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yam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초

마가루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Yam Powder)

  • 이정애;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84-890
    • /
    • 2007
  •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의 고품질 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마를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젤리의 pH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마 가루 첨가량에 따라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흡광도는 마를 첨가할수록 높아져 투명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마젤리의 색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되었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씹힘성이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 매끈한 정도는 대조군이 6.60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 가루 첨가 젤리군에서는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가장 높았으며 깔끔한 맛에서도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외관의 기호도는 대조군이 6.10,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5.70, 마 가루 4 g 첨가 젤리 4.80이 나타났으며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마 가루 2 g 첨가 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마 가루 4 g 첨가 젤리가 높게 나타났다. 마젤리의 이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검사, 기호도 검사결과 마를 이용한 젤리 제조시 마 가루$2{\sim}4$ g 첨가가 가장 적정한 양으로 유도되었다.

마 추출물 첨가가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ed Yam Extracts on Sausage Quality during Cold Storage)

  • 박재인;서태수;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0-827
    • /
    • 2012
  • 마 가루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10, 30, 50, 70, 그리고 100 ${\mu}g/mL$의 농도가 되도록 제작한 후 항산화 활성검증에 사용하였으며 비교 항산화 물질로는 ascorbic acid를 이용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23.03{\pm}0.22$ mg/g으로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100 ${\mu}g/mL$ 농도의 처리구에서 79.33%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OD유사활성은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100 ${\mu}g/mL$ 농도의 처리구에서 64.78%로 가장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났다. 마 가루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한 다음 마 가루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 마가루 추출물 0.1% 첨가한 처리구(T1), 0.3% 첨가한 처리구(T2), 0.5% 첨가한 처리구(T3), 0.7% 첨가한 처리구(T4), 그리고 1.0% 첨가한 처리구(T5) 등 6개 처리구로 나누어 $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저장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pH 변화는 12일차에서 대조구(C)는 적정 pH 6.2를 넘긴 pH $6.31{\pm}0.03$을 나타냈고 처리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T4 처리구에서 pH $6.14{\pm}0.09$로 대조구(C)와 처리구 간의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명도($L^*$)는 대조구(C)가 $66.73{\pm}0.0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마 가루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L^*$값은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적색도($a^*$)는 T5 처리구의 저장 12일차에서 $9.89{\pm}0.3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갈색도($b^*$)는 T5 처리구의 저장 12일차에서 $13.21{\pm}0.1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지방산화도를 측정하는 TBARS 실험에서는 저장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C)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T4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조직감 측정에서 경도는 마 가루의 첨가 비율이 높아 질수록 경도가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마 가루 methanol 추출물이 소시지 제조에 첨가된 비율이 높아질수록 지방의 산화가 감소하며 소시지의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나 경도가 증가하고 적색도와 갈색도가 증가하여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0.1-0.3% 농도의 선정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Diosgenin을 함유한 마(Dioscorea spp.) 첨가 전통된장의 발효과정 중 품질변화 및 DHEA의 생성 (The Quality and Potential of DHEA Formation after the Addition of Diosgenin of Yam(Dioscorea spp.)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 장상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9-455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and potential of DHEA formation after the addition of diosgenin of yam(Dioscorea spp.)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All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variety of yam. In sample A, the soy source was not separated from soybean paste and in sample B, the soybean source was separated from soybean paste. The range in salt concentration in the samples was as follows : sample A: 10.5~11.8%, samples B: 7.9~8.8%. However, no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es, in terms of salt content, were observed. Th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were found to decrease with the fermentation time of soybean paste(passage of 30 days: 26.4~32.3% and 4.45~5.90%, passage of 60 days: 24.5~28.5% and 3.95~4.90%, respectively). As the fermentation time of soybean paste increased, the nitrogen from amino compounds increased(passage of 30 days: 531.9~687.7 mg%, passage of 60 days: 551.3~706.8 mg%). In regards to color and preference, sample B, where the soy source was separated from soybean paste, was better than sample A, where the two components were not separated. After a soybean paste fermentation time of 60 days, the diosgenin of yam, which was added to the soybean paste, was not detected in tested samples, and the contents of DHEA formation in soybean paste were as follows: sample A: $488.0\pm42.5{\sim}719.3\pm44.8{\mu}g/g$, sample B: $287.3\pm20.6{\sim}482.7{\pm}36.5{\mu}g/g$.

Effects of the applications of excessive irrigation water and acetaldehyde on Chinese yam tubers at byobusan area of Aomori prefecture in Japan

  • Kawasaki, Michio;Keimatsu, Ryo;Endo, Akir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47-247
    • /
    • 2017
  • Byobusan area of Aomori prefecture in Japan was a marshy sand dune and had developed for agricultural land use with a large-scale sprinkler system. Recently, it becomes an agricultural problem at this area that distinctive damage with browning maculation and fissures frequently occurs in Chinese yam tubers. Acetaldehyde is one of the factor candidates of underground part damage in plants. In this study, incidence rate of the tuber damag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 and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damage parts in tubers were investigated with applications of excessive irrigation water or acetaldehyde water solution into the yam field. The incidence rate of the distinctive tuber damage increased as the input amount of irrigation water was increased. At the browning maculation parts of the tubers, many fissures and damages of cork layer were observ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addition, the periderm of tubers was significantly thicker in damaged parts than in non-damaged parts. Funguses, bacterium and nematodes were not observed in the damaged part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weight ratio of each constituent element in an analyzed area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major essential elements was measur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ght ratios of boron, carbon, phosphorus, sulfur and calcium were higher in damaged parts than in non-damaged parts whereas the weight ratios of oxygen and chlorine were lower in damaged parts than in non-damaged parts. It was also shown by this spectrometry that iron, cadmium, lead and zinc were not directly involved in occurrence of the tuber damage. In this study,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of tuber appearance between non-acetaldehyde and acetaldehyde application treatment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damage would be a physiological disorder induced by the input of a large quantity of water in the sandy field.

  • PDF

자연재료를 이용한 증점소재 개발 및 특성연구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hickeners using natural materials)

  • 진하경;김범근;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9-234
    • /
    • 2017
  • 노화로 인해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노인들을 위한 천연 증점소재 개발을 위해 식이섬유 및 기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마, 연근, 돼지감자 가루를 선택, 시판증점제의 0.5, 1, 2포에 해당하는 점도값을 갖도록 시판 국에 첨가하여 첨가량을 결정하고 점도 및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세 천연소재의 호화특성 분석결과, 마가루는 쌀전분과 유사한 최고점도를, 연근가루는 쌀가루보다 큰 최고점도를 보여 증점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돼지감자가루는 전혀 호화특성을 보이지 않아 그 자체로는 증점소재로서 바람직하지 않으나, 노인들에게 필요한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잔탄검을 첨가하여 증점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 소재를 이용하여 시판증점제의 0.5포 및 1포에 해당하는 점도값을 갖는 첨가량은 결정할 수 있었지만, 천연소재 첨가만으로는 시판증점제 2포에 해당하는 첨가량을 결정하기는 어려웠다. 노인을 대상으로 국에 증점소재를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마가루 첨가군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얻어 시판증점제를 대체할 천연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trength on the Shoot and Bud Formation from the Shoot Apex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Shin, Jong-Hee;Kang, Dong-Kyoon;Park, Sang-Zo;Lee, Bong-Ho;Sohn, Jae-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03-106
    • /
    • 2004
  • Plantlet regeneration from the shoot apex was studied in three different genotypes of the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v. Jnagma and Danma, Dunggunma.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inorganic salts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on bud induction and shoot growth were examined. The combinations of 0.2 mg/L BAP + 0.2mg/L kinetin, 0.01mg/L NAA + 0.2 mg/L kinetin and a single treatment of 0.2mg/L BAP were equally effective for bud and shoot formation from the shoot apices in the three cultivars. Auxin (2,4-D, NAA) treatment enhanced calli formation from the cultured apices. Also, the shoot apices of the cv. Dunggunma produced more callus and buds on the culture medium (MS) containing 0.05mg/L NAA and 0.5-1.0mg/L SAP. Lower salt strength of medium inhibited shoot elongation but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shoot and bud induction from the shoot apice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to obtain disease-free plants of the Chinese yam.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Yarn Tension in Simulated Ring Spinning

  • Tang Zheng-Xue;Wang Xungai;Fraser W. Barrie;Wang Lijing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4호
    • /
    • pp.275-279
    • /
    • 2004
  • Yarn tension is a key factor that affects the efficiency of a ring spinning system. In this paper, a specially constructed rig, which can rotate a yam at a high speed without inserting any real twist into the yarn, was used to simulate a ring spinning process. Yarn tension was measured at the guide-eye during the simulated spinning of different yarns at various balloon heights and with varying yarn length in the balloon. The effect of balloon shape, yarn hairiness and thickness, and yam rotating speed, on the measured yarn tension, was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llapse of balloon shape from single loop to double loop, or from double loop to triple etc, lead to sudden reduction in yarn tension. Under otherwise identical conditions, a longer length of yarn in the balloon gives a lower yarn tension at the guide-eye. In addition, thicker yarns and/or more hairy yarns generate a higher tension in the yarn, due to the increased air drag acting on the thicker or more hairy yarns.

Monascus 속 균주를 이용한 발효 홍국마 추출물의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Monascus-Fermented Chinese Yam by Monascus sp. strain)

  • 전춘표;박세철;이준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9-832
    • /
    • 2014
  • 본 연구는 발효 홍국마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효 홍국마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색소,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및 monacolin K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질로서 장마를 Monascus sp. MK805 균주로 발효하였을 때 홍국색소는 29.6(황색), 15.1(오렌지색), 20.4(적색),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72.8%, 환원력은 1.74 및 monacolin K 함량은 480.6 mg/kg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처럼 발효 홍국마는 항산화 및 항고지혈증 관련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의 이용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장마(Dioscorea oppasita cv. Jang-Ma)에서 분리한 Chinese yam necrotic mosaic virus (Chinese yam necrotic mosaic virus Isolated from Chinese Yam in Korea)

  • 강동균;곤도토루;신종희;신혜영;성정현;강상구;장무웅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07-115
    • /
    • 2003
  • 경상북도 안동, 의성, 군위, 대구의 장마 재배포장에서 모자이크와 괴저반점을 보이는 장마잎을 채집하였다. 이들 이병 잎 조직을 시료로 하여 D N 법 및 ISEM법에 의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각각의 시료에서 ChYNMV 항혈청에 반응한 660nm의 사상형 입자가 확인되었다. 장마 잎에서 부분 정제한 바이러스에서 RNA를 추출하여 이것을 주형으로 ChYNMV 특이적 프라이머와 oligo-d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외피단백질 유전자와 3‘-말단 비전사부위를 포함하는 약 1.2kbp의 3’-말단을 증폭하였다. 외피단백질 아미노산서열은 Macluravirus로 알려진 ChYNMV (A B044386)와 97.9%의 상동성을 보여 장마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를 ChYNMV로 동정하였다. ChYNMV와 다른 Macluavirus의 외피 단백질 아미노산서열을 비교한 결과, M말단 영역에서 가장 많은 변이를 확인하였고 Macluravirus 속에는 잘 보존된 영역이 존재하였다.

알코올 전 처리와 블랜칭이 포장 절편 마의 품질보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ing and Blanching on Qualities Preservation of Packaged Fresh-cut Yam)

  • 송기현;고의석;김찬우;심원철;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5-120
    • /
    • 2015
  • 마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여 항 당뇨, 혈당강화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를 각각 진공 알코올 전 처리하여 포장한 경우와, 진공 포장 후 블랜칭 처리 시 갈변(PPO 활성) 및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평가는 색도변화, 경도변화, 미생물 총 균수를 측정하였고, 블랜칭 처리구의 경우 갈변현상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PPO 활성도 변화를 추가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알코올 전 처리구의 경우 농도에 따른 색의 변화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5% 알코올 처리가 대조구나 10% 처리보다 갈변억제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블랜칭 처리구의 경우 유의적인 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PPO 활성도가 1분 블랜칭의 경우 대조구 대비 50% 이하로, 5분 처리구는 85%의 활성이 감소된 것으로 보아 갈변억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경도의 경우 두 실험구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분 이상 블랜칭 처리한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10 N 이상의 경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은 두 처리방법 모두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알코올 전 처리구의 경우 알코올의 농도에 따라 감소 추세를 보였고 블랜칭 처리구의 경우 처리 시간에 따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