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llections

검색결과 1,170건 처리시간 0.028초

노루궁뎅이버섯 야생 수집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type collections of Hericium erinaceus)

  • 박순애;김선주;김하람;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18
  • 노루궁뎅이버섯의 국내 야생수집 18 균주와 재배종 '노루1호', '노루2호' 품종의 PDA배지에서 균사체 배양적 특성은 갈색색소생산, 기중균사형, 분지균사형으로 분류되었으며 KFRI 509, KFRI 1091, KFRI 1093, KFRI 1623의 균사생장율이 '노루1호', '노루2호'보다 20% 이상 높았다. Ethanol 60%추출물이 페놀함량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았다. 노루궁뎅이버섯 수집 균주의 항산화활성은 KFRI 507, KFRI 508, KFRI 842, KFRI 1623균주가 재배종 '노루1호', '노루2호'와 비교하여 DPPH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10%에서 40% 이상 높았으며 ABTS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 0.125 mg/ml를 기준으로 '노루1호', '노루2호'보다 30%에서 60%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인삼(Panax ginsneg C.A. Meyer) 수집종의 주요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for the Major Traits and Genetic Similarity of Nativ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Collections in Korea.)

  • 임순영;손재근;류태석;권태룡;최진국;최홍집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88-494
    • /
    • 2010
  • 국내에서 수집된 인삼 자원 중에서 작물학적 특성이 우수하다고 조사된 54점(6~7년 근)을 대상으로 UPOV 조사 기준에 따라 주요 형태적인 특성들을 조사한 결과 경수는 1~4개 범위로 1개인 것이 42.6%이고, 2개인 것이 38.6%로 경수가 1~2개인 것이 전체 81.2%로 나타났으며, 경수가 5개인 것은 없었다. 장엽수는 3~6엽 범위로 5엽이 55.6%였고 4엽인 것은 25.9%였다. 경색은 자색계열이 전체 81.5%로 자색이 46.3%, 연자색이 25.9%를 차지하였다. 엽병색도 자색계열이 87%로 이 중 자색이 38.9%, 연자색은 29.6%를 차이 하였다. 잎의 주름 정도는 약간 있다가 20.4%였고, 46.3%가 강하다고 조사되었다. 잎의 거치정도는 없거나 약간 있다고 조사된 것이 51.9%였고, 29.6%가 강하다고 나타났다. 소엽모양은 넓은 타원형이 61.1%였으며, 타원형이 38.9%이였다. 풍기를 포함한 경북 지역 수집종 21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29점 등을 포함한 54점의 수집종을 재료로 100개의 random primer를 이용 RAPD 분석 결과 OPA02 등 14개의 primer를 선발하였으며, 크게 금산지역과 풍기지역으로 group지워졌고, 풍기 수집종인 01-9, 01-35, 01-44는 금산지역으로 grouping되어진 반면, 금산지역 수집종 332001, 332002, 332003은 풍기 지역으로 grouping되었다. 금산지역 수집종은 65~86%로 변이가 심한 반면, 풍기지역 수집종은 73~95%사이로 금산지역 수집종의 혼계 정도가 더 심하였다. 특히 형태적 특성 면에서 두 지역간에 경수는 1~2개로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의 모양 등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수집종의 유전 분석을 통해 선발된 OPA02, OPA07, OPC08, OPD11, OPD20 등 14개의 primer들은 앞으로 지역 재래종 특성 분류 등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이나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leeting Fragrance The History, Preservation and Display of Perfumed Costume

  • Johansen Kat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4권2호
    • /
    • pp.40-44
    • /
    • 2004
  • Fragrance-like style-is one of the intangible aspects of costume history that we often wish had been preserved. Garments were perfumed both to impart a pleasurable impression and to mask disagreeable odors from use or from production processes such as tanning and dyeing. Expensive gloves were traditionally perfumed, as well as lace collars, silk stockings and shawls. Both historical and modern attempts have been made to create scents that please the wearer and attract the oppoiste sex, while (preferable) also repelling osquitoes and moths! Unintentional perfuming also occurred, which we sometimes may be lucky to find in our museum collections. How do we describe and identify the transient odors of museum objects, and at what cost can they be preserved and presented for the public? This lecture includes samples of reconstructed historical scents presented in costume exhibitions at the Royal Danish Collections.

미국의 주립기록보존소제도 (State Archival System in America)

  • 김상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5-144
    • /
    • 2000
  • 본 연구는 미국의 주립기록보존제도를 그 설립배경과 조직, 기능과 소장기록물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주립기록보존소는 그 설립초기부터 현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주별로 개별적으로 성장 발전하였으며, 각 주의 규모만큼이나 다양한 조직의 형태와 기능, 소장기록물을 보유하고 있다.

  • PDF

정창원(正倉院) [쇼소인]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과 과제 (The Research Status and Task of the Metalcrafts of Shoso-in Collection)

  • 최응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3호
    • /
    • pp.32-53
    • /
    • 2018
  • 쇼소인[정창원(正倉院)]은 일본 나라시내(내량시내(奈良市內)) 토다이지[동대사(東大寺)]의 후원 쪽에 위치하는 목조(木造)로 지어진 단독의 창고 건물을 가리킨다. 이곳에는 나라시대로부터 소장되기 시작한 약 9,000여점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미술품과 문서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창원 유물이 주목받는 까닭은 8세기 일본의 공예, 조각, 회화는 물론 사산조 페르시아, 인도와 같이 실크로드를 통해 건너온 물품과 당시 통일신라와 중국 당대에서 유입된 유물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백여점에 달하는 생생한 문서가 잘 보존되어 있어 당시의 사회 제반 상황은 물론이고 문화 외교의 교류사 및 불교 교리의 변천까지 아우르는 역사적 고증 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정창원 소장 유물이 과연 어느 시기에 어느 곳에서 제작된 것인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들 중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져 수입되거나 선물로 받은 것도 있겠지만 백제나 통일신라에서 만들어져 정창원에 소장된 유물이 다수 전해지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중요성을 지닌 정창원 관련 연구가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정리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외 학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창원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는 금속공예품을 통해 이들이 지닌 정창원 유물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나아가 정창원 조사와 연구에 대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정창원 조사와 연구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 내용이다. 1, 정창원 소장 유물 조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및 창구의 일원화 2. 정창원 소장 유물의 체계적인 목록화 작업 및 데이터베이스화 3. 일본과 공동 조사 연구의의 적극적인 시행 및 정창원 관련 연구자의 초청 4. 정창원 유물과 국내 보물급 유물의 교류 전시 추진 5. 정창원 관련 서적의 출판과 지원을 통한 연구 저변의 확대.

재래종 팥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Agronomic characters of Korean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 노창우;손석용;홍성택;이경희;유인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4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재래종 팥 361개의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집재래종 팥의 초형은 직립형이 77.8%로 제일 많고 중간형이 15.3%, 만성형이 6.9%로 제일 적었다. 엽형은 원형, 타원형, 점선형 순으로 많았고 화색은 황색 이 89.5%로 가장 많았고 담황색 9.4%, 농황색 1.1% 순이었다. 종피색은 적색 60.6%, 회색 26.9%이며 그 외 녹색, 백색, 담흑색, 적지흑, 암지흑, 백지갈색 은 1.4∼3.3%로 매우 적었다. 개화일수는 69∼75일, 결실일수는 41∼50일, 생육일수는 111∼120일인 수집종들이 가장 많았다. 경장은 41∼60 cm에서 50,2%, 개체당 협수는 16∼20개에서 40.2%, 100립중은 8-10g이 30.5%로 가장 분포비율이 높았다.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III): Tomijiro Uchiyama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I) - with respect to T. Uchiyama -)

  • 김휘;최병희;장진성;장계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3-215
    • /
    • 2007
  • 일본인 전문식물재집자인 T. Uchiyama는 1900년과 1902년 두 번에 걸쳐 한반도의 식물채집을 실시하였다. T. Uchiyama의 수집물은 일본인으로서는 최초의 한반도 식물에 대한 채집활동의 결과로 생각되며, 당시 채집된 식물표본은 T. Nakai에 의해 Flora Koreana와 H. $L{\acute{e}}veill{\acute{e}}$ 연구 재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동경대학 식물표본관에 소장된 T. Uchiyama의 채집표본과 문헌을 중심으로 당시의 채집 경로와 일정을 확인하여 채집일과 장소를 날짜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표본에 채집자에 의해 직접 기록된 자료와 Nakai에 의해 표기된 지명을 제공하였다. 문헌을 근간으로 추정된 전체 채집 표본수는 약 1.674개로 확인되나 현재 동경대학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은 200여점에 불과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표본의 2/3는 두 번째 채집인 1902년에 수집되었으며, Nakai는 이중 41개의 표본을 새로 기재한 종의 기준표본으로 사용하였다.

An inventory of Korean living collections in the Arnold Arboretum of Harvard University, USA

  • Lee, Sang Jun;Kim, Jung-Hyun;Nam, Gi-Heum;Kim, Min-Ha;Lim, Chae 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83-194
    • /
    • 2014
  • As part of a stud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lant species propagated in foreign countries, we conducted extensive surveys on Korean living collections in the Arnold Arboretum of Harvard University, the oldest public arboretum in North America. Specifically, we collected and identified the voucher specimens of the living collections and further examined the collection databas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how Korean plants were introduced to the Arboretum. We found that a total of 154 Korean taxa (belonging to 49 families and 81 genera) have been planted in the arboretum. Most plants originated from seeds that were directly collected in Korea or obtained via seed exchanges with botanical gardens in Asia, Europe, and U.S.A. Of the 154 taxa, 16 are Korean endemic species, and three are listed as endangered species. In addition, 62 taxa are a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species of Korea u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arine Algae and Early Explorations in the Upper North Pacific and Bering Sea

  • wynne, Michael J.
    • ALGAE
    • /
    • 제24권1호
    • /
    • pp.1-29
    • /
    • 2009
  • A synthesis of early exploration and the discovery of marine algae in the upper North Pacific and Bering Sea is presented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730s to around 1900. Information is provided about these early efforts to gather natural objects, including seaweeds, and names of these algae are enumerated. The first collections of marine algae in this broad region were those made by steller and Kracheninnkov from the Kamchatka Peninsula,Russia,during the Second Kamchatkan Expedition (1735-1742) and were described by Gmelin (1768). The first known algal collections in Alaska were those made byMerck in his 1790-1791 visits to Unalaska Island during the Billings expedition (1785-1794). British-sponsored expeditions for commercial purposes and for exploration and dis-covery allowed surgeon-naturallist Archibald Menzies to garher seaweeds that Dawson Turner and others worked up back in Europe. Several of the Russian Expedition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 century had naturalists aboard. the first Russian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1803-1806), with the ships 'Nadeshda' and 'Neva,' under the com-mand of Capt. Adam von Krusenstern had naturalists Langsdorff, Tilesius, and Horner, all of whom collected sea-weeds. The naturalist Adelbert Chanmisso accompanied the Romanzof Expedition (1815-1818) on the Russian vessel 'Rurik' under the command of Otto von Kotzebue and made collections of algae in the Aleutians as well as in the Kurils and Kamchatka. The Lutke expedition of 1826-1829 consisted of thw ships. Feodor Lutke was in command of the 'Seniavin' with K.H. Mertens aboard as physician-naturalist, and the 'Moller' was under the command of staniukovich accompanied by the naturalist G. Kastalsky. The first American-sponsored scientific expedition (1838-1842) was that commanded by Charles Wilkes, and the algae that were collected were worked up by J.W. Bailey and W.H. Harvey. The Russian naturalist Ilya Voznesenskii spent the period 1839-1849 in Russian Americ (Alaska and northern California) energetically traveling and making numerous collections of natural objects as well as ethno-graphic artefact. His algae were described by F.j. Ruprecht back in St. petersbung. The Swedish scientific vessel, the'Vega' (1878-1880), was under the command of Nordenskiold. The naturalist F.R. Kjellman made algal collections from Port Clarence, Alaska, as well as from bering Island and St. Lawrence Island in the Bering sea. The Harriman Alaskan Expedition in the summer of 1899, with the ship 'George W. Elder,' was sponsored by railroad magnate E.H. Harriman of New York City and had several scientific personnel aborad, including the phycologist De Alton Saunders. Algae were collected in Alaska and Washington. During the same summer of 1899 a scientific expedition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d including W.L. Jepson, L.E. Hunt, A.A Lawson, and W.A. Setchell as participants also visited Alaska and made collections of alage from various locations.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 -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 (Developing Strategies for a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y at a Regional Level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노지현;조용완;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95
    • /
    • 2013
  • 현행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수장공간의 부족 문제를 '공동보존서고'의 설치를 통해 해결하도록 유인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법에 따라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였거나 지정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빠른 시일내에 공동보존서고의 건립과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수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동보존서고가 갖는 의미를 세밀히 검토하고,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수장공간의 부족 정도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2)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부산시 공공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요구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사례를 참조해 가면서 부산시에 가장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