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6초

A Comparative Study about Risk Factors Influencing Suicide Ideation between Korean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 Lee, Hanju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0-250
    • /
    • 2017
  • Purpose: In South Korea, suicide mortality has rapidly increased, so it has become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regarded as a high-risk group due to their situ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icide ideation between Korean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the eleven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5), collected by th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he total participants were 63,376 in numbers. They were composed of 62,649 (98.9%) Korean and 727 (1.1%)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ults: I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15.8%) compared with those of Korean (11.3%). The risk factors of suicide ideation in the Korean group were co-residence without family, poor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ve mood, high stress level, poor perceived happiness level, and experience of violence. Conversely, the risk factors of the multicultural group were smoking, depressive mood, and experience of violenc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ppropriate and practical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focus o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deation and reduce suicide behavior in Korean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Results of a Nationwid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Lee, Woo-Taek;Kim, Hye In;Kim, Jee Hoon;Lee, Seok-Jin R;Hong, Seri;Park, Eun-Che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273-6278
    • /
    • 2015
  • Objective: This study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body image or objectiv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risk of daily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with a purpose of identifying the most suitable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the 2013 9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for 72,435 students, odds ratios were calculated for daily smoking in the past month, according to the subjective body image and calculated BMI using a respectiv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combined effect of these two factors was also analyzed by pairing a BMI category with a subjective body image category, using odds ratios for the same event within each sex group. Results: Among the surveyed students, 7.2% of boys and 1.8% of girls were classified as daily smokers. Stud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very obese tended to be at lower risk of daily smoking (OR=0.61 in boys with 95% CI=0.47 to 0.79; OR=0.66 in women with 95% CI=0.47 to 0.93). In addition, boys within the obese or overweight BMI category showed a lower risk of daily smoking (OR=0.86, 95% CI: 0.77-0.96). Lean BM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odds ratios for daily smoking only in female students (OR=1.24, 95% CI: 1.02-1.52). When pairing these two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results suggested that subjective body image has a greater effect on daily smoking than BMI in both boys and girls. Conclusion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ubjective body image had a greater effect on daily smoking than body mass index. A model using the combination of BMI and subjective body image was the best fit in girls, in contrast to the model using subjective body image only best suitable in boys, for the prediction of daily smoking. These results including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daily smoking in Korean students, provide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oking inter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고등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 음료섭취와 정신건강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High-Caffeine Energy Drink Intake and Mental Health in High School Students)

  • 박웅섭;박선우;김상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32-139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high-caffeine energy drink intake and mental health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of 27,097 responses from the 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a complex sample design. Results: High-caffeine energy drink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es of smoking, alcohol consumption,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se of happiness. Conclusion: High-caffeine energy drink intak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n-depth research and policies on high-caffeine energy drink intake and the mental health of young individuals are required.

청소년의 손 씻기 실천 행태 분석;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2011-2013년도를 중심으로 (Behaviors of hand washing practice Korean adolescents, 2011-2013: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32-4138
    • /
    • 2014
  •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 중 손씻기에 대한 교육을 기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1년, 2012년, 2013년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손 씻기 실천 행태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에 참여한 표본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표성을 갖도록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손 씻기 실천 행태는 학교에서 식사하기 전 '전혀 씻지 않았다'로 응답한 학생수가 2011년도에 22,257명(29.4%), 2012년도 22,375명(30.5%), 2013년도 13.153(18.5%)명으로 다른 항목과 달리 계속적으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하는 상태로 유지되었다. '학교에서 식사하기 전 전혀 씻지 않았다'는 항목에 대해 최근 3개년간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도시구분에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단위의 소도시 보다 유의하게 전혀 손을 씻지 않는 경향을 보였고, 학교유형에서는 여학교가 남녀 공학이나 남학교 보다 학교에서 식사 전 전혀 손을 씻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지난 3개년 간 계속해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교구분에서는 중학교와 일반 고등학교가 특성화 고교보다,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 구분에서는 고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에서 식사 전 전혀 손을 씻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손 씻기에 대한 학교 보건 교육 시 '식사 전 손 씻기'에 대한 교육을 특히 강조해야 하고, 학교에서 식사 전 '전혀 손을 씻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인구학적 특성의 대상에 대해 보다 세심한 교육과 계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Subjective and objective indicator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 Choi, Kyungwo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6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self-rated health and socioeconomic status. Methods: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cross-sectional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79,202 students aged 12 to 18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re was a response rate of 95.5%. Separ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each gender group based on a set of independent variables. Those being: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level; family affluence scale; subjective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school achievement with SRH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each SES and adolescent SRH after controlling for other covariates. However, in the models that included all SES indicators, subjective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school achievement remained significant in boys and girls. Conclusion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subjective SES indicator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adolescent SRH when compared with objective indicators.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불안의 매개효과. 2020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분석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Fatigue Recovery among Adolescents: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20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지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96-6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중재의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제16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청소년 54,948명이다. 연구변수 간의 관계는 상관분석, 요인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피로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경유하여 피로회복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매개변인인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피로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또한 불안은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대상으로 피로회복을 향상하기 위해 불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알레르기 비염 청소년의 수면만족감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leep Satisfa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 김효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5-18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leep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 Korea.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1,480 subjects who completed the 2018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with PASW 18.0.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sleep satisfaction were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economic status, living arrangement, physical activity, drinking, smoking, stress,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erceived body ima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considering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sleep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청소년 알레르기질환과 미세먼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and Allergic Disease among Adolescents)

  • 김은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8-155
    • /
    • 2020
  •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and allergic disease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used the raw data from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hich was performed in 2018. The data of a total of 60,040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llergic diseases among adolescents were show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age, school record, stress, BMI, insufficient sleep, depression, current drinking, current smoking, an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considers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be developed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BMI와 주관적 체형인지에 따른 한국 청소년의 체중조절행동-제6차(2010)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Korean adolescents'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MI(Body Mass Index) and body shape perception-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 이예종;이숙정;김창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227-232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BMI와 주관적 체형인지에 따른 체중조절행동을 알아보고자 '2010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중1~고3 학생 73,2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한 체형은 '보통이다'와 '약간 살찐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지만, 실제 BMI 측정결과 '저체중'이 가장 높고, 그 다음 '정상체중'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비만하지 않아도 비만하다고 평가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체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여학생이, 늘이기 위한 노력은 남학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대부분의 학생들이 실제적인 체형에 비하여 자신의 주관적 체형 인지를 왜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체형인지 정도와는 다르게 저체중군에서는 체중을 늘리기 위한 노력보다 줄이기 위한 노력을 더 하였으며, 비만군보다 과체중군이 근소한 차이로 체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MI 지수에 대한 체중조절 여부가 높아질수록 체중조절을 수행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주관적 체형 인지가 체중조절행동으로 직접 연결되었고, 불필요한 체중감량시도나 부적절한 체중조절방법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지가 강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적 개입이 요구된다.

청소년의 음주 실태 ;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Drinking conditions of adolescents ;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86-192
    • /
    • 2017
  •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3년, 2014년, 2015년 최근 3개년간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음주 행태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에 참여한 표본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표성을 갖도록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음주 행태에 대해 3개년간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문제음주 항목에서는 다소 하강상태를 보였으나, 음주시작시기(중학교 2학년;21.5%), 음주일수(20-29일;3.8%),음주량(2병 이상;12.2%), 구매 방법 및 용이성(편의점 구매;32%, 굳이 구매하려하지 않음52%), 음주교육 유무(음주교육 받지 못함;72%)등의 항목에서 꾸준한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항목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학교유형에서는 남녀 공학이, 학교 급에서는 고등학교가, 거주형태에서는 자취, 사회경제적 수준에서는 '중 상' 으로 응답한 학생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음주행태에 대한 3개년 간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그 결과의 추이가 여전히 주의할 만한 수치여서 음주에 대한 보건 교육이 학교뿐 만아니라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며, 모두가 함께 청소년 음주에 대한 주의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