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산 시판 액젓의 등급판정을 위한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to Determine the Grading of Commercial Salt-Fermented Fish Sauce in Korea)

  • 조영제;이홍희;김보경;계현진;정우영;심길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823-830
    • /
    • 2014
  •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fish sauce and determine the grade of them by measur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s. The commercial salt-fermented anchovy sauce contained 65.84-70.94% (mean : 68.39%) of moisture, 22.19-25.43% (24.22%) of salinity, 5.4-6.1 (5.8) of pH, 0.76-1.61%(1.18%) of total nitrogen, 478.52-924.66 mg/100 g (702.05 mg/100 g) of amino nitrogen and 584.59-1593.52 mg/kg of histamine. Whereas commercial salted-fermented sand lance sauces contained 66.63-71.99% (68.73%) of moisture, 23.9-25.5% (24.57%) of salinity, 5.5-6.4(6.16) of pH, 0.64-1.46% (1.07%) of total nitrogen, 433.51-1006.67 mg/100 g (665.36 mg/100 g) of amino nitrogen and 194.01-1839.68 mg/kg of histamine. Correlation of TN, AN and VBN containing nitrogen was hig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se results and histamine. In total nitrogen content, 6 of the 20 fish sauces were less than Korea Food Standard. The eight samples were less than the amino nitrogen regulation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And 14 fish sauce were exceeded by 68% for moisture content standard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

마늘의 첨가가 저염 멸치젓의 숙성 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on Lipids of Low Salted Anchovy during Fermentation)

  • 권오천;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0-426
    • /
    • 2005
  • 마늘이 저염 멸치젓 숙성 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멸치 중량에 식염을 20% 첨가한 멸치젓을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은 식염을 각각 10% 첨가한 후 마늘 분쇄 물과 즙의 첨가량을 2, 5, 8, 10%로 달리하여 제조한 후 숙성 30, 60, 90, 110일에 시료를 취하여 분석하였다. pH는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상승하여 숙성 110일에는 6.2 -6.7로 중성화되었다. 과산화물가는 숙성기간동안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식염을 10% 첨가한 실험군들은 숙성 60일경에 최고로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TBARS는 숙성 90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마늘 분쇄 물과 즙을 10%씩 첨가한 경우 숙성 90일의 TBARS 함량은 각각 13.0과 14.4MA (㎎/㎏)으로 대조군의 약 77%, 마늘 무첨가 식염 10%군에 비해서는 약 58%에 불과하였다. 멸치젓 지방산의 조성비는 16:0, 18:1, 16:1, 20:5, 20:6 및 14:0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방산이 총 지방산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지방산 조성비는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고 숙성 110일에 다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멸치(Engraulis japonica)육의 물간법 중 염침투 특성 (Salt Penetration Properties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Muscle Immersed in Brine)

  • 오세욱;이남혁;김영명;남은정;조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96-1201
    • /
    • 1997
  • 저염 멸치젓 생산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으로서 brining 과정 증 멸치육의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10%, 15%, 20% 염용액 및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여 $15^{\circ}C$ 온도 조건에서 brining 하였을 때 초기의 염침투 특성은 first order kinetics에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때의 rate constant는 각각 0.018, 0.030, 0.039, 0.051를 나타내 염용액의 염농도가 증가할수록 초기의 염침투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지기간 중 멸치육 단백질의 분해는 염용액의 염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여 brining 하였을 때는 단백질 분해가 매우 더디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Brining 중 멸치육의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10% 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74%의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20% 식염수일 경우 65%의 수분함량을,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58%의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염용액의 염도가 증가할수록 탈수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여 낮은 수분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rining 중 멸치육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10% 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멸치육의 무게는 완만히 증가하여 72시간 후에 1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 염용액 및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식염수를 사용하여 $15^{\circ}C$에서 brining 시 고형분의 용출량을 측정하였을 때 초기에는 급격히 고형분이 용출되어 36시간 이후에 평형에 도달하였는데 이때의 감량 수준은 원료 멸치육의 무게의 30%감량수준이었다.

  • PDF

청갓과 청갓김치의 핵산관련물질의 동정 및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s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 김재이;최재수;김우성;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96-801
    • /
    • 2000
  • Kimchi is the Korean traditional food which is fermented properly from salted Korean cabbage of raddish with other various supplements. Kimchi therefore can be the major sources for various kinds of nutrients and other biological substances. The fermentation process accompanies with complicated reaction mechanism which bacteria, fungi and yeast are involved and they produced aroma, taste and bioactive components. To identify nucleosid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reeze-dried mustard leaf, mustard leaf kimchi and fermented mustard leaf kimchi. Hexane, CH$_2$Cl$_2$, EtOAc and BuOH was used in order to extract their components. The isolated compounds I and II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were identified as adenosine and uracil using UV, $^{1}H$-NMR, $^{13}C$-NMR and LC-MS, respectively. Compound I, II and nucleosides are the first report of its occurrence from mustard leaf and their kimchi, the standardized ratios of ingredients for kimchi were 10 of anchovy juice, 8 of red pepper powder, 3 of garlic, 1.5 of ginger, 6 of paste of glutinous rice. The nucleoside of mustard leaf and their kimchi was determined and compared. The order of nucleosides contents of mustard leaf was uridine>cytosine>uracil>adenine>guanosine>guanin, that of fresh mustard leaf kimchi was uridine>uracil>cytosine>guanine>adenosine>adenin>guanosine and that of fermented mustard leaf kimchi (5days at 15$^{\circ}C$) was guanine>adenine>adenosine>guanosine. The differences of nucleoside contents from those were due to various supplements and fermentation process.

  • PDF

다시마를 첨가한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Processing Process for Functional Anchovy Fish Sauce in Addition with Raw Sea Tangle)

  • 정민홍;정우영;계현진;정상원;박현규;조영제;심길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408-1418
    • /
    • 2013
  •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한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를 위하여 다시마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숙성기간에 따른 멸치액젓 내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초기 60일까지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는 큰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회분, 조지방 함량은 숙성 초기에 다소 변화하지만 일정숙성기간이 지나면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단백질함량은 숙성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다시마의 기능성 성분인 알긴산과 식이섬유 함량은 다시마 내에 존재하는 알긴산의 70%, 식이섬유는 50%가 멸치액젓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푸코이단과 요오드 함량은 숙성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80일 이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숙성기간이 450일 이후에는 멸치액젓의 일반성반을 비롯한 기능성 성분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법의 다시마 첨가한 멸치액젓의 의 최적 제조조건은 2% 이상의 생 다시마 첨가와 $20^{\circ}C$에서 450일 이상 숙성기간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최적조건으로 제조된 다시마 멸치액젓은 맛과 기능성이 기존 전통 멸치액젓에 비하여 우수하며, 경쟁력을 갖춘 수산발효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멸치젓갈 숙성중(熟成中) 지질(脂質)의 산화(酸化)와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 (Lipid Oxidation and Proteolysis of Anchovy Pickle during Ripening)

  • 송영옥;변대석;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1982
  • 멸치젓의 숙성중(熟成中) 지방(脂肪)의 산화(酸化)와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가 젓갈제품중(製品中)의 양성분(兩成分)의 조성(組成)에 어떤 영향(影響)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脂肪)의 산화과정(酸化過程)은 TBA값, 카아보닐값, 과산화물(過酸化物)값으로, 그리고 단백질(蛋白質)의 분해과정(分解過程)은 단백태질소(蛋白態窒素), 아미노태질소(態窒素), 휘발성염기질소(揮發性鹽基雲素)를 각각(各各) 분석(分析)하므로서 검토(檢討)하였다. 그리고 생(生)멸치와 멸치젓갈의 청(請) 지방구성(脂肪構成) 지방산(脂肪酸)과 체단백질(體蛋白質) 구성(構成) 아미노산(酸) 및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도 측정(測定) 검토(檢討)하였다. 멸치젓갈 숙성중(熟成中) 지방(脂質)은 주(主)로 숙성(熟成) 초기(初期)에 산화(酸化)가 진행(進行)되었으며, 단백질(蛋白質) 또한 초기(初期)에 급속(急速)히 분해(分解)되었으나 숙성경과(熟成經過)와 더불어 분해속도(分解速度)가 완만(緩慢)하여졌다. 지방구성(脂肪構成) 지방산(脂肪酸)의 조성(造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생(生)멸치의 지질중(脂質中)에는 포화산(飽和酸)은 주(主)로 $C_{16:0}$산(酸)과 $C_{18:0}$산(酸) 및 $C_{14:0}$산(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들 세 포화산(飽和酸)이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30.8%, 그리고 불포화산(不飽和酸)은 $C_{22:6}$산(酸)과 $C_{18:1}$산(酸) 및 $C_{16:1}$산(酸)이 주(主)로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들 세 불포화산(不飽和酸)은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48.7%를 차지하였다. 91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시료중(試料中)에는 포화산(飽和酸)에 속(屬)하는 $C_{14:0}$산(酸)과 $C_{16:0}$산(酸)이 전(全)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40%를 차지하여 생(生)멸치일 때보다 훨씬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불포화산중(不飽和酸中) $C_{22:6}$산(酸)과 $C_{20:5}$산(酸) 및 $C_{20:1}$산(酸)은 숙성(熟成)된 젓갈시료(試料)에서는 대폭(大幅) 감소(減少)하였으며, 젓갈시료중(試料中)에 많은 불포화산(不飽和酸)은 $C_{16:1}$산(酸)과 $C_{18:1}$산(酸)으로서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30%를 차지하였다. 생(生)멸치의 체성분(體成分)을 이루는 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leucine, alanin은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으며, tryptophan, methionine, tyrosine, serine, phenylalanine 등(等)은 그 함량(含量)이 낮았다. 생(生)멸치중(中)의 필수(遊離)아미노산(酸)에는 histidine, alanine, leucine, lysine, arginine이 많은 양(量)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91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시료중(試料中)에는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등(等)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젓갈로 숙성(熟成)시켰을 때 두드러지게 증가(增加)한 필수(遊離)아미노산(酸)은 aspartic acid, glycine, glutamic acid, isoleucine, valine이었고, 반면(反面)에 감소(減少)한 필수(遊離)아미노산(酸)은 histidine이었다.

  • PDF

젓갈류 및 배추김치에서의 바이오제닉 아민류 함량 조사 연구 (Biogenic-Amine Contents of Korean Commercial Salted Fishes and Cabbage Kimchi)

  • 신상운;김영숙;김양희;김한택;엄경숙;홍세라;강효정;박광희;윤미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18
    • /
    • 2019
  • We determined the contents of 11 biogenic amines in 20 types of cabbage kimchi, 10 types of fish sauce, and 40 types of salted fish purchased from small- and medium-sized grocery stores in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from June to October 2017. The content of each of the biogenic amines in the various types of cabbage kimchi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in detection amounts of each of the 10 types of biogenic amines and the values reported by Joe et al. The histamine content of all five types of anchovy sauce was lower than the limit set by the European Union (400 mg/kg), but that of three of the five types of sand lance sauce was higher. Analyzing the ratios of the contents of five highly toxic biogenic amines to those of the 11 biogenic amines yielded no quantitative correlation.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the five highly toxic biogenic amines in cabbage-kimchi and fermented fish was ${\leq}6mg$.

멸치 젓갈 숙성중의 dimethylamine의 생성 (FORMATION OF DIMETHYLAMINE IN THE COURSE OF ANCHOVY FERMENTATION WITH SALT)

  • 변재형;정보영;황금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3-231
    • /
    • 1976
  • 어류가공품중에 분포하는 2급 amino의 생성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서, 멸치를 $22\%$의 식염을 첨가하여 $17^{\circ}C$$27^{\circ}C$의 온도별로 열성시키면서 숙성 일정별로 단백질과 TMAO의 분해생성물을 분석하여 2급 amino의 생성과 관계있는 몇가지 실험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단백질 질소는 $17^{\circ}C$$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전숙성기간을 통하여 일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미노태 질소는 단백태 질소의 감소에 반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때 아미노태 질소의 증가속도는 $27^{\circ}C$에서 숙성한 것이 $17^{\circ}C$에서 숙성한 것에 비하여 훨씬빨랐다. TMA는 TMAO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여 갔으며 숙성 6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온도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MA는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숙성 69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27^{\circ}C$에서 열성시킨 것은 숙성 5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DMA는 TMAO의 양적변화에 비추어,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11, 그리고 $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65로서 각각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멸치 젓갈 숙성중의 DMA의 생성원인은 그 기여율이 $17^{\circ}C$일 때 $r^2\fallingdotseq0.75$, TMAO의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부재료가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구경형;선우지영;박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7-276
    • /
    • 2005
  • 중심합성계획(central composite design)과 반응표면 분석법(response surface analysis)을 이용하여 절임 배추 100g 당 부재료인 마늘(0∼2%), 파(0∼4%), 생강(0∼1.4%) 및 젓갈류(0∼2%)를 독립 변수로 하여 pH, 적정산도, 젖산균 수,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후 상품 김치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이용한 김치 부재료의 첨가량이 발효 단계별로 pH, 적정산도, 젖산균 수 등의 변화에 있어서 전통적인 김치 발효 형태를 보였다. 김치 부재료를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 하고, 각각의 품질 특성을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로 하여 분석한 결과, 독립 변수 마늘(X$_1$)-생강(X$_2$) 조합구는 발효 전반에 거쳐 pH,적정산도 및 관능 특성 중 색도, 전체적인 기호도와 상관성이 높은 반면, 마늘(X$_1$)-파(X$_3$),또는 생강(X$_2$)-파(X$_3$) 조합구는 각각의 품질 특성 항목과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젓갈류의 경우 관능검사의 텍스쳐 항목을 제외하고는 상관 계수 0.8이상이었다. 한편 젓갈의 결과를 반응표면 분석에 의하여 회귀분석 하여 도시한 결과, 발효 단계 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젓갈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정 산도, 젖산균 수, 붉은색과 황색을 나타내는 a, b값이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김치 제조 직후에는 젓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평가하였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젓갈 함량 1.0%에서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하였다

Alginate의 Na 흡착효과와 다시마 첨가 김치의 개발 (Na-binding Capacity of Alginate and Development of Sea Tangle Added Kimchi)

  • 하정옥;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95-1002
    • /
    • 2000
  •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여러 식이섬유의 Na흡착효과를 측정하였고 다시마내의 alginate의 Na 흡착능을 측정하고 다시마 첨가김치의 소금(Na) 흡착기능으로 저염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려고 하였다. 여러 식이섬유의 표품으로 Na흡착효과를 시험한 결과, alginate와 sodium alginate, 그리고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가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Sodium alginate는 산에서도 용해된 상태로써 위장에서부터 Na를 흡착하여 (29.9%) 소장까지 내려가지만(33.8%) alginate와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는 소장의 알칼리 상태에서 32.3%와 27.4%의 Na 흡착능을 보였다. 다시마내의 alginate함량은 건다시마의 경우 건조물당 22.2%, 염장다시마는 21.9%, 30분 침지 후3회 세척한 염장다시마는 19.8%였다 관능검사를 통하여 염장 다시마를 세척한 다시마를 0.5$\times$3 cm 형태로 절단하여 김치레시피의 30%첨 가한 김치를 제조하였다. 다시마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젖산균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대조김치에 비해 환원당 함량과 젖산균이 많았으며 발효속도는 다소 빨랐고 특히 다시마첨가 김치는 대조김치와 다시마젓갈첨가 김치보다 탄산미가 많고 군덕내가 적은 것이 특징이었다. 다시마첨가김치는 대조김치에 비해 수용성 식이섬유의 양이 건조물당 6.2%에서 9.2%로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