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시판 멸치액젓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Anchoby Sauce)

  • 김재현;류기형;안현주;이경행;이현자;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37-842
    • /
    • 2000
  • Commercially distributed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s in Korea were purchased from six different companies. Microbiological, 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and safet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the products. The salinity of every product was lower than of regulatory standard. All samples tested had acceptable in moisture content and pH. However, wide range of amino nitrogen (AN), volatile basic nitrogen(A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rimethylamine (TMA) contents were observed. One product among tested had lower level of AN than regulatory standard.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also detected from the samples, therefore sanitation procedure will be needed to ensure safety. From the results, AN, VBN, and viscosity were highly correlated to sensory scores, suggesting that these values can utilized as a standard method to evaluate quality of the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 PDF

멸치젓갈추출물이 돌연변이 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duced Mutagenicities)

  • 정근옥;강갑석;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26-1432
    • /
    • 2000
  • Ames 실험계에서 소금에 절인 생멸치는 생멸치보다 돌연변이유발성이 높았고, 잘 숙성된 멸치액젓(12개월)은 6개월된 멸치젓갈보다 낮은 보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MNNG에 의한 돌연변이 실험에서 12개월간 발효시킨 멸치액젓 2.5 mg에 함유된 천일염 1.4 mg과 histidine $8\;{\mu}g$은 12개월간 발효시킨 멸치액젓보다 2배 이상 높은 보돌연변이성을 보였다. 따라서 histidine의 함량이 높은 멸치젓갈의 안전성을 Ames test로 판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OS 실험계에서 생멸치, 소금에 절인 생멸치와 발효된 멸치젓갈 자체는 돌연변이유발성이 없었고, 오히려 12개월된 젓갈은 6개월 된 젓갈보다 높은 항돌연변이성을 보였다. 따라서 멸치젓갈 제조시 멸치에 소금이 첨가되어(생젓갈) 돌연변이 유발이 일어날 수 있지만 숙성기간이 길어지면(12개월, 익은 젓갈)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마선 조사된 멸치액젓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 육홍선;차보숙;김동호;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92-1200
    • /
    • 2004
  • 감마선 조사(10 kGy)된 멸치 액젓의 유전독성 학적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과 E. coli WP2 uvrA 균주를 사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Escherichia coli PQ37을 이용한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활성대사효소계 미적용 및 적용하에 실시하였고, ICR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in vivo 소핵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감마선 조사(10kGy)된 멸치액젓은 위의 3가지 in vitro실험에서 비조사 된 멸치액젓과 마찬가지로 음성으로 나타났다. 또,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멸치 액젓의 in vivo소핵세포실험에서도 소핵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10kGy까지 감마선 조사된 멸치 액젓은 위 수행된 in vitro 및 in vivo 유전독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음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유전독성학적으로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치원료의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scorbic acid oxidase 활성 (Amylase, Pre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 김현정;이정진;최미정;최신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33-13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김치재료 중 존재하는 각종 효소의 특성을 이용한 김치의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몇 가지의 대표적인 가수분해효소와 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가수분해효소로는 발효원으로 사용되고 균체증식에 필수적인 당 및 아미노산의 생산에 관여하는 amylase와 protease를 연구하였으며, 산화효소로는 이취발생과 vitamin C의 산화에 관여하는 peroxidase 및 ascorbic acid oxid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시료 1 g중 존재하는 효소활성은 ${\alpha}-amylase$의 경우 멸치젓, 고춧가루, 새우젓, 굴에서, ${\beta}-amylase$는 멸치젓, 굴, 무에서 높게 나타났다. Protease의 경우는 멸치젓, 새우젓, 고춧가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eroxidase와 ascorbic acid oxidase는 각각 무, 오이, 파 및 멸치젓, 고춧가루, 새우젓에서 높게 나타나 김치재료중 발효식품인 멸치젓과 새우젓이 전반적으로 높은 가수분해 및 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고춧가루는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무, 오이는 산화효소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Pre-salting in the Preparation of Salted Anchovy

  • Cho, Young-Je;Shim, Kil-Bo;Kim, Tae-Jin;Ju, Jung-Mi;Park, Young-Ju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3-104
    • /
    • 2000
  • Salted anchovy, generally favored in Europe, is one of the traditional fermented fish products in southern European countries and raw anchovy are aged in 20∼30% NaCl solution for 6 months (Ishida et al., 1994). They are then steeped in oil in glass jar or can, and marketed. The salt-fermented fish sauce, such as anchovy sauce and shrimp sauce are tropical fermented seafood from fish in Korea. (omitted)

  • PDF

주정을 이용한 멸치액젓의 탈염공정 및 품질특성 (Desalting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a Spirit)

  • 장미순;박희연;남기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93-9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멸치액젓에 주정을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소금의 용해도를 낮춤으로서 소금을 석출시키는 탈염방법을 활용하여 저염 멸치액젓의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주정을 활용하여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성분,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대장균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시판 멸치액젓에 대해 주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멸치액젓의 염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멸치액젓 100 mL에 대해 주정을 각각 100% 및 300%(v/v)를 첨가한 경우에 멸치액젓의 염도는 14.3% 및 10.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염도 23%인 식염수 용액의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탈염처리 한 멸치 액젓의 총질소 함량은 1.20%이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784.03 mg/100 g으로, 시판 멸치액젓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총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및 leucine이었고,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탈염처리 한 멸치액젓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공통적으로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valine, lysine 및 isoleucine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정을 이용하여 소금을 원하는 농도만큼 특별한 장비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멸치액젓의 탈염공정을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을 사용하여 멸치액젓을 탈염하는 방법은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맛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의 결과로 저염 멸치액젓 상품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인류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염장 멸치 (Salited Anchovy)의 제조조건 1. 염장방법에 따른 염장 멸치 (salted anchovy)의 제조 중 성분 변화 (Establishment of Processing Conditions of Salted Anchovy 1.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by Salting Methods)

  • 심길보;김태진;주정미;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8-102
    • /
    • 2001
  • Anchovy fillet 제조를 위하여 염장방법 및 숙성온도에 따른 염장 멸치의 숙성 중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물간에 비하여 마른간 하였을 때 육의 탈수량이 많았으며, $20^{\circ}C$에 숙성한 것이 $5^{\circ}C$에 비하여 수분함량이 다소 낮았다. 염분함량은 물간한 것이 마른간에 비하여 높았으며, $20^{\circ}C$에서 숙성 한 것이 $5^{\circ}C$에 비하여 높았다. 총 질소는 물간이 마른간한 것에 비하여 낮았으며, 염장 초기에 총질소의 저하가 현저하였다. 마른간이나 물간 모두 $20^{\circ}C$에서 염장 멸치의 숙성 중 아미노태질소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마른간은 숙성120일, 물간은 숙성 30일에 거의 최대를 나타낸 반면, $5^{\circ}C$에서는 미미한 증가를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의 변화는 아미노태질소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물간한 것은 마른간에 비하여 동일 온도에서 가수분해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5^{\circ}C$에서는 가수분해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과산화물가는 마른간이 물간에 비하여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5^{\circ}C$에 숙성한 것이 $20^{\circ}C$에 비하여 낮은 과 산화물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염장 멸치의 제조를 위해서는 대멸치를 가염지 한 다음, $25\%$의 식염으로 마른간하여 $5^{\circ}C$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육의 연화를 막고, 숙성이 어느 정도 진행된 염장 멸치론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멸치액젓의 위생적 품질향상을 위한 감마선 조사기술 이용 (Sanit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by Gamma Irradiation)

  • 김재현;안현주;김정옥;류기형;육홍선;이영남;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35-1041
    • /
    • 2000
  • 멸치 액젓의 새로운 위생화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고, 산업적 생산에 응용하고자 기존의 가열살균 및 정밀여 과방법과 비교하여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을 조사한 멸치 액젓은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이 밝아지는 등 외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저장 기간 중 pH, 염도 및 점도 등의 변화 없이 품질이 유지되었고, 색, 향, 맛 및 종합적 기호도 등 관능적 측면에서도 대조구와 가열살균 시험구에 비해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어 정밀여과 시험구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구 중 5kGy의 선량을 적용할 때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멸치액 젓 에 감마선을 조사함으로써 가열살균 및 정밀여과 방법과 비교할 때 품질의 변화 없이 우수한 멸치 액젓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업적 대규모 생산에 새로운 위생화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김치재료의 펙틴 가수분해 효소활성 (Pectin-degrading Enzymes of Kimchi Ingredients)

  • 김현정;이정진;정건섭;최신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26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대표적인 품질저하현상인 조직감 연화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여 이를 기초로 향후 김치생산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몇가지 김치 재료중 존재하는 펙틴가수분해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펙틴가수분해효소중 polygalacturonase의 비활성은 멸치젓, 무의 경우가 높았고, 시료 1g당 효소활성은 150.443 units/g sample인 멸치젓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춧가루의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의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pectinesterase의 비활성은 무가 가장 높았으며 멸치젓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시료 1g당 효소활성은 멸치젓이 3.310 units/g sample로 가장 높았으며 무, 마늘의 활성이 각각 0.901, 0.613 units/g sample로 높게 나타났다. 김치 원료의 배합비를 고려할 때 주원료인 무, 배추뿐만 아니라 부원료로 첨가되는 멸치젓 자체에 존재하는 펙틴분해효소가 김치의 숙성 및 유통중 품질변화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iogenic Amine-Producing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Myeolchi-Jeot,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 Mah, Jae-Hyung;Ahn, Jun-Bae;Park, Jong-Hyun;Sung, Ha-Chin;Hwang, Han-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692-699
    • /
    • 2003
  •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states of Myeolchi-jeot, a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were investigated during 20 days of storage at $4^{\circ}C,\;15^{\circ}C,\;and\;30^{\circ}C$. A total of 314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Myeolchi-jeot samples at different time intervals were identified, and their abilities to produce biogenic amines were determined by both decarboxylating agar media and HPLC analysis. The salinity and water activity of Myeolchi-jeot changed little, while the pH increased slightly over 20 days at the tested temperatures. A significant increase of total plate count was observed in the sample stored at $30^{\circ}C$. Staphylococcus spp. were dominant in Myeolchi-jeot, and its amine productivity was very weak. Bacillus spp. appeared increasingly with the progress of storage at all temperatures tested, and the increase was considerably dependent on the increase of storage temperature. Also, 58-73%, 83-90%, 81-90%, and 83-93% of Bacillus strains had the ability to produce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 and cadaverine, respectively. Therefore, the main amine producer in Myeolchi-jeot stored for a long period seems to be the genus Bacillus, especially B. lichenifor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