가 정리한 조선무용기본을 기초훈련으로 하여 무용을 습득했다. 또한 무용전수 및 훈련기관은 재일조선인사회의 경우 북한의 체계와 같이 무용소조를 따로 두고 그곳에서 무용훈련을 통해 재능있는 인재를 배출하여, 전문예술단에서 활동하게 하는 시스템을 유지해 왔다. 이에 반해 중국조선족자치구는 연변대학과 중앙민족대학내에 무용학과가 배치되어 있어 그곳에서 조선춤을 전수 교육함으로써 재능있는 무용인재들을 배출해 왔으며, 한국의 무용교육체계와 유사한 면을 볼 수 있다. 무용기초훈련과 작품의 경향면에서는 재일조선인사회에서는 북한에서 실천하고 있는 무용기초훈련과 기본훈련을 그대로 전수하고 있으며, 작품도 북한춤을 대표하는 명무나 민속무용을 그대로 전수받아 공연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조선족자치구에서는 최승희가 정리한 조선무용의 기초와 작품을 그녀로부터 직접 훈련받거나 전수받았으나, 최승희의 제자들은 그녀가 세운 무용기초를 발전시켜 중국소수민족의 춤기법 등을 접수하면서 중국조선족만의 무용훈련체계를 세워나가면서 한국춤과의 교류도 성사시켜 북한춤보다는 자유롭게 창작성을 가미한 중국조선족 무용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전수된 시기로 보면, 재일조선인사회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1970년대에 들어서는 직접적인 평양방문을 통해 전수와 교육을 받았고, 1990년대에는 북한무용가를 직접 일본으로 초청하여 무용기초훈련을 교육받음으로써 북한춤에서 볼 수 있는 스펙터클한 양상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하겠으나, 중국조선족자치구에서는 1950년대에 평양과 북경에서 최승희로부터 직접적인 지도를 받았고, 이후에는 북한무용가들로부터의 직접적인 지도보다는 북한예술단의 중국방문을 계기로 무용영향을 받는 한편, 1990년대 이후부터는 한국춤을 흡수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조선족만의 색다른 무용문화를 창조해 왔다. 같은 민족이면서도 살아가는 지역과 그 지역을 구성하는 민족집단의 구성체계 및 정치체제에 따라 북한춤의 전수과정 및 발전양상도 유사하지만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보장하는 독자적인 특색을 지닌 무용문화를 형성하며 발전시켜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재일조선인사회의 무용문화는 조총련의 통제하 강제적 문화접변에 의한 무용문화의 변동을, 중국조선족자치구의 무용문화는 자발적 문화접변에 의한 자유로운 차용과 발전으로의 변동을 살필 수 있었다.

경극에 표현된 “생”의 무대의상 연구 (A Study of Sheng's Stage Costume in Peking Opera)

  • 이영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4호
    • /
    • pp.599-613
    • /
    • 2004
  • The purpose for this paper is to fi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hich is largely affected by Chinese arts and culture. There are many different theories about Faking Opera's orgine but an established character is an ensemble song and dance. It virtually represent overall Chinese arts. There are four characters in the Peking Opera ; Sheng, Dan, Jing, and Chuck. Sheng is divided into Nosheng, Sosheng, Musheng and Hongsheng based on their dramatic skills. Also, Sheng requires various acting skills : song, dance, dialogue, act and fighting skill. Peking Opera's stage costume was set up in Qing dynasty though it's style was embellished with mainly Ming dynasty's clothing style. The rankings and personalties of the role are strictly applied to decide what to wear. Artistic exaggeration, symbol and transfiguration, use of colors are equally important in planning the stage costume.

  • PDF

궁중정재 <오양선>의 전통문화콘텐츠화 시론 - 아시아 전통춤의 전파와 변용을 바탕으로 - (A Direction of Developing a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of Korean Court Dance Oyangseon - With a Base on the Historical Transmission, Reception of Asian Traditional Dance -)

  • 허동성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509-541
    • /
    • 2017
  • 본 연구의 기본 취의는 역사적으로 문화적 친연성을 지닌 아시아권의 전통춤을 대상으로 한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당악정재 곡목인 <오양선(五羊仙)>을 한 예범으로 그 역사적, 문학적 근거를 통해 그 배경서사의 연원이 고대 남월(南越; 베트남) 지역의 오양선 설화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섯 신선이 오색의 양을 타고 오양성(五羊城; 현재의 중국 광주(廣州)에 내려와 여섯 개의 벼이삭(六穗?)을 하사하였다는 설화이다. 나아가 후대에 쓰여진 베트남의 구전설화 <월정전(越井傳)>,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최위(崔?)>가 이 원(原)서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오양선>의 창사에 나타난 배경서사는 원서사에 서왕모와 천도 모티프를 추가하여 군왕의 축수(祝壽)와 덕치,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의례적 모티프를 강화하였다. 본고에서는 3국 내 오양선 서사의 이러한 공통성에 주목하여 그를 소재로 한 각국 전통춤의 전승 현황을 추적한 바 중국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 <오양선>을 참고하여 <오양선무>를 재창작한 반면 베트남의 경우 전승이 부재하였다. 그에 따라 전통문화콘텐츠 구축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베트남 공연단을 섭외하여 <월정전> 설화를 소재로 한 <치유의 쑥잎>이란 곡목을 창작케 하였다. 그 결과 오양선 설화를 소재로 한 3국의 춤을 한 무대에서 합연함으로써 아시아 악무의 공통적 서사 기반에 기초한 새로운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의 시론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춤을 통한 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중국 마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Mime in Chinese Theater)

  • 안상복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201-221
    • /
    • 2009
  • 본고는 중국 마임에 대해 역사적 고찰을 진행한 글이다. 중국 전통극에서의 마임이 어디에서 기원했는가 하는 문제는 대답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이나, 고대 배우들의 행위를 통해서 대략적이나마 초기의 자취가 발견된다. 필자는 사기(史記) "골계(滑稽)열전"에 수록된 초(楚)나라 장왕(莊王: B.C.613-591) 때의 배우 우맹(優孟) 이야기 속에서 그 근거를 찾아 제시할 수 있었고, 이를 근거로 중국의 마임은 최소 26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것으로 판단하였다. 중국의 마임은 전통극 중에서도 제의극을 통해 형성되었고, 그 발전은 각색행당제(脚色行當制)와 긴밀히 연계되어 진행되었다. 주(做)나 타(打)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정식동작(程式動作)들은 최근 몇 세기에 걸쳐 구체화되었지만 그것들의 좀 더 먼 기원은 고대의 무(舞)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고대의 무는 다시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로 나뉘어 전개되었으니, 현재의 주나 타에 더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은 문무와 무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연화대무 동기복식 고증 및 재현 (The Costume of Young Girls Damcers is Yon Wha Dae Moo of Chosun Dynasty)

  • 김경실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13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stumes of young girl dancers in Yon wha dae moo(연화대무: Lotus Stage dance) which were documented on the Ak-hak-guae-bum(악학궤범: Protocol of music) and the Jin-yeon-eui-guae(진연의궤: Archives of Royal Feast). The fashion of the costumes can be changed into three phases, based mainly on the changes of Hap-rip(합립: silk hat), Dan-eui(단의: long jacket) and Sang(상: apron type skirt). In the first phase the costume consisted of Hap-rip, round neck-line Dan-eui and tiered skirt decorated with pleat and Yu-so(유소: decorated cords). In the second phase. it consisted of Hap-rip, v-shape neck-line Dan-eui and skirt without pleat. In the third phase, it consisted of Yeon-wha-gwan(연화관: Lotus shape cap), round neck-line Dan-eui of later era and skirt with pleat and Yu-so. Yon-wha-dae dance appears to be adopted from Ja-ji-mu( 자지무: chinese dance) that originated in West and Central Asia. In both dances. young girl dancers danced mainly jump and spin. The costume of round neck-line Dan-eui seems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fashion in Dang Dynasty when young girls loved to wear Dan-ryung(단령: male coat with round neckline). And it satisfied the need of mobility for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mainly with jump.

중국(中國) 호무복식(胡舞服飾)에 관한 연구 - 한대(漢代)부터 수당대(隋唐代)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Foreign Dancing Costumes - From Han to Sui Tang Dynasty -)

  • 윤지원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57-72
    • /
    • 2006
  • Culture speaks for the characters of the period, so it is presented by the mutual actions of many factors affecting culture. Foreign culture, introduced by cultural exchange, was modified and accepted into a new form and value system. In the beginning, only foreigners danced these dances, but Chinese started to dance them gradually. Thus, the dancing costume showed the complete fusion of Chinese and exotic styles. Especially, in the Tang dynasty, Chinese accepted foreign culture very actively and with open hearts. They accepted foreign culture based on 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fused them completely. In these costumes, not one culture was prominent, but many cultures from Gandhara to East and West Turkistan and even to Persian and Hellenism were synthesized together. Chinese, in the Tang dynasty, retained on 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modified new foreign culture into Chinese style.

봉산 탈춤의 언어 사용 연구 (Language Use in Bongsan Talchum(mask dance))

  • 이석규
    • 인문언어
    • /
    • 제6권
    • /
    • pp.265-291
    • /
    • 2004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used as a major communication means within the Korean community in Chenguoz District of Harbin, Heirungjiang Province, China, in terms of its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The study focuses on how a variety of languages and dialects including Chinese, the Standard Chinese Korean adopted as a means of teaching in Korean schools, and Kyongsang Dialect of Korean have influenced the language of the community. It also deals as background information with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the attitude of the community members toward Korean and Chinese, and their proficiencies of Korean and Chinese, to obtain the general picture of the bilingualism of this community. This specific region was studied since this region and most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Heirungjiang province were formed by descendents of the immigrants from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all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anguage used today and the language their ancestors used before moving to this area.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innovation brought about by the opening of the Chinese society, the fast outward flow of youths to urban areas, and greater assimilation threats from the embedding Chinese culture, we are not too sure if the Korean language will continue to be used in the future. Given these circumstances, we consider this research most opportune in that it provides a look into the Korean community that developed its distinctive culture and language within an isolated cultural environment.

  • PDF

<연화대>의 시대별 변천과 전승 (The Transition and Transmission of Yeonhwadae-Jeongjae through the Ages)

  • 신태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427-463
    • /
    • 2016
  • 본고는 <연화대>의 기원설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연화대>가 중국의 당 송, 한국의 고려 조선 등 시대별로 어떻게 변모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국의 <자지무>와 고려의 <연화대>는 매우 달랐으며, 조선의 <연화대>도 공연자의 수와 의상 및 음악 등에 있어서 매우 큰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오늘날 <연화대>의 복원과 공연에 있어서도, 각 시대별로 중요 <연화대>를 선정하여 복원하려는 노력과 함께 우리시대를 대표할 만한 새로운 <연화대>를 창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그 외양뿐 아니라 그 내면의 정신적 계승도 중요하다. 곧 <연화대> 공연에 있어서, 우리 시대의 가장 시급한 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를 담아 태평성대를 축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