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immigrant women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생식건강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Reproductive Health Program and Identification of Effect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 박명남;최소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8-25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reproductive health program to improve reproductive health of women immigran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8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Vietnam, China, Philippines, or Cambodia before marriage. The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n=29) or the control group (n=29). The reproductive health program for this study consisted of reproductive health education, health counseling, phone monitoring, and emotional support based on Cox (1982)'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and was implemented for four week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t=9.78, p<.001), reproductive health attitude (t=6.59, p<.001),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t=5.11, p<.001) within and between groups after the reproductive health program.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indicator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that reproductive health program for the women immigrants is effective in terms of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reproductive health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s. Therefore, nurses in public and private facilities, such as multicultural center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each community, should develop strategies to expand and provide reproductive health programs for women immigrants.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출산 후 모성경험 (Vietnamese Immigrant Women's Experience of Maternity after Childbirth)

  • 권영은;박정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5-366
    • /
    • 2018
  • Purpos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Vietnamese migrant women's maternal experience after childbirth. Methods: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Study participants were six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d experience of childbirth in Korea.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1 through November 4, 2016.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with the Giorgi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study, six main meanings and 12 themes were produced. The six main meaning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childbirth realized in the double difficulty', 'concerned health between the ở cữ and the sanhujori', 'tired body with hard parenting', 'crowding regret for international marriage after childbirth', 'Grateful partner becoming the prop', and 'Growing maternal instinct by moving the mind and body in a foreign country'. Conclusion: Consideration for postnatal care is necessary from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s viewpoint.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nursing capability of medical personnel for multicultured clinical practice with development of a postnatal care program suited to multiculture are also necessary.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Obstetrical & Gynecological Health Status and Body Composi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 김동희;박형숙;배경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94-901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54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7월 21일부터 2009년 7월 25일까지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인 특성, 생식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신체계측과 체성분 검사를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체외수정 경험, 임신경험과 유산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대상자의 국적에 따라 월경, 월경 전 증후군, 지난 1년간 월경의 규칙성, 질 분비물에서의 냄새, 체외수정 시술경험, 분만경험,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한국 내 체류기간에 따라 체외수정 시술경험, 임신경험, 분만경험과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종교유무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 생식기감염 치료경험과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자녀유무에 따라 월경통, 임신경험, 분만경험, 출산합병증과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체지방률은 국적과 종교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는 연령, 국적 및 체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는 연령, 국적 및 종교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연령과 출신국가 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건강관리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the Self-Sufficiency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ly in Rural Korea)

  • 양순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1호
    • /
    • pp.55-67
    • /
    • 2015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irs relative importance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jor findings that were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rist, the difference in the self-sufficiency level of their family perceived between husband and married immigrant women was not significant. But, in the level of self-sufficiency will, the level perceived by the husband was higher than it of the women significantly.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of the women(${\ss}=.31$) affected most significantly the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ed by the labour morale of the women(${\ss}=.25$), labour morale of the husband(${\ss}=.20$), academic background of the husband(${\ss}=.19$), academic background of the women(${\ss}=.12$), spouse support level of the women toward the husband(${\ss}=.12$). Thir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elf-sufficiency will variables had more explanatory power on it than social-demographic and/or social support variables. In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lans improving self-sufficiency of the rural multicultural family were suggested.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establish the policy suppor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최나야;우현경;정현심;박혜준;이순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2호
    • /
    • pp.255-2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6 mothers from Mongolia, Philippines, and Japan who were living in Seo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difficulties of giving birth and child rearing, especially in the earliest years of their children. They were not fully adapted to the ways of living in Korea with little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Second,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s development, particularly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and fluency in Korean. Thir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cultural and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ir children. They expected their children to be treated and respected equally like ordinary Korean children. Fourth, they were anxious about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might not acquire the basic academic skills before they enter the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they were worried that their children might not get as much educational support as they want. Fifth, despite the burden of mother's role in Korea, they wished to get a job to support their children for better education. In conclusion, the marriage immigrant mothers experienced the stress due to the lack of social support, the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the possibilities of their children's delays in development, the disparity in the level of support for educating their children and the high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y makers to consider mor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for the marriage immigrant mothers to build up self-confidence in child rearing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여성 결혼이민자의 결혼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대상화된 전형화를 넘어서기 (A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Marriage Immigrants' Marital Life: Beyond Objectified Typification)

  • 박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73-1784
    • /
    • 2015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관점에서 결혼생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Giorgi의 현상론적 방법론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결혼이주민의 결혼생활 경험의 의미는 '사랑, 그 다양한 빛깔의 끌림', '남편, 참 좋은 사람', '맞닥뜨린 현실', '자녀, 안정과 기쁨 그리고 버거움', '한국 아줌마처럼 살아내라는 남편', '부대끼고 아련한 시부모와 친정부모', '결혼은 나의 힘: 노력하게 하는 원동력', '결혼생활을 넘어 공동체로' 이렇게 8가지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결혼생활의 의미는 사랑에 끌려 결혼한 참 좋은 사람과 낯설고 두렵지만 부대끼면서 한국 아줌마처럼 살아나가기였다. 이는 결혼이민자를 대상화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전형화를 넘어서는 결과였다.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in Migrant Workers)

  • 이순희;이영주;김숙영;김신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99-91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in migrant workers. Methods: Between August, 2007 and January, 2008 171 immigrant workers completed data collection using a questionnaire. Workers were recruited from 2 churches, one in Seoul and the other in Gyeonggi Provinc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3.73 (${\pm}0.65$) and for acculturative stress, 2.52 (${\pm}0.6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gender (t=2.152, p=.033), kind of job (t=2.597, p=.040), and have community or not (t=2.899,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r=-.270, p=.001). Factors influencing acculturative stress were existence of participants having a community of people from their home country or not ($R^2=.151$, p=.002). Conclusion: Mo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acculturative stress in immigrant workers.

미국 이민 한국 중년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Korean Immigrant Middle-aged Women in the U.S.)

  • 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06-61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자가검진(BSE)의 지식정도, 훈련도, 숙련도 및 빈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BSE 빈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미국에 이민 온 40세-60세 사이의 중년 여성 58명으로 와싱톤주의 시애틀과 타코마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연구도구는 미국암협회의 BSE 안내책자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한국교회 4곳으로부터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대상자들의 연구동의를 얻은 후 우편으로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3월 6일부터 2000년 5월13일이었으며. 질문지 회수율은 7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주요 변수사이의 관련성에서 그 이전연구 결과와 대개 일치하였다. 대상자의 BSE 빈도는 년간 10회-12회 실행이 21.08%이였고, 전혀 실행하지 않는 정도가 4.80%를 차지했다. BSE 빈도와 관련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나이는 BSE 빈도와 역상관 관계(r=-.289, p=.038)를 나타냈고, BSE 훈련에 대한 지도(r=0521, p=.000). BSE 지식에 대한 기술(r=.573, p=.000) 및 BSE 숙련도(R=.694 P=.000)는 BSE 빈도와 정상관 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BSE 빈도의 가장 유의한 예측변수로서 BSE 지식에 대한 기술(beta=.5813. p=.003)로 지지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간호사가 이민 온 한국 중년여성들의 BSE실행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 유방암의 조기발견에 대한 예방적 행위를 증진시키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PDF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임신·출산 및 영유아 양육 지식과 교육요구도 (A Study on Pregnancy, Delivery, and Infant Rearing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전미순;강기정;박성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3호
    • /
    • pp.179-190
    • /
    • 2011
  •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에 대한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C시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으로 150명을 임의 표출방법으로 선정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28부를 제외한 122명이었으며,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임신 출산 지식은 5점만점에 평균 3.35점으로 나타났고, 거주지역과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신 출산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4점으로 나타났고, 출신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영유아 양육 관련 지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16점으로 나타났고, 자녀유무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 양육 교육요구도는 5점만점에 평균 3.66점으로 나타났고, 출신국과 자녀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임신 출산(p=0.003) 및 영유아 양육(p=0.001) 지식수준과 교육요구도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지식수준보다 교육요구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 지식보다 교육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 교육요구도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 존재 유무 및 자녀의 연령에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또한 일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향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 존재 유무 및 자녀의 연령에 제한을 둘 뿐 아니라 다른 지역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반복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 지식수준과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연구와 임신 출산 및 영유아 양육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적용과 이에 대한 효과검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령군의 다문화가정 지원현황과 과제 (The Phenomena and Problems of the Supporting Activities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Goryeong-gun)

  • 조현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7-366
    • /
    • 2008
  • 본격적인 글로벌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수준에서에서의 자본, 상품, 문화의 초국가적 이동과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동과 교류의 직접적인 장이 되고 있는 지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야기되고 있는 다문화담론의 주요 대상인 결혼이주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령군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 시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했다. 그 결과, 고령군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은 고령군청과 교육청이 주축이 되어 실시하고 있었으나, 유사한 지원내용이 중점적으로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기관간의 연계가 부족하여 지원내용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고자하는 노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에서의 다문화현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내용과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의 중심이 되어 지역 내의 자원과 인재를 적지적소에 활용하는 통합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