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ftwood specie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5초

삽수 종류, 배양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병꽃나무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Cultivation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of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cuttings)

  • 이희두;김시동;김학현;이종원;김주형;윤태;이철희;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8
    • /
    • 2002
  •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Wood Species Classification Utilizing Ensembles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Established by Near-Infrared Spectra and Images Acquired from Korean Softwood Lumber

  • Yang, Sang-Yun;Lee, Hyung Gu;Park, Yonggun;Chung, Hyunwoo;Kim, Hyunbin;Park, Se-Yeong;Choi, In-Gyu;Kwon, Ohkyung;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85-392
    • /
    • 2019
  • In our previous study, we investigated the use of ensemble models based on LeNet and MiniVGGNet to classify the images of transverse and longitudinal surfaces of five Korean softwoods (cedar, cypress, Korean pine, Korean red pine, and larch). It had accomplished an average F1 score of more than 98%;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longitudinal surface image was still less than that of the transverse surface image. In this study, ensemble methods of two differen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s (LeNet3 for smartphone camera images and NIRNet for NIR spectra) were applied to lumber species classification. Experimentally, the b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obtained by the averaging ensemble method of LeNet3 and NIRNet. The average F1 scores of the individual LeNet3 model and the individual NIRNet model were 91.98% and 85.94%, respectively. By the averaging ensemble method of LeNet3 and NIRNet, an average F1 score was increased to 95.31%.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 수종의 변천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 박원규;이광희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1호
    • /
    • pp.9-28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species of the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which include prehistoric excavated relics and existing wooden buildings in South Korea. The species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excavation and repair reports, journal papers, and a few unpublished documents. We divided the building Periods as Paleolithic, Neolitic, Bronze Ages, Iron Age/Three Kingdoms, Koryo, Joseon (early, middle, late) and modem periods. In prehistoric periods, hardwoods were major species. Oak (Quercus spp.) woods dominated (94 percent in average); the others (5%) were Juglans mandshurica, Platycarya strobilacea, Castanea crenata, and few softwoods(1%). During Iron Age and Three Kingdom periods, oaks remained as a major species (57%) and others Platycarya strobilacea(21%), Castanea crenata(13%), and Pinus spp. (6%). The oak woods decreased in Koryo period and they occupied only 1.1%. Instead of oaks, pine (Pinus spp., 71%) and Zelkova serrata (22%) dominated in Koryo. In early and middle Joseon periods, pine woods (73%) remain as a major species and the others were oaks (14%) and Zelkova serrata (9%). As late Joseon came, the pine woods occupied more than 88%.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 few boreal species such as larch (Larix spp.) and spruce (Picea spp.), which grow in cold area, were found. We believe they were transported from northern Korea. The existing buildings in Korea are mainly from Joseon period and a few from late Koryo periods. During these periods, pine woods were used for most buildings. For such reason, pine woods were known as 'representative materials for historic buildings'. but earlier times, broad-leaved trees, i.e., oak and Zelkova woods were major materials. The changes in building materials resulted from both climate and human impacts. The dry climate and disturbed forests induce more pines in the mountains. We also compared the wood qualities of the species and found that Zelkova woods were superior ones and deserved more planting for future demands in the repair for historic buildings.

  • PDF

한국산 5개 수종의 원적외선 방사율 (Far Infra Red Emissivity of Five Korean Wood Species)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17-20
    • /
    • 2005
  • 원적외선의 상업적 이용을 위한 가열분야의 연구자들이 재료간의 비교 관능치로 상온에서 측정불가능했던 80년대에 발표한 일반 목재의 원적외선 방사율에 관한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어떤 수종이 어떤 온도에서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였는지에 대한 정확한 근거가 없다. 따라서 목재의 장점으로 주거환경에 사용되는 목재의 원적외선 방사에 관한 성질을 상온에서 측정하여 인체친화적 자료를 구체적으로 구하였다. 한국산 5개 수종의 $5{\sim}20{\mu}m$ 범위에서의 측정된 원적외선 방사율은 $40^{\circ}C$에서 90~91%를 나타내어 우수한 원적외선 물질임이 밝혀졌고 침 활엽수재 간이나 산공재와 환공재, 또한 밀도가 높은 수종이나 낮은 수종 간에도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의 차이가 전혀 없었다.

국산 침엽수의 방사, 접선단면의 투습성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Permeability in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 of Domestic Softwoods)

  • KIM, Joon Ho;YANG, Seung Min;LEE, Hyun Jae;PARK, Ki Hyung;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32-846
    • /
    • 2020
  • 본 연구는 목재의 투습성을 활용한 용도개발을 위해 국산 침엽수 9개 수종에 대한 투습성 평가와 소형 벽체 구조 제작을 통한 투습성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투습성 개선을 위해 폐자재인 bottom ash를 흡습제로 투입한 소형 벽체를 제작하여 투습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Sd 값에 의한 투습성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국산 침엽수 9개 수종 중 Abies holiphylla(잣나무), Picea jezoensis(가문비나무), Ginkgo biloba(은행나무), Pinus koraiensis(잣나무) and Pinus rigida(리기다 소나무)는 투습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② 이를 이용하여 벽체 구조 제작 시 반투습 성능을 나타냄을 평가하였다. ③ 또한, Bottom ash를 투입한 소형 벽체 구조를 제작하여 투습성 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 Pinus koraiensis(잣나무)의 Sd 값이 1.63으로 나타나, 8개 타 수종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PEG 주입 침엽수 시편의 열처리 후 PEG 잔류량과 평형함수율 측정 (Measuring PEG Retentions and EMCs of PEG Impregnated Softwood Specimens after Heat-treatment)

  • 홍승현;김정호;임호묵;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73-180
    • /
    • 2013
  • PEG 주입을 통해 열처리 중 목재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침엽수 세 수종의 소시편을 이용하여 PEG 분자량에 따른 침투 속도와 잔류량, 열처리 후 잔류량, 평형함수율 등을 조사하였다. PEG400의 평균 잔류량은 수종별 기본밀도에 반비례하였으며 다른 분자량 PEG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한 수종 내에서는 PEG 분자량이 클수록 잔류 PEG 양이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PEG 주입에 의해 함수율이 2% 내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으며, 시편의 평균 기본밀도는 최고 16.8%까지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중량감소율은 PEG400 시편이 PEG600, PEG1000 보다 컸다. 낮은 분자량의 PEG가 더 많이 용출되었다고 볼 수 있다. 평형함수율은 상대습도가 낮을 때(32%RH) 세 수종 모두 PEG 주입 시편과 무처리 시편의 차이가 없었으나,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PEG 주입 시편이 무처리 시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비파괴 시험법을 이용한 탄성계수의 산정을 통한 침엽수 구조용재의 이방성에 관한 기초연구 (Anisotropy of Softwood Structural Lumber Using The Elastic Modulus Determined by The Ultrasonic Nondestructive Method)

  • 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20-2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재의 세 주요 축 방향에 대하여 각 방향별 탄성계수를 비파괴적으로 측정하여 이에 따른 목재의 이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결점이 없는 SPF (spruce-pine-fir)와 Hem-fir 및 낙엽송재에 대하여 무결점 시험편을 채취하고 각 시험편에 대해 세 방향에서 초음파 속도를 측정한 다음, 이 속도와 각 재료의 밀도를 이용하여 산정된 탄성계수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초음파속도 및 탄성계수는 방향별로 목재의 길이방향, 방사방향, 접선방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밀도가 높을수록 각 방향별 탄성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종 간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탄성계수의 차이보다 방사방향, 접선방향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산정된 탄성계수를 사용하여 재료의 이방성을 비교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강성매트릭스의 대각선 항을 산정하였다.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 조림목(造林木)의 재질변이(材質變異)에 관한 연구(硏究)(I) - 잣나무, 낙엽송(落葉松), 편백(扁栢)의 해부적(解剖的) 성질(性質) - (Variations in Properties and Qualities of Major Plantation-grown Softwoods in Korea(I) - Anatomical Propertie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

  • 이찬호;박정환;김영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117-126
    • /
    • 1997
  • In fast grown softwood, there are very large changes in material properties going outward from the pith to bark such as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ome of variations in anatomical properties with annual ring were then examined from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which are major softwoods of plantation in Korea. The large variations of annual ring width during young age of tree tended to stabilize after 25year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in 17~23year. The ring density was 1.5~2.4 in 1~10year period, and 3.5~6.3 in 30~35year period, in which juvenile and mature wood were certainly assumed to be formed, respectively. Variations of tracheid length showed functional relationships with annual rings as logarithm. Demarcation between juvenile wood and mature wood could be 16~19year, which was determined from increase rate of tracheid length of 0.2%. Cell wall thickness increased with increase of annual ring even though large variations were observed as well. Variations of cell wall thickness within species were pronounced in latewood than earlywood. The increase of cell wall thickness from juvenile wood to mature wood was predominant in Larix leptolepis as 2.0times, and least in Chamaecyparis obtusa as 1.1 times. Cell diameters showed trends of increase during young age of 1~15year, and consistent afterward. The variations of cell diameter between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were greater in latewood, and most pronounced in Chamaecyparis obtusa.

  • PDF

목재의 기계적 성질, 내마모성 및 난연성 개선을 위한 진공가압 멜라민 수지함침처리 (Vacuum Pressure Treatment of Water-Soluble Melamine Resin Impregnation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y, Abrasion Resistance and Incombustibility on Softwood)

  • 오승원;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92-797
    • /
    • 2015
  • 진공가압 수지함침 처리에 의한 목재의 휨강도,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침엽수 3수종에 수용성 멜라민 수지를 수지농도와 처리시간별로 진공가압 처리한 후 수지함침 열압축목재(compreg)를 제조한 다음 물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같은 수종에 수용성 난연제를 도포처리하는 방법과 진공가압 후 열압처리 방법으로 제조한 다음 난연성 향상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휨강도 및 브리넬 경도는 증가하였고 내마모성은 향상되었으나, 처리시간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난연성은 도포시험편 보다 진공가압처리 시험편이 총 방출열량이 감소하여 진공가압처리에 의한 난연성 개선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이중(二重) 확산처리법(擴散處理法)에 의(依)한 간벌(間伐) 소경재(小經材)의 방부처리(防腐處理) (Preservative Treatment of Thinned Small-diameter Logs by Double-diffusion Processes)

  • 김규혁;김재진;지우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7-17
    • /
    • 1991
  • The feasibility of treating three softwood(Japanese larch pitch pine, and Korean pine) thinned logs by double-diffusion treatment processes was investigated. Some posts were incised before immersion, and others were imersed in hot copper sulfate solution. Comparison among species indicated that. in general, pitch pine was most treatable and Japanese larch least treatable. For all three species, almost all treatment schedules gave consistently good penetration and high net retention, but very steep gradient of preservative distribution. As expected, the treatability was increased by the extension of immersion time, increased concentration of treating solution, incising. and heating of the first solution. Of the variables tested, it appears that heating of the first solution is the most important. From the data in this paper, it may be concluded that, if the first solution is not heated, the best schedule is #3. If the first solution is healed. it appears the best schedules are #10 or #11. Since heating of the first solution improves the treatability. schedules # 10 or :#11 are recommended if the cost of heating might be justified. The data presented in this paper indicate that double-diffusion treatment processes seem to offer a promise as a comparatively effective and easy-operating method of treating thinned logs for the small-scale production of treated sto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