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medicine

검색결과 5,856건 처리시간 0.031초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MG-63 조골세포 증식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Antioxidant and Cell Proliferation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 Extract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 임소영;임재윤;이충수;장여정;박정우;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94-7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부위, 추출 용매, 산 가수분해 전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FRAP assay를 실시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물 처리가 조골세포 증식률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시오가피의 골다공증 예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과 FRAP법으로 측정된 항산화 활성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은 함유된 폴리페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산 처리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오가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조골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가피의 물 추출물은 조골세포에서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는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전처리 과정에 따라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결과는 가시오가피의 가공법을 선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과 조골세포 증식 효과가 제시되었다. 한국산 가시오가피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물 실험과 인체 시험을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에 의한 황백으로부터 Berberine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Berberine in Cortex Phellodendri by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 김중배;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32-537
    • /
    • 2014
  • 황백(Cortex Phellodendri: CP)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의 건조된 수피로부터 얻어진다. 이 수피는 한국의 전통 한약제로서 설사, 황달, 무릎과 발의 통증, 요도관 및 피부 감염증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이들 기능성 성분의 분리 및 정제는 박층 크로마토크래피, 컬럼 액체 크로마토크래피 및 HPLC와 같은 여러 분석법들이 동양의 약초연구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CP로부터 berberine을 분리하기 위해 향류분배 크로마토크래피법(CPC)으로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두 용매의 CPC 최적조성은 n-butanol: acetic acid: water(4:1:5 v/v/v)이었다. 이동상의 유속은 1,000 rpm 회전력에서 상승법으로 분당 3 mL 속도로 전개시켰다. CPC에서 분리된 분획분은 prep-HPLC로 정제하였다. $^1H$-NMR 스펙트럼은 4.10과 4.20 ppm에서 $3H(-OCH_3)$, 6.10 ppm에서 2H의 ($-OCH_2O-$) proton signal의 공명이 관찰되었다. 2개의 방향족 proton은 이중결합 패턴을 보였다. H-11과 H-12 doublet은 각각 7.98과 8.11에서 나타났다. $^{13}C$-NMR 스펙트럼에서는 C2와 C3의 methylenedioxy group($-OCH_2O-$), C9과 C10에 methoxy group($-OCH_3$)이 4개의 치환된 형태로 보였다. 분리 정제된 berberine의 화학구조는 $^1H$, $^{13}C$-NMR, ESI-MS 데이터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물이끼 추출물의 식물화학적 성분 및 항암활성 연구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cancer Activity of Sphagnum palustre Extract)

  • 남정환;정진철;윤영호;홍수영;김수정;진용익;이예진;유동림;이경태;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0-4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척리 즉 물이끼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물이끼의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한 항암활성과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를 수행 하였다. 3종의 암세포주(A549, HeLa, SK-OV-3)에 대하여 세포독성연구를 수행해 본 결과 폐암세포주인 A549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난치성 질환인 암을 치료하려는 목적 의약품 보다는 Chemopreventive agent로서의 예방 의학적 기능성 소재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사료 되어지기에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를 실시하여 7종의 화합물(Comp.1 : Coumarin, Comp.2 : Caffeic acid, Comp.3 : Quercetin, Comp.4 : Astragalin, Comp.5 : Luteolin, Comp.6 : Chlorogenic acid, Comp.7 : Rutin) 를 분리하여 구조동정 하였다.

지모의 유효성분 분리 및 HPLC 정량 분석 (Isolation and HPLC Analysis of Timosaponin A III from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_{UNGE}$)

  • 김금숙;박창기;성재덕;김현태;한상익;곽용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0
    • /
    • 1999
  • 지모의 고품질 품종 육성 및 재배법 개선과 유통중인 생약으로서의 안전성을 위한 품질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지모의 지표성분의 HPLC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모의 유효성분을 분리하고 지표성분화 한 후 HPLC 분석 정량법을 검토하므로써 지모의 품질 분석법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모를 MeOH로 대량 추출하여 계통 추출법으로 용매분배 후 조사포닌 분획인 n-BuOH ext.를 얻었으며 이 n-BuOH ext. 을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 1를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화합물 1의 $^1H$, $^{13}C$ NMR spectra 등을 검토한 결과 화합물 1은 지모의 주요 약효성분인 timosaponin A III로 확인되었다. Timosaponin A III은 지모의 주요 성분이자 혈당 강하작용과 항암활성 등의 주요 약효를 보이는 성분으로 지모의 품질 평가 기준으로서 지모의 지표성분으로 하기에 적합하였다. Timosaponin A III의 HPLC 분석법 확립을 위해 ELSD 검출기 가 사용되었으며 ODS계 컬럼을 사용하고 60% acetonitrile를 이동상으로 하여 0.9ml/min의 유속으로 분석을 한 것이 가장 적절한 timosaponin AIII의 HPLC 분석 조건이었다. Timosaponin AIII의 HPLC 분석을 위한 지모 시료의 추출조건 검토에서는 1g 분말시료를 80% MeOH를 추출용매로 할 때 $80^{\circ}C$에서 총 2회 환류 추출하는 것이 성분의 총 회수율을 가장 높이는 추출조건이었다.

  • PDF

당귀.지황.홍삼 첨가에 따른 발효 청국장의 기능성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 최은지;이정숙;장흥배;이미숙;장해동;권영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7-474
    • /
    • 2010
  • 일반 청국장과 한약재를 첨가한 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기호도 및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색도분석 결과, 5가지 청국장 모두 브라운 계열이었으며, a값 (redness), b값(yellowness)은 5가지 청국장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구수한 맛을 나타내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CKJ보다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단맛을 나타내는 alanine, glycine, lysine 또한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3~4.5배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 반면, 한약재의 고유한 향에 의해서 쓴맛을 나타내는 leucine은 CKJ에 비해 CKJ-DD, CKJ-RED이 2배의 함량을 더 나타냈다. 한편 혈당강하 조절기전과 관련된 항당뇨 활성 결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상승억제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CKJ과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 CKJRED) 간의 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5종의 청국장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피놀릭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총 피놀릭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Pe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mu}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CKJ과 비교하여 CKJ-DD은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나 CKJ-RG는 1.5배, CKJ-DD+RG은 3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다양한 한방청국장 제품의 표준화 및 제품화를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보중익기탕 추출물의 대식세포 분화 유도 효과 (Stimulation of Macrophage Differentiation by Bu-Zhong-Yi-Qi- Tang Extract)

  • 강혜인;신성해;조영숙;조성기;변명우;이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0-335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생쥐에서 분리한 골수 세포의 분화에 보중익기탕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GM-CSF와 IL-3는 대식세포의 형성을 자극하는데 관여한다.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GM-CSF와 IL-3로 분화하는 colony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nti-CD11b 항체로 염색한 결과 분화한 세포는 대식 세포의 특이적 세포표면 단백질 인 CD11b(Mac-1)를 발현하고 있었다. 또한 보중익기탕 추출물은 대식세포가 생산하는 IL-6와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분비량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오래 전부터 전통 처방제로 사용되어온 보중익기탕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뽕잎차와 뽕잎발효차의 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mponents between Mulberry Leaf Tea an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 예은주;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1-427
    • /
    • 2010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일부 성분을 분석하였다. 두 시료간의 일반성분 중에서 지방 함량이 뽕잎발효차가 더 높았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뽕잎차가 더 높았다.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뽕잎발효차가 뽕잎차에 비해 전체 유리당 함량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뽕잎차에서는 malt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뽕잎발효차의 경우 maltose가 분석되지 않았고 lactose가 소량 분석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뽕잎차가 뽕잎발효차보다 높았으며 뽕잎차에서는 glutamic acid, 뽕잎발효차에서는 cyst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 유도체에서는 $\gamma$-aminobutyric acid(GABA)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각 시료 간 함량은 비슷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에서는 뽕잎발효차가 뽕잎차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용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가치가 있는 뽕잎에 생균제를 이용하여 개발한 뽕잎발효차를 뽕잎차와 비교하였을 때 뽕잎발효차에서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유용성분 및 특이성분의 함량은 충분히 유지되고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한 용매별 치자(Gardeniae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e Fructus Extracts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as Affected by Solvents)

  • 정현진;김선아;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2-287
    • /
    • 2008
  •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한 치자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치자를 물, 50% 및 10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하였고,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세 종류의 추출용매 중 50% 에탄올 추출구의 생리활성이 다른 추출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구의 활성은 낮은 편이었다. 전자공여능은 0.6 mg/mL 농도일 때 5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96.43{\pm}0.25%$로 0.1, 1%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이 있었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71.99{\pm}3.71%$로 0.1, 1% L-ascorbic acid에는 못 미쳤지만 0.01% L-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이 있었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11{\sim}19%$로 모든 추출물에서 2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보였고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는 농도에 반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SOD 유사활성도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과 유사한 결과로 모든 추출구가 농도 증가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으로 40% 미만의 활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치자 추출물은 SOD 유사활성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는 높지 않지만 우수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상황버섯(Phellinus baumii)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β-glucan 함량 (Antioxidant capacities and β-glucan content of ethanol extract from Phellinus baumii)

  • 배현경;황인욱;홍희도;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21-726
    • /
    • 2015
  • 상황버섯을 $90^{\circ}C$에서 환류추출 시 시간과 추출용매의 조건(물 및 에탄올 농도, pH)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여 ${\beta}$-glucan 함량과 항산화활성 및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율과 ${\beta}$-glucan 함량이 증가하여 24시간 추출 조건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상황버섯 추출물의 수율은 60% 에탄올, pH 4의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산성과 중성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60% 에탄올, pH 7 조건에서 추출한 것이 가장 높았다. 항산화성분의 함량 또한 항산화활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율, ${\beta}$-glucan 함량, 항산화활성 및 성분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60% 에탄올, pH 7 추출 조건이 적합하였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H2O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MC3T3-E1 조골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Func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Jee)

  • 윤지혜;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2-88
    • /
    • 2012
  •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MC3T3-E1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 ROS 생성 및 염증 매개성 cytokine인 TNF-${\alpha}$ 생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30-100 ${\mu}g/mL$ 농도 범위에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감국 에탄올 추출물 200 ${\mu}g/mL$ 농도에서 ALP 활성이 약 1.5배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collagen 합성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ineralization 측정에서는 2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intracellular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본 결과, 30 ${\mu}g/mL$ 농도에서 antioxidant인 trolox 20 ${\mu}M$과 유사한 ROS 생성수준을 나타내어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조골세포의 collagen 및 ALP의 합성을 억제하고 파골세포로의 분화 증강과 골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TNF-${\alpha}$ 생성정도를 측정한 결과, 감국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2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89% 수준을 나타내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세포 내 ROS 생성과 염증매개 cytokine인 TNF-${\alpha}$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조골세포 손상과 활성 감소를 억제하고,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물성 에스트로젠(phytoestrogen) 및 항산화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