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ODA Polic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Policy Suggestions for Fostering Teacher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An ODA Project Case in Peru

  • SO, Hyo-Jeong;SEO, Jongw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1권2호
    • /
    • pp.217-247
    • /
    • 2020
  • Many developing countries consider ICT as a key enabler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systems and teachers are viewed as change agents. This paper aims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foster teachers'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e outcomes of an ODA project case in Peru.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stages: Literature survey, site visit, and policy suggestions. To draw relevant policy suggestions, we employed the framework of the 'macro-meso-micro'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discussed: (a) macro level: to develop the national framework of teacher ICT 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b) meso-level: to promote teacher communities of practices and school-based research programs, and (c) micro-level: to redesig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help teachers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beyond learning about basic ICT literacy skill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how ODA projects can approach the issue of teacher ICT capacity building at multiple levels.

전자정부 ODA사업을 통해 본 성과공유의 정책적 함의 - 나이지리아 전자정부 마스터 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Policy Implications of Performance Sharing through E-Government ODA Project - Focusing on the Nigerian e-government master plan project -)

  • 김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17
    • /
    • 2020
  • 한국은 개발원조 수여국가에서 공여국가로 전환되면서 ODA사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CIS국가 및 중남미 등 전역에 걸쳐 활발한 과업을 수행 중이다. 특히 한국의 전자정부는 수원국가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어 한국형 모델을 통한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다. 전자정부 ODA 사업은 전자정부의 타당성 검토, 사업의 결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다각적인 추진이 이루어졌다. ODA 후속사업과의 연계 차원에서 성과관리 제고 및 성과 극대화를 위한 방향성의 모색이 개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 ODA 사업을 중심으로 실질적 성과관리와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특히 나이지라아 전자정부 ODA사업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ODA사업의 일환이었던 전자정부 마스터 플랜 수립시 적용한 한국의 전자정부 연계 과정, 추진절차 및 전략을 중심으로 쟁점을 모색하고 새로운 환경변화에 맞는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ODA사업의 지속성 차원에서 지능정보 신기술을 반영한 한국형 전자정부 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

금융시장발전과 공적개발원조의 효과성: 양자간·다자간 원조를 중심으로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ODA)

  • 안현미;박단비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호
    • /
    • pp.69-76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ff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recipient countries' economy. ODA is designed to mitigate poverty and stimulate economic growth in the developing countries. We classify total ODA into bilateral ODA and multilateral ODA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nor countries. If the ODA flows from one donor country to one recipient country, it is classified as bilateral ODA. If the multiple countries simultaneously become donor countries through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ited Nations and World Bank, it is classified as multilateral ODA.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 of bilateral ODA and multilateral ODA in determining recipient countries' economic development, and trie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Korean OD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primary explanatory variables are bilateral and multilateral ODA. Private credit in recipient countries is adopted as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to capture the level of financial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We measure the ODA effectiveness using econom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recipient countr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We collect 142 recipient countries' data from OECD statistics, during the period from 1970-2014. Panel least squares estimation with country fixed effect is employed as the empirical model. Results - Our results support that ODA variable has a negatively significant impact on recipient countries' economic growth, while 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an development index. Recipient countries' private cred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onomic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index. The interaction variable of ODA and financial development turns out to be significant in general. We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ODA depends on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this effect is stronger in multilateral aid than bilateral one. Conclusions - From the analysis, we have confirmed that the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development is the necessity condition to achieve positive effect of OD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share of multilateral funding and pay attention to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ODA.

신흥 중견국가의 공적개발원조: 한국의 경제 시설 및 생산 분야 중점지원 전략 (New Middle Powers' ODA: Korean Aid Strategy for Economic Infrastructure and Production Sector Building)

  • 장지향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421-440
    • /
    • 2010
  • 이 글은 탈냉전 시기 강대국과 구별되는 중견국가의 공적개발원조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한국의 원조전략을 연구한다. 성공적인 공적개발원조는 공여국의 위상을 높이고 수원국의 발전을 돕는다는 점에서 중견국가의 원조정책은 강대국보다 효과적이다. 중견국가는 외교력과 다자주의적 접근을 통해 국제문제를 해결하며 빈곤 퇴치와 인권 증진의 목표 하에 공적개발원조의 규모, 대상, 방식, 부문, 체계를 결정한다. 따라서 중견국가는 강대국보다 많은 양의 GNI 대비 원조를 제공하고 자국의 안보 전략적, 경제적 이익과 무관한 최빈국을 우선 원조 대상국으로 삼고 있다. 또한 원조의 조달처나 용도를 제한하지 않는 양자 간 비구속성 무상원조 방식을 많이 택하고 있고 식량 원조, 재난 구호, 환경 보호 부문에 원조를 집중하고 있다. 반면 자국의 이익에 따라 공적개발원조 정책을 결정하는 강대국의 원조는 수원국의 필요와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편 신흥 중견국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정책은 첫째, 공여국의 위상 면에서 중견국가의 규범과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강대국 답습 혹은 편승 전략을 보여주었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 한정한 소액 분산 지원은 일본 대외원조의 경제적 이해와 직접적으로 충돌했고 국가 주도형 발전모델의 전수 전략 역시 미국 대외원조의 핵심인 즉각적인 민주화 프로그램과 충돌하면서 효과적이지 못했다. 둘째, 수원국의 발전 면에서 한국의 부문 별 원조정책은 경쟁력과 실효성을 보여주었다. 탈냉전 시기 강대국의 관심이 경제 기반시설과 생산 분야 원조에서 멀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비교우위 분야인 정보통신과 산업 에너지에 대한 기술 지원 및 협력을 통해 수원국의 기반시설 구축에 도움을 주었다. 특히 중견국가의 전통적 원조부문인 인도적 지원이 아닌 분야에 원조를 집중한 것은 제한된 규모를 바탕으로 중견국가군 사이에서 틈새를 공략한 성공적인 사례이다.

과학기술 ODA 사업에서의 현지 R&D센터 활용에 관한 연구 :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마이크로네시아 '흑진주 생산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iveness of Utilizing Local R&D Cent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ODA Projects : Focusing on the Black Pearl Cultivation Project of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nd Micronesia)

  • 장덕희;강길모;권문상;박흥식;김태영;임형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83-3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rough case studies, the usefulness of utilizing local R&D centers under science and technology ODA programs. For the past few decades, advanced countries have supported ODA projects of developing countries, but there have been negative opinions regarding the result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black pearl cultivation project between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nd Micronesia, this study explains the usefulness of actively utilizing Korean R&D centers established and operational in recipient countries. Although black pearl cultivation is not an ODA project, the case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as it is operated in a similar form and thus highly applicable to future projects. Based on the case study, four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projects in the future. First, there is a need to improve relevance by making use of the technological capacities of local R&D institutes to develop projects that reflect the needs of recipient and donor countries. Second, trust must be established with local communities over the long ter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roject operations. Third, the propor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projects must be expanded to acquire sustainability, and more support should be granted to ODA projects involving marine resources, which are an advantage for countries of Micronesia. Lastly, the locals should be offered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regular training programs to allow for the actual transfer of knowledge instead of mere techniques. The implications derived in this study will prove useful in pursuing science and technology ODA projects, especially with Micronesia.

ODA가 공여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의 기술협력 ODA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ODA impact that Donor's Exports - Focus on Korean Technology Cooperation ODA)

  • 변세준;최재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2호
    • /
    • pp.99-122
    • /
    • 2019
  • 공적개발원조는(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는 개발도상국에 인도주의적 원조를 지원하는 수단인 동시에 ODA 공여국의 국익을 추구하는 수단이다. 특히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를 갖고 있는 한국의 경제적 특성과 더불어 신(新)남방정책 등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국가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최근 추세를 감안하면 ODA 원조가 수출에 미치는 정책적 효과 검증은 더욱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ODA 가운데에서도 교육훈련, 전문가 파견, 기술자문 등을 통해 기술과 지식, 기술 노하우를 전달하는'기술협력 ODA'에 주목하여 기술협력 ODA가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이 ODA를 지원하는 178개 대상국의 GDP, 거리, 외국인직접투자(FDI) 실적, FTA 체결 여부 등 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 등을 연계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의 패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후 국제무역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는 중력모형을 근간으로 기술협력 ODA가 공여국의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패널 고정효과(Panel Fixed effect), 패널 확률효과(Panel Random effect), 도구변수를 활용한 패널 고정효과분석(FEIV), 하우스만 테일러 (Hausman-Taylor) 등 다양한 패널분석모형들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ODA 수혜국의 과학-기술 보고서 발간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 지식 인프라가 풍부할수록 기술협력 ODA가 활발하며, 한국의 기술협력 ODA는 한국의 수출, 특히 제조단계에서 중간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우즈베키스탄, 필리핀, 모로코의 기술협력 ODA의 사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타지키스탄 대상 산림 부문 공적개발원조 (ODA) 사업의 추진 전략과 방안 (Strategies and Plan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Tajikistan in the Forest Sector)

  • 안지애;장한나;김주섭;한승현;손요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3-271
    • /
    • 2018
  • Considering the high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and the regional biases of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olicy, increases in the total amount of ODA and allocation to the forest sector are needed for Central Asia. In Tajikistan, illegal harvesting and grazing cause a gradual decrease in forest area. The Tajikistan government conserves forests by reques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stablishing a policy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nd prevention of further damages. To suggest suitable strategies and plans, the current statuses of forests and forestry were investigated, and ODA projects that can illustrate successful Korean experiences of forestation were conceived based on various geographical features and local conditions of Tajikistan in this study. Forest resource creation type projects (fuelwood and Tugai forest restoration) could result in energy independence and enhancement of ecosystem service such as a climate regulation and an increase in biodiversity. Community development type projects (introduction of ecotourism, agroforestry, and planting of fruit trees) can contribute to job cre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us improving their incomes. In addition, establishment of a project foundation, including education, training, and a national forest inventory, would help those projects be sustainable in the long-term.

해외건설 수주경쟁력 향상을 위한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활용방안 (Strategy for Expansion of Overseas Construction Competitive Power by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 최진욱;김재준;이한승;전낙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173-181
    • /
    • 2007
  • 정부의 지속적인 규제 정책으로 인해 국내 건설시장은 위축되어 있는 반면 해외 건설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WTO(World Trade Organization)체제 출범 이후 국제적인 개방화가 가속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해외건설도 과거의 단순 입찰방식을 지양하고 해외건설 수주경쟁력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해외건설 분야에서 사업초기에서부터 발주처에게 프로젝트의 재원확보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수주경쟁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연구의 주제로 삼았으며 재원확보 방안으로 양허성(원조성격)을 지닌 공적개발원조(ODA)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 및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를 분석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해외건설 및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황 및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해외건설 수주경쟁력 확대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ODA 프로젝트를 통한 식량안보 개선 효과 분석 -네팔 떠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ODA Projects on Food Security -Focusing on Terai Region, Nepal-)

  • 배준철;김태은;지성태
    • 농촌계획
    • /
    • 제30권3호
    • /
    • pp.37-5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ODA project in southern Nepal's Terai region to improve food security, and to suggest appropriate project approaches to improve food security. The subject of the analysis is the KOICA-funded 'Inclusive Rural Development project', and a framework for analyzing food secur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FAO's four pillars of food security, and indicators were proposed to measure the food security of project farme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a survey of project beneficiary farmers and their 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of the project on food security were measured using a a t-test analysis,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propensity score matching-linear regression combined model (PSM-OLS) and a propensity score matching-difference-in-difference combined model(PSM-DID). The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ODA project treatment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ach of the four pillars of food security (food availability, access, utilization, and stability). In addition, cooperative memb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food security improvements,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outcomes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in the Terai reg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Korean government's ODA policy should set aside the food security sector and incorporate food security indicator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ood security in ODA partner countries, and that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ODA projects should include food security indicators as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ir pre-planning to contribute to securing food security for vulnerable groups as food insecurity is higher among vulnerabl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