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hort

검색결과 1,616건 처리시간 0.034초

Genome-wide Survey of Copy Number Variants Associated with Blood Pressure and Body Mass Index in a Korean Population

  • Moon, Sang-Hoon;Kim, Young-Jin;Kim, Yun-Kyoung;Kim, Dong-Joon;Lee, Ji-Young;Go, Min-Jin;Shin, Young-Ah;Hong, Chang-Bum;Kim, Bong-J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9권4호
    • /
    • pp.152-160
    • /
    • 2011
  • Hypertension is the major factor of most death and high blood pressure (BP) can lead to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and cardiac failure. Moreover, hypertension is strong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Although the exact causes of hypertension are still unclear, some of genetic loci were discovered from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udy genetic variation for finding more genetic factor affecting hypertension.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nduct a CNV association study for hypertension-related traits, BP and BMI, in Korean individuals. We identified 2,206 CNV regions from 3,274 community-based Korean participants using the Affymetrix Genome-Wide Human SNP Array 6.0 platform and perform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CNVs with two hypertension-related traits, BP and BMI. Moreover, the 4,692 participants in an independent cohort were selected for respective replication analyses. GWAS of CNV identified two loci encompassing previously known hypertension-related genes: LPA (lipoprotein) on 6q26, and JAK2 (Janus kinase 2) on 9p24, with suggestive p-values (0.0334 for LPA and 0.0305 for JAK2 ). These two positive findings, however, were not evaluated in the replication stage. Our result confirmed the conclusion of CNV study from the WTCCC suggesting weak association with common diseases. This is the first study of CNV association study with BP and BMI in Korean population and it provides a state of CNV association study with common human diseases using SNP array.

발톱 크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요인과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분석 (Independent correlates of the toenail chromium level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romium level and dyslipidemia)

  • 강예지;이유진;손자경;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40-49
    • /
    • 2018
  • 본 연구는 SELEN 코호트 연구의 기반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남녀의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면류, 채소류, 과일류가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교란인자를 보정한 후 크롬 수준과 주요 이상지질혈증간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발톱 크롬 농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제시하게 된 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크롬 관련 영양 역학연구의 결과로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크롬의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 개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크롬 섭취 및 체내 크롬 농도와 이상지질혈증과의 명확한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인 크롬 식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코호트 연구와 임상시험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에서의 MACROD2 유전자 다형성과 고혈압 상관성 연구 (MACROD2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Korean Population)

  • 고보경;진현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7-63
    • /
    • 2019
  • 고혈압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선진국들의 경우에는 성인들의 30% 이상이 고혈압 상태인 매우 유병률이 높은 만성 질환이다. 고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들 중에서 MACROD2 유전자의 변이들이 백인 중심의 코호트 연구에서 혈압 및 고혈압 상태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생산 구축한 한국인 유전체 역학 자료를 바탕으로 MACROD2 유전자 영역의 유전 변이들을 선택 추출한 후에 고혈압 상태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대해서는 선형 회기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혈압 상태에서 16개 SNP들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이들 중 2개의 SNP (rs16996211, rs6034240)은 혈압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유의성이 높은 rs16996211은 고혈압의 상대적 위험도가 0.85 (CI: 0.76~0.95, $P=3.1{\times}10^{-3}$)이고, 수축기 혈압은 (beta=-0.75, P=0.024)의 이완기 혈압은(beta=-0.59, P=0.01)의 상관 분석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MACROD2 유전자의 다형성은 백인 중심의 서양인 뿐만 아니라 한국인에서도 고혈압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고혈압의 병리 기전에 대한 유전적 상호관계의 이해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 노인의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상관성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cognitive function in Korean older adults living in rural area)

  • 신예솜;최보율;김미경;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65-47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93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상태와 영양소 섭취량을 파악하고, 비타민 D와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성을 밝혔다. 미국 IOM의 비타민 D 진단 기준에 따라 대상자는 결핍군 26명 (6.6%), 부족군 175명 (44.5%), 충분군 192명 (48.9%)으로 분류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세 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충분군에서 남성과 음주자 비율, 실외직 비율, 키, 체중이 가장 높았다. 모든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MMSE-KC의 총 점수는 충분군일수록 높았으며, 부분별로 지남력, 기억 등록, 집중력, 구성능력에서 충분군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인지기능 저하 비율은 결핍군 53.8%, 부족군 38.3%, 충분군 31.9%로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다. 비타민 D 결핍군일수록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도가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피부의 합성능력이 저하되어 비타민 D가 결핍되기 쉬우므로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의 예방을 위해 육류, 생선, 버섯 및 유제품등의 비타민 D 급원 식품이나 보충제 섭취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는 비타민 D와 인지기능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코호트나 임상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 성인의 해조류 섭취와 다유전자 위험 점수 간의 상호작용이 염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aweed consumption and the polygenic risk score on inflammation in Korean adults)

  • 홍가연;신다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2호
    • /
    • pp.211-22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섭취와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 및 다유전자 위험 점수 간의 상호작용이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남성과 여성 모두 PRS가 높은 그룹에서 염증 발생 위험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섭취가 염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해조류 섭취와 다유전자 위험 점수 변이 사이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낮은 해조류의 섭취는 높은 다유전자 위험 점수를 가진 여성에서 고염증 발생 위험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에게서 작용하는 염증 및 염증질환에 대한 유전자 소인을 파악할 수 있고 면역 체계의 균형 및 건강 유지에 새로운 중재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Iliac Artery Endovascular Therapy in the Korean Vascular Intervention Society Endovascular Therapy in Lower Limb Artery Diseases (K-VIS ELLA) Registry

  • Ji Woong Roh;Sanghoon Shin;Young-Guk Ko;Nak-Hoon Son;Chul-Min Ahn;Pil-Ki Min;Jae-Hwan Lee;Chang-Hwan Yoon;Cheol Woong Yu;Seung Whan Lee;Sang-Rok Lee;Seung Hyuk Choi;In-Ho Chae;Donghoon Choi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7호
    • /
    • pp.529-540
    • /
    • 2022
  • Background and Objectives: Limited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iliac artery endovascular therapy (EVT) in real-world practice. This study investigated long-term outcomes according to Trans-Atlantic Inter-Society Consensus (TASC) classification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1,705 limbs of 1,364 patients from the retrospective cohort of the multicenter Korean Vascular Intervention Society Endovascular Therapy in Lower Limb Artery Disease registry. The primary endpoint was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TLR)-free survival. Results: TASC A, B, C, and D lesions were present in 19.4%, 26.2%, 28.7%, and 25.7% of the treated limbs, respectively. The technical success rate was 96.2% and did not differ between TASC lesion types. Complications occurred in 6.8% of cases and more occurred in TASC D (11.8%). Iliac artery EVT showed a 5-year TLR-free survival of 89.2%. The TASC D group had the lowest TLR-free rate of 79.3%. TASC D (hazard ratio [HR], 1.7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2-2.73; p=0.014), plain old balloon angioplasty (HR, 4.25; 95% CI, 2.03-8.88; p<0.001), current smoker (HR, 1.89; 95% CI, 1.26-2.83; p=0.002), previous bypass surgery (HR, 3.04; 95% CI, 1.28-7.19; p=0.011), combined femoropopliteal treatment (HR, 4.89; 95% CI, 3.19-7.50; p<0.001), combined below the knee treatment (HR, 2.20; 95% CI, 1.25-3.89; p=0.007), and complications (HR, 1.86; 95% CI, 1.07-3.24; p=0.028) were predictors for TLR. Conclusions: Iliac artery EVT achieved excellent technical success and 5-year TLR-free survival. TASC D showed a favorable but lower 5-year TLR-free survival rate and higher complication rate compared with other TASC groups.

아동 및 청소년 신체발육의 단기적 시대변화 (Secular change of physical growth in Korean children and youth between 1999 and 2005)

  • Kim, Myung;Kim, Hye-Kyeong;Matsuura, Yoshiyuki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9-85
    • /
    • 200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1999년과 2005년의 다른 코호트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 집단의 신체발육 특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아동과 청소년 신체발육의 단기적 시대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9년 서울시 고등학교에 재학한 16세 남학생 231명, 여학생 346명과 2005년 서울시 고등학교에 재학한 16세 남학생 171명과 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검사 기록을 통해 종단적 신체발육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6세에서 16세까지의 모든 학생들의 2005년도 신장, 체중, 좌고, 흉위가 1999년에 비하여 더 컸다. 따라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에도 발육과정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체중의 발육속도는 peak age이전이나 이후 모두 2005년이 컸으나, 신장은 peak age 이후에만 유의하게 컸다. 셋째, 2005년의 남학생들은 1999년에 비하여 신장은 평균 0.28년, 체중은 1.02년, 좌고는 0.39년, 흉위는 0.93년 앞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신장은 0.81년, 체중은 0.76, 좌고는 0.32, 흉위는 0.57년 2005년이 앞서있었다. 즉, 2005년의 남학생들은 1999년에 비해 0.28-1.02년, 여학생들은 0.32-0.81년 발육이 앞서 있었다. 넷째, peak velocity에서만 남학생, 여학생 모두 유의한 시대적 변화가 있었고, peak age에서는 시대적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째, BMI, 체중, 좌고, 흉위관련 지표에서 시대적 변화가 발견되었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는 체중, BMI, 흉위 관련지표에서, 여학생은 체중, 좌고에서 2005년과 1999년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24시간 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커피 섭취 비교: 도시기반 코호트 활용 (Comparison of 24-hour Recalls with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ssessing Coffee Consumption: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 김안나;윤지영;조현정;진 타이위에;신상아;이정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8-60
    • /
    • 2020
  • Objectives: Most cohort studies us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FFQ) to evaluate coffee consumption as it assesses habitual dietary patterns, whereas some studies have used the 24-hour recalls (24HR) as it elicits in-depth description of foods and the amount eat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FQs and 24HR to assess the consumption of various types of coffee. Methods: We included 25,904 participants aged 40 years or older from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ic Study (KoGES). Each participant completed one FFQ and one-day (n=11,280) or two-day 24HR (n=14,624). We classified coffee types into: black coffee, coffee with sugar and cream, and coffee with sugar alone or cream alone. We compared the proportions of nondrinkers, black coffee, and coffee with sugar and cream through FFQ and 24HR. Results: Among those who completed one FFQ and one-day 24HR, 39.4% of "nondrinkers" on one-day 24HR reported that they did not drink coffee on their FFQs. Whereas among those who complete two-day 24HR, 71.2% of "nondrinkers" on two-day 24HR said that they did not drink coffee on their FFQs. Among those who completed one FFQ and oneday 24HR, 58.3% marked "black coffee" on one-day 24HR said that they drank black coffee on their FFQs. Among those who complete two-day 24HR, 58.8% marked "black coffee" on two-day 24HR said that they drank black coffee on their FFQs. The kappa coefficients and percent agreements were 0.4 and 59.6%, respectively, for the comparison of coffee intake between FFQ and one-day 24HR, and 0.6 and 72.8%, respectively, for the comparison of coffee intake between FFQ and two-day 24HR. Conclusions: We found discrepancies between FFQs and 24HR in the types of coffee consumed. Such limita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the 24HR data to examine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disease development.

농촌 지역 주민의 혈청 Ferritin 수준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Serum Ferritin and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Some Korean Rural Residents)

  • 류소연;김기순;박종;강명근;한미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2호
    • /
    • pp.115-12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ferrit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MS). Methods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1,444 adults over age 40 and under age 70 that lived in a rural area and participated in a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Rural Genomic Cohort Study (KRGCS). The MS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at least three of the followings : elevated blood pressure,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elevated serum triglycerides, elevated plasma glucose, or abdominal obesity. After adjustment for age, alcohol intake, menopausal status, body mass index (BMI),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dds ratios (ORs) for the prevalence of the MS by sex were calculated for quartiles of serum ferritin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MS was more common in those persons , with the highest levels of serum ferritin, compared to persons with the lowest levels, in men (37.1% vs. 22.4%, p=0.006) and women (58.8% vs. 34.8, p<0.001). In both sexes, the greater the number of MS components presents, the greater the serum ferritin levels. After adjustment for age, alcohol intake, and menopausal status, the OR for metabolic syndrome, comparing the fourth quartile of ferritin with the first quartile, was 2.21 (95% confidence interval; CI=1.26-3.87; p-trend=0.024) in men and 2.10 (95% CI=1.40-3.17; p-trend=0.001) in women. However,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BMI, hs-CRP, and ALT, the ORs were statistically attenuated in both sexes. Conclusions : Moderately elevated serum ferritin levels were not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e MS after adjusting for other risk facto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obtain evidenc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ferritin levels and the MS.

일부 지역 주민에서 고혈압이환과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Indices with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Korean Adult)

  • 손락성;윤태영;최중명;박순영;유동준;최봉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4호
    • /
    • pp.443-451
    • /
    • 1999
  •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prevalence and the four commones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r obesity(body mass index(BMI), wasit-hip ratio(WHR), waist circumference(WC) and body fat in Korean adults. Methods: We studied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of the anthropometric indices and blood pressure in 1,197 individuals(who were participants in th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Hypertension was defined as blood pressure $\geq160/95\;mmHg$ or current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nformations on life-style factors were obtained from personal interview. Results: There were close associations between BMI, WHR and WC with blood pressure in both men and women. After age adjustment, BMI and WC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levels in both men and women. Odds ratio(ORs) of being hypertensive were estimated comparing the highest to the lowest quantile, adjusting for age, smoking status, alcohol intake levels, education attainment. The simultaneously adjusted ORs of being hypertensive, comparing the highest vs the lowest categories, was for BMI 2.0(95% confidence interval(CI)=0.9-3.2) in men and 3.2 (95% CI=1.7-6.1) in women, for WC 2.1(95% CI=1.0-4.4) in men and 3.1 (95% CI=1.6-5.9) in women, for fat(%) 4.2(95% CI=1.9-9.5) in men and 2.1(95% CI=1.2-3.6) in women. Conclusion: In addition to measures of overall obesity(BMI) as well as central obesity(WHR, WC), body fa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obesity indices, body fat was the most predictor variable in hypertensive state in male and BMI was in fem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