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oat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5초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Chang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서재환;김경훈;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6
    • /
    • 2009
  • 본 연구는 사료맥류의 최적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청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총체밀) 수확시기(출수기, 출수 후 10, 20 및 30일)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건물수량은 모든 맥종에서 출수 후 생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청보리와 총체밀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리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성분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보리, 총체밀, 트리티케일 및 귀리는 조단백질과 NDF 및 ADF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호밀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ADF와 NDF 함량은 증가하였다. TDN 함량과 RFV는 청보리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는 출수 후 30일, 호밀은 출수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별로 제조한 사일리지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맥종별 사료가치로서 평균 TDN 함량은 보리가 6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순이었다.

귀리 도정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Oat)

  • 함현미;우관식;박지영;이병원;최혜선;최용환;이준수;이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81-16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귀리의 도정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성분으로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귀리의 도정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중 bran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41.53 mg gallic acid equivalents/100 g sample 및 12.07 mg catechin equivalents/100 g sample로 whole grain 및 endosperm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bran 추출물의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이 각각 42.34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TEAC)/100 g sample, 24.18 mg TEAC/100 g sample, $A_{700}=0.76$으로 나타나 whole grain 및 endosperm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귀리의 도정 부위별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우수한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을 가지는 귀리의 bran층은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있어 좋은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중부내륙지방에서 벼 수확 후 재배한 월동 사료작물들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A Comparison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Forage Crops Cultivated after Rice Harvest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는 중부 내륙지방에서 벼 수확 후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파종하여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검정한 다음 벼 수확 후 재배에 유리한 월동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4초종(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으로 하고, 품종은 각각 마톤, 동한, 신영 및 코윈어리로 난괴법 3반복 실시하였다. 파종일은 10월 24일(벼 수확 후)에 하였으며, 수확은 이듬해 5월 23일에 실시하였다.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호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귀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다른 초종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회분 및 ADF함량은 월동 사료작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NDF 함량은 호밀 > 트리티케일 > 귀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TDN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귀리 > 트리티케일 > 호밀 순으로 나타났다(p<0.05). 총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단백질함량이 높았던 작물 순(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귀리 > 트리티케일 > 호밀)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무기물 함량은 호밀 > 트리티케일 > 귀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귀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트리티케일 > 호밀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는 조단백질, TDN, 구성 아미노산, 유리당 함량이 높아 사료가치는 매우 양호하였으나 파종적기를 벗어난 늦은 파종으로 인하여 건물수량이 낮았다. 그리고 호밀과 트리티케일은 사료가치는 떨어지지 만 높은 수량을 확보(건물수량 및 TDN 수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중부 내륙지방에서 벼 수확 후 다음 해에 모심기 전까지 논토양을 이용하기 적합한 월동 사료작물 재배는 호밀과 트리티케일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산균의 종류 및 귀리 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at Addition and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 이미자;양지영;김현영;송승엽;서우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4-611
    • /
    • 202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oat and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Yogurt was fermented with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 bulgaricus (LB),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ST) and quality properties, β-glucan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estimated. The quality of control and oat added yogurt (O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 and combination. The addition of oats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decreased the pH, and in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and count of the viable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Acid production was highest in ST, with the complex strains containing ST and LALBST showing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iscosity of oat yogur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LALBS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β-glucan content of OY was 0.14-0.2%, and the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oats.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addition of oats and a combin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yogurt.

Is stopping of anticoagulant therapy really required in a minor dental surgery? - How about in an endodontic microsurgery?

  • Cho, Yong-Wook;Kim, Euiseo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3호
    • /
    • pp.113-118
    • /
    • 2013
  • Nowadays, oral anticoagulants are commonly prescribed to numerous patients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accident such as thromboembolism. An important side effect of anticoagulant is anti-hemostasis. In a major surgery, the oral anticoagulant therapy (OAT) regimen must be changed before the surgery for proper post-operative bleeding control. However, in a minor dental surgery and endodontic surgery, the necessity for changing or discontinuing the OAT is open to debate. In this study, risks of the consequences were weighed and analyzed. In patients who stop the OAT, the occurrence of thromboembolic complication is rare but the result is fatal. In patients who continuing the OAT, post-operative bleeding can be controlled well with the local hemostatic measures. In the endodontic surgery, there are almost no studies about this issue. The intra-operative bleeding control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ndodontic surgery because of its delicate and sensitive procedures such as inspection of resected root surface using dental microscope and retrograde filling.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about this issue in the viewpoint of endodontic surgery.

Pseudomonas sp. LG2의 Ferulic acid esterase 및 Xylanase 유도와 부분적 특성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Induction of Ferulic Acid Esterase and Xylanase from Pseudomonas sp. LG2)

  • 김용균;이상몽;박현철;김근기;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8-574
    • /
    • 2007
  • 리그닌 분해 세균인 Pseudomonas sp. LG2는 lignocellulose 기질을 분해하여 APPL 화합물을 생성하는 균주이다. 이 균주를 BSG(brewer's spent grain)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에서 APPL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세포외 조효소들의 유도에 관한 여러 가지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ucose 배지에서는 xylanase의 효소활성만 확인 되었고 xylose, arabinose에서 배양한 조효소에서는 FAE 및 xylanase의 효소활성이 없었다. Oat spelt xylan, HBSG I(hydrolyzed brewer's spent grain I), HBSG II(hydrolyzed brewer's spent grain II) 및 AFBSG(autoclaved fraction from brewer's spent grain)를 탄소원으로 배양한 조효소에서는 FAE 및 xylanase의 효소활성이 확인됐다. Pseudomonas sp. LG2를 oat spelt xylan, HBSG I, HBSG II 및 AFBSG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14일 동안 배양하면서 배양기간에 따른 세포외 효소들의 FAE와 xylan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Xylanase의 최고 활성은 xylan을 탄소원으로 6일간 배양 했을때 5.3 U/mg으로 가장 높았으며, FAE의 최고 활성은 AFBSG를 탄소원으로 배양했을 때 배양 8일째 15.4 mU/mg으로 가장 높았다. Oat spelt xylan, HBSG I, HBSG II 및 AFBSG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배양한 배지에 분리된 ferulic acid가 확인되었다. 세포외 효소의 FAE 활성은 methyl ferulic acid, methyl caffeic acid, methyl p-coumaric acid에 대해 esterase의 활성을 보였으나, methyl sinapinic acid, methyl vanillic acid 및 methyl gallic acid에 대해서는 esterase의 활성이 없었다.

Bacillus sp. A-6의 Xylan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ylanase from Bacillus sp. A-6)

  • 최석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7-152
    • /
    • 2009
  • Bacillus sp. A-6의 배양액의 상등액으로부터 한외여과와 5 mM sodium acetate, pH 5.0 용액으로 평형화된 SP-Sepharose column을 사용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xylanase를 정제하였다. Column에 흡착된 xylanase는 0.05 M NaCl 이하의 농도에서 용출되었다. 용출된 xylanase가 SDS-PAGE에서 단일 펩티드 밴드로 분리되어 순수함을 확인하였으며 oat spelt xylan을 기질로한 zymogram에서 xylan을 분해하는 밴드로 나타났다. Xylanase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 15,000이었고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14,100 이었다. 박층막 크로마토그래피에서 xylanase가 oat spelt xylan을 xylobiose와 xylooligosaccharide로 분해함을 보였다. Xylanase를 가열할 때에 상대활성도가 $40^{\circ}C$에서 7시간 후에 80%로 감소하였으며 $60^{\circ}C$에서는 1시간 후에 40% 이하로 감소하였다.

Three Protein Kinases from the Etiolated Oat Seedlings Phosphorylate Oat Phytochrome A In Vitro

  • Park, Young-Il;Kim, Jae-Hun;Lee, Jae-Deok;Kim, Yong-Woo;Kim, In-Soo
    • BMB Reports
    • /
    • 제31권3호
    • /
    • pp.221-226
    • /
    • 1998
  • Phosphorylation of phytochrome may play important functional roles to control plant photomorphogenesis. Many attempts have failed to identify the protein kinase that phosphorylates phytochrome in vivo. It has been reported that a polycation-stimulated protein kinase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the purified phytochrome. However, it is not known if the kinase activity is an intrinsic property of phytochrome or whether it comes from a contaminant of the purified phytochrome. In the present study, three protein kinases that phosphorylate phytochrome have been identified from etiolated oat seedlings. A polycationstimulated protein kinase that had very similar enzymatic properties with that associated with the purified phytochrome was identified in the cytosolic extract. It phosphorylated several contaminant proteins in the kinase preparation as well as phytochrome and had a broad substrate specificity. A CK II-type protein kinase phosphorylated phytochrome and the exogenously added casein. It is likely that this kinase may not be a feasible candidate for the kinase phosphorylating phytochrome in vivo since the content of the kinase seemed to well exceed the content of phytochrome in the etiolated oat seedlings. Another protein kinase that had unique enzymatic properties phosphorylated phytochrome very specifically and seemed to be present in a small quantity in the etiohlted seedlings. It is expected that one of three kinases may be responsible for the phytochrome phosphorylation in vivo.

  • PDF

Xyla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sp. YB914의 특성과 효소 생산성 (Characterization and Xylanase Productivity of Streptomyces sp. YB914)

  • 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83-388
    • /
    • 2009
  • 토양으로부터 세포외로 xylanase를 분비 생산하는 방선균 YB-914가 분리되었으며, 형태, 배양,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 속 균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의 배양상등액에 존재하는 xylanase는 pH 5.5과 $55^{\circ}C$의 반응조건에서 반응성이 가장 높았으며, pH 4.5~7.0 범위에서 최대활성의 80% 이상을 나타냈다. Xylanase의 생산을 위한 배지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G.S.S 배지성분을 여러 종류의 탄수화물로 대체하였다. Oat spelt xylan, corn cob xylan, 밀기울 및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은 Streptomyces sp. YB914의 xylanase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alactose와 arabinose는 효소 생산을 크게 억제하였다. Oat spelt xylan(1%)와 유당(1.5%)을 함유한 변형배지에서 xylanase의 최대생산성이 48 U/mL로 확인되었다.

수확시기와 품종이 추파연맥의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Harvest Date and Cultivar Effect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Oat)

  • 이강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9-346
    • /
    • 1999
  • 본 시험은 수확시기 및 품종이 추파 인맥(Avena sativa L.)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수확시기로서 조기(10월 11일), 중기(10월 21일) 및 만기(11월 1일)를 주구로 하고, 품종('west', 'Cayuse' 및 'Magnum')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배치 하였다. West 품종만이 10월 10일에 첫 출수를 하였으며, 만기수확시기에는 30%의 출수율을 보였다. 건물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12,8%에서 15.9%로 증가하였으며(p<0.01), West, Cayuse 및 Magnum 품종이 각각 15.4, 13.4 및 13.5%의 건물률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20.1%에서 13.3%로 감소하였으며(P<0.01),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와 Magnum이 조생종인 West보다 2% 더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ADF와 NDF 함량은 중기수확기에 가장 높았으며, 조생종인 West가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나 Magnum에 비해서 더 높은 ADF, NDF 함량을 나타내었다. West의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Cayuse와 Magnum은 중기수확기까지만 감소하였다. Cayue와 Magnum 품종이 West에 비해서 3~4% 더 높은 in vitro 건물소화율을 나타내었다. in vitro 소화율과 ADF 함량간에는 -0.86의 높은 부(負)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매수확시기별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2,901kg에서 5,901kg로 증가하였으며(p<0.01), 품종간의 유의성은 없었다(p<0.05). 건물수량과 유효적산온도(GDD)간의 상관관계는 +0.8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추파연맥을 재배시 건물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수확시기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와 Magnum은 수확시기를 늦추어도 사료가치의 큰 변화없이 건물수량 증수가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