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ve Duck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Comparison of Meat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Native Duck and Imported Commercial Duck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

  • Muhlisin, Muhlisin;Kim, Dong Soo;Song, Yeong Rae;Kim, Hong Rae;Kwon, Hyung Joo;An, Byoung Ki;Kang, Chang Won;Kim, Hak Kyu;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9-95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t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 and imported commercial duck. The Korean native ducks and imported commercial ducks (broiler duck: Grimaud) were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s for 8 wk and 6 wk,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rearing period, ten ducks from each group were slaughtered, and breast and leg meat were obtained 24 h after slaughtering for analyses of mea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reas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lower moisture and fat, and higher protein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an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ducks (p<0.05). The breast of Korean native ducks also had higher CIE $a^*$ and lower CIE $L^*$ (p<0.05). After cooking, the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ducks had higher shear-force, sensory attributes of texture, taste and overall likeness (p<0.05). Also, the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a higher percentage of palmitic acid ($C_{16:0}$) and arachidonic acid ($C_{20:4}$) (p<0.05) than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ducks. Furthermore, the leg mea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higher percentages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and lower percentage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meat from Korean native ducks, especially breast meat, had better quality parameters and contained higher amou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토종오리의 교배 조합이 오리고기의 부분육 생산수율, 육질 및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ssbred Korean Native Ducks on the Retail Cut Yield, Meat Qual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Duck Meats)

  • 김학규;홍의철;강보석;박미나;채현석;방한태;서보영;추효준;나승환;서옥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3-431
    • /
    • 2010
  • 본 시험은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부분육 비율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처리구의 오리 360수를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A, B, C 8주령, D 6주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 처리구에서 암수 각각 9수씩 선별하였다. 교배 조합 방법은 토종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토종오리(female)$\times$육용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육용오리(male)의 4처리구를 각각 A, B, C, D로 하였다. 선별된 개체들은 도압(屠鴨)하여 부분육 비율을 측정하고,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날개와 목 부위의 비율은 D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P<0.05), 가슴 부위는 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다리 부위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며, 부분육을 제외한 부위는 A, B, D 처리구에서 C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오리고기의 pH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지방, 단백질 함량은 B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콜라겐 함량은 D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오리고기의 육색과 물리학적 성상(전단력, 가열 감량, 보수력)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P>0.05). 오리고기의 관능검사는 다즙성에서 D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B와 D 처리구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은 이화학적 성상이나 관능검사의 개선 효과가 뚜렷하지 않지만 가슴육 수율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 및 도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ssbreeding of Korean Native Duck and Broiler Ducks on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 김학규;홍의철;강보석;박미나;서보영;추효준;나승환;방한태;서옥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9-235
    • /
    • 2010
  • 본 시험은 토종오리와 육용오리를 교배 조합하여 토종오리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 동물은 청둥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한 4계통의 오리들을 암수 각각 120수씩 선별하여 총 240수를 이용하였다. 교배 방법은 토종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토종오리(female)${\times}$육용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 육용오리(male)4계통을 각각 A, B, C, D로 하고, 암수를 분리하여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30수씩 선별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용오리 사료를 0~3주령(CP 22.0%, ME 2,900 kcal/kg)과 3~8주령(CP 18.0%, ME 3,000 kcal/kg)으로 나누어 8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은 8주령에 암컷에 비해 수컷이 높게 나타났으며(P<0.05), 3주령과 8주령 모두 B, C계통 체중이 A계통 보다 높고 D계통보다는 낮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은 3~8주령과 0~8주령 동안에는 암컷에 비해 수컷에서 높았으며(P<0.05), 3~8주령 동안의 계통 간 증체량은 D>C>B>A순서로 높았다(P<0.05). 사료 섭취량의 경우, 증체량과 마찬가지로 암수간의 비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A계통에 비해 B계통과 C계통이 높았고, D계통이 다른 계통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3~8주령에 수컷이 높았으며(P<0.05). 계통간 사료 요구율은 3~8주령과 0~8주령에는 A계통과 B, C계통, B계통과 D계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4계통의 생체중과 도체중에 따른 도체 수율은 4계통이 각각 70.1%, 70.8%, 73.1% 및 71.2%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은 토종오리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Ducks and Commercial Meat-type Ducks Raised under Same Feeding and Rearing Conditions

  • Kwon, H.J.;Choo, Y.K.;Choi, Y.I.;Kim, E.J.;Kim, H.K.;Heo, K.N.;Choi, H.C.;Lee, S.K.;Kim, C.J.;Kim, B.G.;Kang, C.W.;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38-164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in two different genotype ducks raised under identical feeding and rearing conditions. A total of ninety 1-d-old Korean native ducks (KND, n = 45) and commercial meat-type ducks (Grimaud, n = 45) were fed same experimental diets during 56 d and 42 d, respectively to obtain similar slaughter weights. The experimental diet for starter period contained 20% crude protein (CP) and 2,900 kcal nitrogen 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n)/kg of diet and that for grower period contained 17% CP and 3,050 TMEn/kg of diet.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of KND were inferior to those of commercial meat-type ducks (p<0.05). Carcass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enetically different ducks, but carcass yield of KND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mmercial meat-type duc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king loss and pH of breast meat between two genetically different ducks, but water holding capacity of K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meat-type ducks. The linoleic acid and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 of breast meat from KN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rresponding part from commercial meat-type duc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water holding capacity an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ND, whereas growth performance tended to be superior in commercial ducks. At the market weight, the meat from KND was judged to have better qualities with regard to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and greater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are with meat from commercial meat-type duck.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Quality Traits of Breast Meat from Korean Native Ducks and Commercial Ducks

  • Lee, Hyun Jung;Jayasena, Dinesh D.;Kim, Sun Hyo;Kim, Hyun Joo;Heo, Kang Nyung;Song, Ji Eun;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4-120
    • /
    • 2015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bioactive compound content and quality traits of breast meat from male and female Korean native ducks (KND) and commercial ducks (CD, Cherry Valley). Meat from three 6-wk old birds of each sex from KND and CD were evaluated for carcass and breast weights, pH, color,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bioactive compound (creatine, carnosine, anserine, betaine, and L-carnitine) content. K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rcass weights than CD whereas no such difference (p>0.05) was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ducks. The breed and sex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breast weight, pH value, and shear force. However, KND had significantly lower cooking loss values than did CD. Creatine, anserine, and L-carnit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ND than in CD and were predominant in female ducks compared to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rare information regarding the amounts and the determinants of several bioactive compounds in duck meat, which can be useful for selection and breeding programs, and for popularizing indigenous duck meat.

mtDNA D-loop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토종오리의 계통 분류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tDNA D-loop Sequences in Korean Native Ducks)

  • 최누리;서동원;진선덕;술타나;허강녕;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35-240
    • /
    • 2014
  • 최근 국내 오리고기 산업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대부분의 오리 종자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토종오리 상용화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에 토종오리 품종 및 개체 식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토종오리와 백색실용오리가 다른 야생오리 품종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의 D-loop control 영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토종오리와 백색실용오리는 대부분의 야생오리 품종과는 구분이 잘 되지만, 청둥오리와는 분류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토종오리와 백색실용오리 품종간의 분류 또한 이들 집단이 다수의 변이와 haplotype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11개의 염기 변이가 확인되었으며, 이 변이들은 8개 haplotype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토종오리에서만 확인된 haplotype 2를 제외한 3개의 haplotype(haplotype number 1, 3, 4)에서 토종오리와 백색실용오리가 동일한 haplotype을 가진 반면, haplotype 5, 6, 7, 8은 백색실용오리에서만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D-loop control 영역은 토종오리와 야생오리의 품종 구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종오리 순종 2계통의 육성기 생산성 조사 (Growing performance of two pure-line Korean native ducks at growing phase)

  • 김학규;홍의철;강보석;허강녕;추효준;황보종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659-665
    • /
    • 2011
  • This wor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atching and grow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Ducks (KND) Pure Breeding Line (PL). A total of 400 male and female pullets were produced from PL to keep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Pullets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5 repetitions per treatment, and 20 heads per repetition. Four treatments were compared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2 groups (White strains, WW; Jade Green strains, CC) for their parents and 2 groups (male and female). Liv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20 weeks among male and female of 2 strai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body weight and feed intake between WW and CC strains (P>0.05), bu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body weight and feed intake between male and female (P<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of female was higher compared to mal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C and WW strains.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e the new strains of Korean Native Ducks.

토종 실용오리 생산을 위한 토종 종오리의 산란 능력 (Lay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Breeder Ducks for Producing Korean Native Commercial Ducks)

  • 홍의철;추효준;김상호;김종대;김학규;최희철;허강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9-75
    • /
    • 2014
  • 본 시험은 토종 실용오리를 생산하기 위한 토종 오리 A와 B 계통의 산란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계통의 토종 오리들은 계통 당 6반복, 반복당 14수씩 총 168수를 선별하여 산란기의 성적을 조사하였다. 사료는 산란오리 사료(CP 15%, ME 2,900 kcal/kg)를 20주령부터 80주령까지 급여하였다. 체중은 A와 B 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주령별 체중을 보면 40주령부터 48주령까지의 체중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24~32주령, 64~80주령에서는 체중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섭취량은 체중과 마찬가지로 A와 B 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주령별 사료 섭취량은 36~48주령, 68~72주령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52~56주령에 사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P<0.05). 계통별 평균 난중은 A와 B 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령별 평균 난중은 32~40주령에서 낮게 나타났다. 산란율은 24~28주령, 60~64주령 및 20~80주령에 B 계통에서 A 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주령별 산란율은 28주령에서 최고로 높아져 48주령까지 높은 산란율을 나타냈으며, 52주령부터 감소한 후 68주령에는 다시 산란율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P<0.05). 산란 수는 전반적으로 A 계통에 비해 B 계통이 높게 나타났으나, 산란율이 급상승하는 시기인 28주령부터 48주령까지는 A와 B 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주령별 산란 수는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사료 요구율은 A 계통이 B 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28~36주령에는 A와 B 계통의 사료 요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들은 토종 종오리의 산란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토종오리 순종 2계통의 사육형태에 따른 산란능력 (Laying performance of two pure-line Korean native ducks at different house types)

  • 김학규;홍의철;강보석;김종대;허강녕;추효준;황보종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53-60
    • /
    • 2012
  • This wor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ay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Ducks (KND) Pure-Line (PL). A total of 400 female pullets were hatched from PL to keep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Twenty weeks old PL female ducks were divided into 4 groups (5 replications/group, 20 head/replications). Four groups were compared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strain (White strains, WW; Celadon strains, CC) and house type (flat house, cage house). On first egg laying day, CC strain laid eggs earlier compared to WW strain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at and cage house. Egg weight (EW) and body weight (BW) at first egg laying day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and houses. BW of CC strain was higher than WW strain at the age of 30 week (P<0.01). Weekly feed intake (FI) have no difference between flat and cage house, but FI of WW strain was high compared to CC strain during 20~30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W between CC and WW strains, but EW was low at flat house compared to cage house (P<0.05). Weekly egg productions of WW strain and flat house were lower than CC strain and cage house, respectively (P<0.01). Finally,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hat needed to introducing new strains.

사료의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Ducks)

  • 권형주;추연경;오성택;김학규;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1-359
    • /
    • 2013
  • 본 실험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Lysine/TSAA)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45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으며,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360수를 6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조단백질 23 및 20%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31/1.09, 1.21/1.00 및 1.11/0.91와 1.11/0.91, 1.02/0.83 및 0.92/0.75였으며, 육성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및 17%, 아미노산(Lysine/TSAA)은 각각 1.00/0.79, 0.94/0.75 및 0.88/0.71와 0.88/0.71, 0.82/0.67 및 0.76/0.63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중과 일당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P<0.05), 아미노산(Lysine/TSAA)과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균일도는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성장성적, 도체율 및 상대적 중량 모두에서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전단력가 및 가열 감량에서도 조단백질, 아미노산(Lysine/TSAA) 및 조단백질 ${\times}$ 아미노산(Lysine/TSAA interaction)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토종오리는 육용종 오리와 달리 육성 후기의 경우 낮은 성장률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수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