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edicine college

검색결과 69,517건 처리시간 0.108초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Arthroscopic Evaluation of Allogenic Meniscal Transplantation)

  • 최정기;손일진;이춘택;김성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7-152
    • /
    • 2003
  • 목적 : 반월상연골 동종 이식술을 시행 후 2차 관절경적 소견 및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이식물의 관절 내 변화를 관찰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0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을 시행후 이차 관절경 검사를 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례에서 동결 보존(cryopreserved) 반월상 연골을, 3례에서 신선 동결(fresh-frozen)반월상 연골을 이식물로 사용하였다. 내측은 골편 고정술을, 외측은 골교 고정술을 사용하였다. 술후 평균13개월째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 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lysholm score, 자기 공명 영상 및 이차 관절경 검사소견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 이식된 반월상연골은 변연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었고 혈관 증식 역시 양호하였다. 그러나 1례에서 후각부에 경도의 마모를 보였으며, 타원에서 시술 후 내원하였던 1례에서 비해부학적 위치에의 이식으로 인한 전각부에 파열소견이 관찰되었다. Lysholm score는 술전 평균64점에서 술후 87점으로 향상 되었다. 결론 : 2차 관절경검사상 이식한 반월상연골이 변연부에 견고하게 고정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임상적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향후 관절염의 진행을 예방 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보다 장기간의 추시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 PDF

대구고니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로부터 항산화성 펩타이드의 분리${\cdot}$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Teiset Protein)

  • 김세권;최영일;박표잠;최정호;문성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8-204
    • /
    • 2000
  • 수산가공공장에서 원료어 처리시 대량으로 발생하는 비가식부의 하나인 대구의 고니부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시킨 후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으며, 이들 가수분해물 중 항산화활성이 뛰어난 펩타이드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로 분리${\cdot}$정제하여 그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였다.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시켜 얻은 가수분해물 중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Alcalase로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5{\%}$정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으로 분자량 10 kDa, 5 kDa 및 1 kDa의 세 종류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1 kDa의 막을 통과하여 분리된 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10{\%}$정도 높았다. 이 획분으로 Spsephadex C-25를 사용하여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한 결과, $0.5{\~}1.0 M$ NaCl 용액으로 용출시 킨 분획물에 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17{\%}$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을 다시 Sephadex G-15로 겔여과하여 3개의 획분을 얻었으며 이 중 획분 II에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45{\%}$가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획분을 얻었다. 이것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5차의 획분을 얻었으며, 항산화활성은 획분 A에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53{\%}$정도 높게 나타나 가장 우수하였다. 이 획분을 capillary electrophoresis로 순도를 확인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 결과 Ser-Asn-Pro-Glu-Trp-Ser-Trp-Asn였다.

  • PDF

"태소(太素) . 경맥병해(經脈病解)"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 in "Tai Su(太素)".)

  • 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1-169
    • /
    • 2007
  • The "Tai Su(太素)" which was published by Yang Shang Shan(楊上善) during the Tang(唐) dynasty does not follow complicating hand down procedures allowing it to be preserved in a relatively satisfactory state, and the book is evaluated as a major article in the study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in the modern age.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offer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disease symptoms foun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and Yang Shang Shan(楊上善) provided relatively complete expla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ne and wax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陰陽消長). The present writing was projected to ac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oks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and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and substantiall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of the "Tai Su(太素)" by adopting the perspectives of Yang Shang Shan(楊上善) in explaining the disease symptoms as he attempte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Total 50 disease symptoms were explained in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and 33 of them are common to the symptoms describe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by taking up about 66% of the book. The monthly attachment(月別配屬) of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三陰三陽), which is described in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provides an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exterior and interior(表裏) relationship, and the crucial perspective lies on the mutual intensity change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 Therefore, the monthly attachment of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provided by the present article help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along with the time attachment(時間配屬) described in the other chapter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In the method of explaining pathogenesis, the explanation was made by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mutual intensity change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 and exterior and interior relationship along with the channel Path(經脈流注) have been used simultaneously. In the comment of the main article, Yang Shang Shan(楊上善) stated the channels of hands and feet(手足經脈) as the scope of the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but the symptoms and signs are mainly focused on the channels of feet as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 PDF

울금 추출물의 5-Alpha Reductase II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urcuma longa L. Extracts on 5-Alpha Reductase II Activity)

  • 김종연;이정윤;윤호근;김용재;전우진;황권택;차민석;이유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18-32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울금(Curcuma longa L.)의 다양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5-alpha reductase의 활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5-Alpha reductase는 T에서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DHT로 전환을 담당하며, 전립선비대에서는 혈액에서 DHT 농도가 높다. Rat의 전립선조직 균질액과 5-alpha reductase를 과발현시킨 LNCaP 세포 균질액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100{\mu}g/mL$의 농도에서 울금의 열수추출물(CL-HW)과 20% 에탄올추출물(CL-E20)이 5-alpha reductase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CL-HW는 $100{\mu}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유의적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CL-E20은 $50{\mu}g/mL$의 농도부터 80% 이상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에서 CL-HW 및 CL-E20은 5-alpha reductase의 억제활성이 있으며, 이는 전립선비대 치료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Piceatannol에 의한 AGS 인체 위암세포의 G1 Arrest 및 Prostaglandin E2 생성의 억제 (Piceatannol-Induced G1 Arrest of the Cell Cycle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07-913
    • /
    • 2012
  • 포도, 대황, 사탕수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hydroxystilbene의 일종인 piceatannol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GS 인체위암세포를 대상으로 piceatannol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 과정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현상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Piceatannol이 처리된 AGS 위암세포는 piceatannol의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되었으며, 이는 세포주기 G1 arrest 유발과 연관이 있음을 MTT assay와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iceatannol에 의한 AGS 세포의 G1 arrest는 Cdks 및 cyclins의 발현 변화 및 Cdk 저해제인 p21의 발현을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증가시켰으며, pRB 단백질의 인산화 감소 및 E2F1의 발현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아울러 piceatannol은 COX-2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나 COX-1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iceatannol에 의한 COX-2의 발현억제는 PGE2의 생성 저하와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piceatannol에 의한 세포주기 G1 arrest 유발이 COX-2의 선택적 발현 차단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대장암(CT 26) 생쥐에서 녹차추출물 음용에 의한 시스플라틴 항암작용 증강효과 (Potentiating Dietary Green Tea Extracts Anti-Tumor Activity of Cisplatin in BALB/c Mice Bearing CT26 Colon Carcinoma)

  • 이병래;박평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00-1105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녹차추출물이 항암화학요법제의 항암작용 증강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광범위 항암화학요법제인 시스플라틴의 항암작용에 미치는 녹차추출물의 영향을 생쥐 대장암세포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생쥐대장암세포인 CT26 세포를 배양하여 녹차추출물이나 EGCG을 투여하면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독성이 증가되었는데,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EGCG와 녹차추출물의 효과 차이는 없었다. 생쥐에 CT26 세포를 주사하여 유발된 종양의 성장이 시스플라틴군보다 시스플라틴+녹차추출물 병합 투여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녹차추출물은 화학요법제인 시스플라틴과 병합 투여할 경우 화학요법제 단독 투여 시보다 대장암 세포의 활성도 감소가 더 크고, 생쥐대장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작용도 더 크기 때문에 녹차추출물을 화학요법제와 병행투여하면 항암치료 효과가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녹차추출물은 항암화학요법제에 의한 암치료에서 치료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보조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부교대(二部交代) 근무제도(勤務制度)에 대한 임상간호사(臨床看護師)의 요구도(要求度)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eed of Clinical Nurses about the System of 12-Hour Work Shift)

  • 강영선;문희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6-64
    • /
    • 1995
  • The 12-hour work shift can be influenced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effective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quality of patient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 by nurses. A total of 516 nurse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six general hospitals in Seou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on the need of the 12-hour work shift was designed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Duncan's method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The mean needs of 12-hour work shift in the nursing practice, psychological, physic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were 3.05, 2.72, 2.66, 3.08, and 4.22. 2.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by demographic data For the nursing practi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tatus(p=.021), satisfaction on the 8-hour work shift(p=.038),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1)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tatus(p=.016),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01),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physical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p=.002), marital status(p=.005), the number of children(p=.005), the duration of job career(p=.014), the job position(p=.002), the work shift(p=.030),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01)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socioeconomic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position(0=.002), the work shift(p=.006), the perception of the 12-hour work shift(p=.002)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For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s, there was a statisi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method(p=.05), the duration of the job career(p=.026),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309) and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3.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by the demographic dat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rital status(p=.014), the number of children(p=.038), the job position(p=.007), the work shift(p=.037), and the perception on the 12-hour work shift(p=.0001) for the need of 12-hour work shift.

  • PDF

교정치료 초기에 사용되는 4가지 호선의 초기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전향적 임상 실험 연구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four initial orthodontic archwires)

  • Quintao, Catia C. A.;Jones, Malcoim L.;Menezes, Luciane M.;Koo, Daniel;Elias, Carlos 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1-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 초기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스틸, 다가닥철선. 초탄성 NiTi, 열활동성 NiTi재료로 이루어진 총 4가지 호선의 초기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실험의 설계는 전향적 임상 실험(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으로서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 주립 치과대대학에 내원한 45명의 고정식 교정장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각 호선의 재료는 환자의 치열에 무작위로 배당되었는데 스테인레스스틸은 20명, 다가닥철선은 22명, 초탄성 NiTi는 22명, 열활동성 NiTi는 20명에게 할당되었고. 8주 후에 모형을 다시 제작한 후 3차원 디지털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모형의 치관에 설정된 해부학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치료전 및 치료후 치열불규칙지수(Dental Irregularity Index)의 차이로 초기 교정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산분석을 시행하여 불규칙지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호선의 재료에 따른 초기 치료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 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DENTITION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41
    • /
    • 1996
  • 소구치 발치 직후 일정기간 동안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의도적으로 연기함으로써 의외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입증하는 임상경험을 교정의들도 가끔 하게 된다. 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현상을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이를 생리적 치아이동(driftodontics)이라 명명하였다. Driftodontics의 개념이 교정학 영역에서 조심스럽게 소개되고 있는 이유는 driftodontics의 성질과 이동되는 양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며 이러한 치아이동을 이용하기 위한 지침서가 거의 소개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제 I급 부정교합자 중 이전에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상, 하악 치열궁에 crowding이 있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기로 한 57명 (남자 16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26명으로, 평균연령은 13.5세(12.7-14.9세)였으며 제2군은 31명의 환자로 평균연령 21.3(18-22.1)세였다. 두 군 모두에서 소구치 발치 후 약7개월 정도의 driftodontics기간을 유지한 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 및 석고모형 계측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군(18세-22세)에서는 주로 하악 전치 및 견치의 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하악구치는 상대적으로 이동이 미약한 정도로 나타났다. 2. 1군(12세-15세)에서는 전치부 변화 비율이 2군에 비해 더욱 많이 일어났으며, 구치변화는 2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조금 컸다. 3. 하악 전치부의 생리적 이동으로 불규칙지수(irregularity index)가 감소하고 crowding양이 감소하였다.

  • PDF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슬림모 칫솔과 V형 교정칫솔 간의 구강위생관리 효과 비교 (Comparison of slim bristled and V-shaped orthodontic toothbrushes in pati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 최진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83-392
    • /
    • 2009
  • 본 연구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V형 교정칫솔과 비교하여 슬림모 칫솔의 구강위생관리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고정식 교정장치를 장착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34명(평균연령 $21.9\;{\pm}\;7.5$세)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슬림모 칫솔(Nano silver slim $care.34^{TM}$, Aiio, Seoul, Korea)을 사용한 군과 V형 교정칫솔(Oral-B Laboratories Ltd., P&G Korea, Seoul, Korea)을 사용한 군으로 구분한 후 연구시작 시(Baseline), 2주 후, 4주 후 및 6주 후에 걸쳐서 하나의 칫솔을 교환하지 않고 변형 바스법으로 하루 2회 2분씩 닦도록 하여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및 치은출혈지수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주간의 실험기간에 걸쳐 슬림모 칫솔군과 V형 교정칫솔군 간에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및 치은출혈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시기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 두 칫솔군 모두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는 연구시작 시를 기점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4주 후에 저점을 보이고 6주 후에는 다시 상승하였고, 치은출혈지수의 경우는 V형 교정칫솔군의 경우 2주 후에 최저점을 보이다가 4주 후와 6주 후에는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슬림모 치솔군의 경우 연구시작 시부터 6주 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두 칫솔군 간의 구강위생 관리 효과 비교에서 슬림모 칫솔군은 치태지수와 치은염 지수에서 20대가 10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수치를 보였다 (p < 0.013). 이상의 연구 결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두 칫솔 모두 구강위생관리에 동일하게 효과적이었으나 20대 이상의 성인 교정환자에서 슬림모 칫솔이 V형 교정칫솔보다 치태제거 효과가 더 우수함을 보여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