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ines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35초

아로니아 와인의 품질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ronia Wine)

  • 윤향식;박혜진;박재호;전종옥;정창원;최원일;김시동;박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99-608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ronia wine (Aronia melanocarpa (0~100%)). After 12 day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s of aronia wines ranged between 9.0~12.0%. The pH level and total acidity of aronia wines were 3.20~3.68 and 0.57~0.76 g/100 mL, respectively. The organic acid analysis of wine containing 100% aronia, revealed malic acid content at 3.70 mg/mL, followed by tartaric acid, lactic acid, and citric acid. As the aronia content increased, both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wine with 100% aronia (461.33 mg%),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wine with 100% aronia (91.91%). Volatile flavor component analysis of aronia wines identified 8 alcohols, 12 esters, 4 ketones, and 7 other compound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flavor, and taste of wine with 20% aronia showed higher values than other aronia wi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20% aronia is most beneficial in improving the quality as well as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wine.

삼백초주(三白草酒) 발효과정의 성분 및 특성 변화 (Changes of Major Components in Sambaekcho Wine During Fermentation)

  • 김민자;김인재;남상영;이철희;신공식;임재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0-294
    • /
    • 2001
  • 삼백초주 제조중 기능성 성분의 이행성 정도를 측정하고자, 증자백미를 기준으로 개량누룩 5%, 양조용수 120%, 삼백초 건엽 분말 2% 또는 건근분말 5%를 첨가하여 삼백초주를 제조하였고, 발효기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삼백초주의 total phenolics, flavonoid phenolics 및 quercetin 관련물질의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많았다. 2. 삼백초주의 total phenolics와 flavonoid phenolics 함량은 잎삼백초주에서 각각 ${762.5{\sim}1,054.7mg/l}$${387.8{\sim}537.2mg/l}$, 뿌리삼백초주는 각각 ${608.4{\sim}928.8\;mg/l}$${329.5{\sim}481.7\;mg/l}$로 잎삼백초주에서 높았다. 3. Quecetin 함량은 잎삼백초주에서는 ${3.5{\sim}3.8mg/l}$로 발효기간 간에 차이가 미미하였으며, 뿌리 삼백초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Quercetin 관련 물질의 총함량은 잎삼백초주에서 ${72.3{\sim}84.2\;mg/l}$, 뿌리삼백초주 ${21.6{\sim}32.2\;mg/l}$로 잎삼백초주에서 높았다. 4. 뿌리삼백초주에 비하여 잎삼백초주에서 total phenolics, flavonoid phenolics 및 quercetin 관련물질의 함량이 현저히 높아 잎을 이용하여 삼백초주를 제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조선시대 술의 분류적 고찰 (Study on the Liquors of Yi-dynasty)

  • 이양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37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understand the various kinds of Korean liquors. To do this, about fifty different kinds of liquors and wines presented in Yi-dynasty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Liquors of Yi-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hungju or Takju which is brewed from rice or glutinous rice, Jeungryuju(Soju) which is made by distillation of Chungju or Takju, and Hwahyangju that is made by addition of fruits, fragrance, or medicinal plants in Chungju, 2. The basic method of making these liquors is in general to make yeast first and fix a liquor base by mixing rice or glutinous rice and yeast, and then add more rice or glutinous rice into the liquor base, and finally ferment the mixture for certain periods. On fixing a liquor base, several methods of rice preparations were used; these were white rice cake, rice paste, boiled dough of rice powder, and steamed rice. 3. Duration of fermentation was in general one to three weeks. However, the shorter one was completed within 3 days and the longer one required even one year or more. 4. Of Hwahyangju the ones with medicinal plants can b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ir medical effects; wines for mental and emotional stability, making blood and active circulation, increase in body stamina, promoting health and living long-life, treatment of stomachache and bruise, and enhancement of the functions of body organs, especially eyes ana ears.5. These liquors and wines above were brewed for daily use or special occasions (Sesiju).

  • PDF

와인 음용 빈도에 따른 애호 소비자(Engage Me)와 관심 소비자(Tell Me)의 와인 선택 요인 (Wine Selection between 'Engage Me' Consumers and 'Tell Me' Consumers by Drinking Frequency of Wine)

  • 김현미;한경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11-62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wine consumers to explor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ir drinking frequency of wine, wine selection factors, and difficulties in selecting wines.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ruary 19th 2014 to April 20th 2014. Respondents were students who were taking classes about wine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Gyeonggi-do area. Prior to the analysis, wine consumers were classified based on frequency of consumption: those who consumed wine less than once a month were classified as "Tell me consumers", whereas those who consumed wine once or more a month were classified as "Engage me consumers." The wine selection factors of the two groups were as follows: 'label aspect', 'taste and aroma', 'use purpose', and 'price and recommendation'. Regarding 'label aspect' and 'use purpo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difficulties in selecting wines, "Tell me consumers" mentioned the following: 'experience', 'price', and 'food pairing'. "Engage me consumers" mentioned the following: 'ability to identify new wines' and 'tastes of others who drink with or oneself'. Classifying domestic wine consumers and their behavioral features of drinking frequency of wine can be used for market segmentation of wine consumers.

Wine Production Using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

  • Garcia, Annalene S.;Park, Jae-Ho;Jeong, Hyung-Jin;Park, Youn-Moon;Chung, Koo-Min;Lee, Jong-Hwa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130-137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the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ing as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mango wine making.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two kinds of yeast strains Saccharomyces bayanus, Lalvin EC-1118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Lalvin D-47 at 20$^{\circ}C$ for 28 days. Physicochemical analysis during fermentation was performed for each treatment and the resulting wine samples were analyzed for color, volatiles and sensory properties.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fermenting samples as well as the wine samples show almost similar results regardless of the yeast strains. Wine color of sample wines after stor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nd when compared with a commercial mango wine. From the volatile analysis, esters and alcohols constituted majority of the compounds. Production of several esters, alcohols, acids and terpenes were affected by yeast strain used in fermentation. Results of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wines fermented by S. bayanus EC-1118 strain was more acceptable although sensory scores between the treatments and the reference wi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ttributes evaluated, except for bitterness. The utilization of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 could produce similar properties with existing commercial mango wines although there is still need for further work on the improvement of some sensory attributes of the mango wines.

각종 누룩 균을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의 막걸리 제조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이상선;김교숙;엄안흠;성창근;홍인표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65
    • /
    • 2002
  • 한국 전통주인 막걸리의 원료인 누룩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누룩 균주를 단독 접종하여 술담그기를 한 후 맛과 알코올 농도등을 기존의 방법으로 생산된 막걸리와 비교 연구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4가지의 균의 성장과정을 무균 상태에서 다양한 수분 첨가조건으로 조사하였으며, 전분 분해능도 관찰하였다. 균사의 성장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생산과 무게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균종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Abisida와 Rhizopus 균에서는 수분 함량이 적은 곳에서 잘 자라는 반면 Aspergillus와 Mucor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많은 곳에서 잘 자랐다. 수분 첨가량이 적을수록 전통 누룩에서 발견된 균들이 잘 자랐다. 본 연구에서는 고두밥을 이용해 술을 담그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경우와 단독 누룩 균을 이용하여 술담그기를 한 경우 그 술의 성분과 맛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의 전통주는 접합균을 이용한 많은 누룩으로 만들어지고, 대표적인 균들은 Absidia, Mucor 및 Rhizopus로 생각되었고, 전통 누룩은 효소원이라기 보다는 균종원으로 추론되었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와인 품질 예측분석 (Wine quality prediction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 김민승;정재현;김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0-693
    • /
    • 2022
  • 본 연구는 와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와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와인 품질의 기준을 예측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셋은 포르투갈의 비뉴베르드(Vinho verde)에서 생산된 레드와인의 1599개, 화이트와인 4898개의 관측지의 데이터로 총 6497개를 사용하였다. 변수 항목은 물리적, 화학적 분석 테스트를 통해 와인 성분을 나타내는 12가지 성분 변수, 총 1599개의 관측치, 세계 와인 3대 생산지국가(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들의 대표와인 한 개씩 총 3개를 추가하였고, 그 국가들의 기후변화 데이터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포도 신품종 '옥랑'을 이용한 와인 발효 및 품질 특성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w Grape Cultivar 'Okrang' Wine in Fermentation Process)

  • 박혜진;최원일;박정미;정창원;김시동;윤향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22-6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세리단과 캠벨얼리 포도 품종을 교배 조합하여 만든 신품종인 옥랑 포도 품종의 와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도 전처리 방법 및 와인 제조 조건에 따라 옥랑 와인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도 전처리 방법으로 저온 침용과 열처리 방법을 사용하였고, 발효 4일차 압착과 발효 종료 후 압착한 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캠벨얼리 와인과 비교하였다.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도는 감소하여 알코올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저온 침용 처리한 와인의 초기 발효속도가 다소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발효가 종료된 시점에서는 전처리 방법이 알코올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저온 침용한 옥랑 와인에서 3.17의 가장 낮은 pH가 분석되었으나 발효종료 후에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어 발효 진행에 따른 pH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효 전 총산 함량은 캠벨얼리가 0.61%로 0.54%의 옥랑보다 높았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총산 함량이 증가하여 발효 8일의 저온 침용한 옥랑 와인에서 0.99%의 가장 높은 총산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후 감소하였다. 기능성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전처리 방법으로 가열 처리한 발효 2일째 옥랑 와인에서 143.24 mg%의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분석되었으며, 옥랑 와인의 전자공여능의 경우 발효 종료 후 압착 처리한 와인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효 10일째인 와인에서 88.86%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로 포도 전처리 방법 및 와인 제조 조건에 따른 옥랑 와인의 비교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발효 특성을 과학적으로 제시하였고, 캠벨얼리보다 과피색이 연한 옥랑의 특성을 살려 로제 와인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입 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의 발효 특성과 관능적 특성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White Wine Using Imported Chilean Grape)

  • 김동호;강병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0-154
    • /
    • 2008
  • 향후 국산 포도를 이용한 고품질의 국산 백포도주를 개발하여 국내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백포도주 제조 및 백포도주 양조 기술의 발전을 위해 생식용 수입 포도인 Red globe과 Thomson Seedless를 이용하여 발효특성과 포도주의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H변화는 1차 발효 중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두 품종을 1:1비율로 혼합한 백포도주는 레드글로브와 탐슨시들리스의 중간 값의 pH를 보여주었다. 산도의 변화는 1차 발효기간 동안 증가하다가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일정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pH변화와 만찬가지로 레드글로브와 탐슨시들리스를 1:1혼합한 산도의 변화도 pH와 마찬가지로 중간 값을 나타내었다. 당도의 변화는 발효기간 15일부터 안정한 변화를 나타내주었다. 비중의 변화도 당도와 마찬가지로 발효기간 15일부터 안정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색도 L값의 변화는 역시 마찬가지로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다가 일정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색도 a값의 변화도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처음 레드글로브의 값이 높은 이유는 품종이 갖고 있는 고유특성 때문이라고 여겨지며 색도 b값의 변화도 발효가 길어질수록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수입 생식용 포도를 이용한 백포도주 제조공정 중의 품질 변화의 차이는 없음이 조사되어졌고, 수입 생식용 포도를 이용한 최종 시제품과 유통 중인 백포도주와의 제품특성을 관능검사로 비교해본 결과, 품질특성 차이가 적게 나타남을 관능적 평가로 알 수 있었다.

적포도주들의 발효와 후발효 중 물리화학적 성질과 항산화활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Post-fermentation)

  • 노재덕;이대형;황용수;이상한;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7-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의 새로운 적포도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거봉, 켐벨 어리, 마스캇 베리 A와 세레단 포도 품종들을 이용하여 4종류의 적포도주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발효와 후발효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4종류의 적포도주들의 에탄을 함량은 발효기간이나 품종간에 큰 차이없이 11.412.8%를 보였고,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총 안토시아닌과 페놀함량은 켐벨 어리 적포도주에서 가장 높았다. 항산화활성은 켐벨 어리 적포도주에서 발효 10일 후 88.9%로 제일 높았고 다른 포도주에서는 36.661.7%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항산화활성은 후발효 120일 후에는 33.164.1%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요약해볼 때 켐벨 어리 적포도주가 높은 항산화활성과 좋은 기호도를 보여 새로운 가능성 적포도주로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