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Folk Song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마우스 회장 운동에 대한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MIQ)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Suaeda asparagoides MIQ extracts on mice ileal motility)

  • 송재찬;박창희;김현탁;메하리 엔델;이만휘;박승춘;김길수;김태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3-326
    • /
    • 2006
  • Suaeda (S.) asparagoides $M_{IQ}$, one of the halophyte groups, has been used as a folk remedy for digestive disturbances in Korea. However, its pharmacological activity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has not been reported ye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is halophyte extracts with various solvent fractions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on mice ileal spontaneous motility was examined. All solvent fractions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showed inhibitory actions on spontaneous motility of ileum with the potency order of water > 70% ethanol > hexane ${\gg}$ chloroform ${\geq}$ butanol ${\geq}$ ethyl acetat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ater fraction of extracts from S. asparagoides $M_{IQ}$ (WFSA) dose-dependently ($1-100{\mu}g/ml$) inhibited the amplitude of spontaneous phasic contraction and area under the contractile curve (AUC). The inhibitory effect of water fr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ml$ was not affected by tetrodotoxin (TTX), $Na^+$ channel blocker ($1{\mu}M$), and $N^w$-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100{\mu}M$). However, cyclopiazonic acid (CPA, $10{\mu}M$), inhibitor of sarcoplasmic reticulum $Ca^{2+}$-ATPase, almost blocked the inhibitory effects of WFSA ($10{\mu}g/ml$) on the spontaneous phasic contraction of mouse ileum. But, CPA did not inhibit the lowering basal tone effects of WFS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extracts of S. asparagoides $M_{IQ}$ induce inhibitory effects on spontaneous contraction of mice ileal segments. More over, the polar solvent fractions were shown to be more potent than non-polar solvent fractions. The effects of S. asparagoides $M_{IQ}$ extracts are not mediated by nerve or nitric oxide. The inhibitory effects of WFSA at least partially mediated by sarcoplasmic reticulum $Ca^{2+}$-ATPase. Howeve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exact pharmacological mechanisms of this halophyte on its gastrointestinal motility inhibitory effects.

두릅 추출물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HPLC 분석법 검증 (HPLC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Aralia elata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s)

  • 안은미;최송암;최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95-801
    • /
    • 2017
  •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한 두릅추출물의 표준화를 위해 항고혈압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기능성분 HE를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HPLC/UV 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성분 분석법을 확립하며 그에 따른 유효성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유효성 검증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두릅추출물의 피크유지시간이 일치하였다. 검량선의 결정 계수(R2)는 0.9999 이상의 높은 직선성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검출 한계는 $12.0{\mu}g/mL$, 정량한계는 $36.5{\mu}g/mL$로 두릅 추출물 중의 HE 함량분석을 위한 충분한 한계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정확성에서 $98.8{\pm}0.865-104.7{\pm}2.536%$로 높은 수준의 HE 회수율을 보였으며, 평균 분석오차는 0.013%로서 기준인 10% 이내를 만족하였다. 또한 반복성에서는 평균 $101.5{\pm}0.4%$로 RSD 0.4%를 나타내었고, 실험실내 정밀성에서 RSD 0.2%, 완건성에서 RSD 0.2%를 나타내어 모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제주산 두릅추출물 중에는 기능성 지표성분인 HE가 4.88%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두릅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 기능성분인 HE의 HPLC/UV 분석방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반복성, 완건성 등의 모든 항목에서 validation 기준에 적합한 시험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Neuro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nt constituents isol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 K.J. Jung;Lee, E.H.;Kim, H.J.;Lee, J.Y.;Y.S. Song;Lee, Y.H.;J. Cho;Park, M.;Park, H.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63-63
    • /
    • 2003
  • Opuntia ficus-indicavar. saboten Makino (Cactaceae) is a tropical or subtropical plant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sthma, burn, edema and gastriti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fruits and stems of the plant cultivated in Cheju island, Korea, and examine their in vitro neuroprotective activities. Using a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method, ten chemic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ethyl acetate extracts. By mean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those were identified as eight flavonoids such as kaempherol (a), quercetin (b), kaempferol 3-methyl ether (c), quercetin 3-methyl ether (d), narcissin (e), dihydrokaernpferol (f), dihydroquercetin (g) and erioclictyol (h), and two terpenoids such as 3-oxo-${\alpha}$-ionol-${\beta}$-d-glucopyranoside (i) and roseoside (j).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comrounds c~e and h~j were those reported for the first titre from the plant. Compounds b, d and g show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IC$\sub$50/ values of 28, 19 and 31, ${\mu}$M respectively. Compounds d and g also inhibited iron-dependent lipid peroxidation with IC$\sub$50/ values of 2.4 and 3.5 ${\mu}$M. In a primary rat cortical neuronal cell culture system, compounds b, d and g inhibited xanthine/xanthine oxidase-induced (IC$\sub$50/ values of 18.2, 2.1 and 54.6 ${\mu}$M) and H$_2$O$_2$-induced (IC$\sub$50/ values of 13.6, 1.9 and 25.7 ${\mu}$M) cytotoxicities. In addition, compounds d and g inhibited NMDA-induced excitotoxicity by 21 and 33%, and only compound d inhibited growth factor withdrawal-induced apoptosis by 31% at a tested concentration of 3 ${\mu}$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nt constituents with in vitroneuroprotective activities may serve as lead chemicals for the development of neuroprotective agent.

  • PDF

Bioconverted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 ponkan) peel extracts by cytolase enhanc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y in RAW 264.7 cells

  • Chang, Yun-Hee;Seo, Jieun;Song, Eunju;Choi, Hyuk-Joon;Shim, Eugene;Lee, Okhee;Hwang, Jin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2호
    • /
    • pp.131-138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Citrus and its peels have been used in Asian folk medicine due to abundant flavonoids and usage of citrus peels, which are byproducts from juice and/or jam processing, may be a good strateg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ioconversion of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CKP) peels with cytolase (CKP-C) in RAW 264.7 cells. MATERIALS/METHODS: Glycosides of CKP were converted into aglycosides with cytolase treatment. RAW 264.7 cells were pre-treated with 0, 100, or $200{\mu}g/ml$ of citrus peel extracts for 4 h,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1{\mu}g/ml$ lipopolysaccharide (LPS) for 8 h. Cell viabil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din $E_2$ ($PGE_2$) production were examined. Real time-PCR and western immunoblotting assay were performed for detection of mRNA and/or prote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respectively. RESULTS: HPLC analysis showed that treatment of CKP with cytolase resulted in decreased flavanone rutinoside forms (narirutin and hesperidin) and increased flavanone aglycoside forms (naringenin and hesperetin). DPPH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or all of the citrus peel extracts and CKP-C was more potent than intact CKP. All of the citrus peel extracts decreased NO production b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ctivity and $PGE_2$ production by COX-2. Higher dose of CKP and all CKP-C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LPS-stimulated iNOS. Only $200{\mu}g/ml$ of CKP-C markedly de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Both 100 and $200{\mu}g/ml$ of CKP-C notably inhibited mRNA levels of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L-6, whereas $200{\mu}g/ml$ CKP-C significantly inhibited mRNA levels of $TNF-{\alpha}$. CONC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bioconversion of citrus peels with cytolase may enrich aglycoside flavanones of citrus peels and provide more potent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ttributable to oxidation and inflammation by increasi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pressing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생쥐에서 제주조릿대 잎 잔사 추출물의 고요산 혈증 저감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asa quelpaertensis Leaf Residue Extract against Potassium Oxonate-induced Hyperuricemia in Mice)

  • 장미경;송하나;이주엽;고희철;허성표;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19
  • 조릿대 잎은 항염, 해열, 이뇨작용 등의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전통의약에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팀은 열수 추출한 후 남는 잔사로부터 식물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한 잔사 추출물(PRE)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고 바 있다. 본 연구는PRE의 고요산 혈증 저감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Potassium oxonate(PO)로 유도한 고요산 혈증 생쥐 모델에서 PRE는 혈액 내의 요산, 요소 질소, 크레아틴 농도는 감소시켰고, 오줌 내의 요산과 크레아틴 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PRE 투여한 고용산 혈증 생쥐에서 간 내 요산 농도와 xanthine oxidase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고, PRE는 PO에 의해 유도된 간 조직의 상해를 보호하였다. 이 결과는 PO로 유도된 고요산 혈증 생쥐에서 PRE는 항염증 및 세포보호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가적으로 PRE에 의한 신장조직에서 transcriptome의 반응 변화를 RNA 서열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PRE는 주로 면역반응, 염증반응 및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염증을 동반하는 고요산 혈증을 개선하는 소재로서의 PRE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근·현대 나전도안과 공예품의 수급(需給)형태 -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송방웅 소장 나전도안을 중심으로 - (Patterns of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es and the Way of Supply and Demand of the Work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 이연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334-365
    • /
    • 2010
  • 나전도안은 작품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공정이 들어있는 것으로 기물의 종류와 형태, 크기, 장석과 나전 문양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 일부는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비롯하여 작품 제작을 주문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가 남아 있다. 본고에서는 송방웅(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소장 나전도안 도안 1,700여 점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시대별로 유행했던 문양과 기물, 그리고 수요자와 수급형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도안의 대표적인 문양으로는 화조, 사군자, 문화재, 풍속인물, 수복자, 산수 등이 있다. 문양도안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데 근대를 대표하는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작품제작과 수급이 통제되었던 배경과 맞물려 일본의 취향을 따른 문양 도안이 많다. 수요층도 일본인을 중심으로 일본과 친분이 있는 계층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도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시대적인 정황과 관계된 것으로 보이는데, 송주안이 일본에 거주하였던 시기와 남아있는 도안 중 가장 이른 것의 시대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일찍이 공예 도안연구가 활성화되었던 일본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본과는 소재, 제작방식, 수급체제가 달랐던 만큼 일본과 한국의 도안에는 큰 차이가 있다. 해방 이후 현대로 접어든 1950년대에는 6.25 전쟁 이후 미군이 새로운 수요층으로 출현하여 이들이 선호하였던 소품을 장식하기 위한 한국적인 문양도안이 주를 이루게 된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는 외국산 자개가 수입되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도안의 크기와 내용, 종류가 다양해지며 조각법, 부식법 등의 새로운 기법도 등장하게 된다. 1970년대에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나전공예품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았기 때문에 수요층이 다양하였다. 나전공예품은 전적으로 주문에 의해 생산되었는데, 수요층은 각종 단체와 가구 중개상, 그리고 개인으로 분류된다. 이 시기의 수요층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도안에 '부산 좌천동'과 '점촌'으로 표기된 가구 중개상과 개인 수요자인 '진범모친'이다. 부산 좌천동은 1970년대 자개골목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이곳의 상인들은 통영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나전공예품을 납품받아 재판매하였으며, 점촌은 문경의 탄광촌으로 이곳의 "김씨"가 광부들을 상대하던 접대부를 상대로 통영에서 만들어진 나전공예품을 조달하였다. 진범모친은 나전공예품을 소유하기 위해 개인들이 모여 만든 계의 대표로서 부산 대신동에 살았으며 통영에 삼층장을 비롯한 각종 나전공예품을 주문하였다. 1980년대에는 아파트 문화의 정착으로 붙박이장과 거실장, 주방기구, 소파 등 새로운 양식의 가구가 사용되면서 자개장의 입지가 크게 좁아졌다. 한때 통영에서는 끊음질이 크게 유행하여 나전공예품 제작이 활성화되는 듯하였으나 1980년대 말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나전공예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져 수요자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나전 작품의 제작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되었다. 현재는 몇몇 장인들에 의해 명맥만이 유지되고 있다.

실전 판소리의 재탄생 연구 -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rebirth from a lost pansori : An aspect of a changgeuk )

  • 이소정
    • 공연문화연구
    • /
    • 제33호
    • /
    • pp.59-95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담 옹(Madame Ong)>이라는 제목으로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통해 실전판소리가 어떻게 새롭게 재탄생되었는지, 그 과정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텍스트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현재에는 실전된 판소리 <변강쇠가>를 각색하여 창극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변강쇠의 치상부분인 후반부의 내용을 삭제하고, 옹녀가 변강쇠를 되찾아오기 위해 장승들과 전쟁을 벌이는 내용을 새롭게 삽입하여 텍스트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변강쇠 점찍고 옹녀>라는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원작과는 다른 관점으로 변강쇠가 아닌 옹녀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동안 음녀로만 여겨졌던 옹녀를 자신의 운명에 맞서 싸우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인으로 변모시켰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모든 소리가 작창으로 만들어졌는데, 극과 가장 부합되는 소리, 즉 이면에 맞는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창자간의 화음을 넣는 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소리를 하는 인물 혹은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에 따라 그 소리의 조와 성음이 달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특히 반주음악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소리북을 여러 개 사용하거나 대중가요에서 왈츠, 클래식, 각도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는 등 도전적인 시도를 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고 사실감 있는 극적표현을 도와주었다. 이렇듯,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고전서사를 차용했지만,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창극에서 벗어난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을 통해, 온고지신의 면모를 갖춘 새로운 창극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현대 사회에서 창극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해 준 작품이다.

고전시가 교육에 있어 향유 방식의 중요성과 그 방법론적 탐색 (Importance of Enjoyment Method in Classic Poetry Education and its Methodological Study)

  • 박경주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8호
    • /
    • pp.5-35
    • /
    • 2018
  • 필자는 이 논문에서 '고전문학의 향유 방식과 교육'이란 주제를 고전시가 분야를 대상으로 접근하되, 구체적인 장르나 작품의 향유 방식을 논하는 개별적인 방식이 아니라 본질적인 차원에서 논하는 방식을 택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고전시가라는 영역과 향유 방식이 갖는 함수 관계에 대해서는 자칫 일반론적 논의가 될지 모른다는 부담을 가지면서도 최대한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노력했다. 고전시가 영역에 대해 말할 때 연구자들이 본질적으로 알고 있으면서도 흔히 잊고 넘어가는 사실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고전시가 작품들 대부분이 '시가 아닌 노래로 불린 작품들'이며 또한 그 때문에 '우리말'로만 표기되는 것이 원칙이라는 사실이다. 이 두 가지 사실은 고전시가에서 향유 방식이 중요할 수밖에 없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을 형성하는 사항이다. 현대시와 한시, 민요 등 다른 운문들과 비교해보면 위의 조건들이 고전시가만이 지니는 고유한 특징임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고전시가는 고대시가에서 잡가까지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가 장르로 구분되어 장르나 작품에 따라 그 향유된 시대의 시가 특성에 대해 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에 의거할 때도 고전시가 영역에서 작품이 창작되고 불리는 향유 상황은 매우 중요하며, 이 때문에 향유 방식의 문제가 작품이나 장르 연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야만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어서 현재의 중등교육과정에 고전시가의 향유 방식에 대한 이상과 같은 논제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반영되었는지 파악해보고, 현재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고전시가의 향유 방식과 관련한 내용을 교과서나 수업 현장에 적용할 때 논제로 삼을 만한 사항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단원목표나 성취기준으로 설정하여 작품을 구성하고 학습 활동을 구안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제시해보았다. 앞으로 문학교육 방법론 연구에 있어 이 논문에서 논한 고전시가의 향유 방식에 대한 논제들이 충분히 검토되기를 바란다.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lerodendrum trichotomum Leaf Extracts)

  • 김지혜;송하나;고희철;이주엽;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0-645
    • /
    • 2017
  • 누리장나무의 잎과 줄기는 예로부터 항고혈압,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항염증 등을 치료하는 민간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누리장나무의 잎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성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누리장나무 잎의 ethanol (EtOH)로 추출물과 이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OAc 분획물($78.08{\mu}g/mg$)과 BuOH 분획물($77.54{\mu}g/mg$)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획물에서 높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및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CHCl_3$ 분획물($IC_{50}=4.43{\mu}g/ml$)과 EtOAc 분획물($IC_{50}=5.69{\mu}g/ml$)에서 높게 나타났다. EtOAc 분획물은 RAW 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IC_{50}=18.87{\mu}g/ml$). 또한, EtOAc 분획물($100{\mu}g/ml$)은 LPS로 지극한 RAW 264.7 세포에서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와 interleukin-6 (IL-6)의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 (COX-2) 단백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과 분획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해 준다.

RAW 246.7 대식세포 모델에서 고삼, 감초, 백선피 에탄올 추출물 및 추출복합물의 항염증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mong Ethanol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Glycyrrhiza uralensis and Dictamnus dasycarpus, and their Mixtures in RAW 246.7 Murine Macrophages)

  • 한민호;이문희;홍수현;최영현;문주성;송명규;김민주;신수진;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9-335
    • /
    • 2014
  • 고삼, 감초 및 백선피는 염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오랜 동안 사용되어 온 한약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한약제의 에탄올 추출물과 각 한약제 추출물의 복합물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LPS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RAW 264.7 대식세포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삼 추출물(EESF), 감초 추출물(EEGU), 백선피추출물(EEDD) 및 추출복합물(MHMIXs)을 준비하였으며, 항염증 효능 평가를 위한 인자로서 대표적인 염증 매개인자로서 NO와 $PGE_2$를, 염증성 cytokine 중에서는 $IL-1{\beta}$$TNF-{\alpha}$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각 한약제 단독 추출물 및 추출복합물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와 $PGE_2$ 및 염증성 cytokine의 생성을 모두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생성 억제는 해당 단백질의 발현 억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비록 각각의 단일 추출물과 추출복합물이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고 평가되지만, 세포 독성과 다양한 염증성 매개인자 및 cytokine의 억제 효과를 전체적으로 고려할 경우 EESF, EEGU 및 EEDD가 3:1:1로 혼합된 MHMIX-1이 항염증 관련약품 및 소재 개발에 보다 효과임을 제안하며, 이는 과도하게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성 질환 조절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