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57초

학업요인이 비만청소년의 체중감량 노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cademic Factors on Body Weight Loss Efforts among Obese Adolescents)

  • 노영민;윤은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63-6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academic burden on weight loss efforts among adolescents aged 12-18 in Kore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29,069 obese adolescents (10.8%) using raw data of the 9th~12th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llected from 2013 to 2016.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Weight control effor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nutrition education, and individuals with perceived fatness or perceived stress. Additionally, a long sitting time and high academic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variables affecting the weight control efforts of adolescents. Conclusion: Obese adolescents in Korea spent a lot of time in their studies due to their academic burdens and this caused a lack of time to adjust their weight.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a policy by considering thes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for obese adolescents in Korea.

우리나라 청소년의 탄산음료 섭취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drink consumption and subjective oral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 박지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4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drink consumption and subjective oral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of 65,528 adolescents were derived from the twel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1st June 2016 to 30th June 2016. Sociodemographic factors, dietary habit,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col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ive oral symptoms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and the other variables. Result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ubjective oral symptoms were correlated with sex, age, subjective economic status, soft drink consumption, sweet drink consumption,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dental sealant experience. Conclusions: Since the intake of soft drink adversely effects subjectively perceived oral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include information on the pH levels of food and beverages including carbonated drinks, the effects of sugar on the teeth, and precautions to preventing tooth damage.

청소년들의 피임실천율 및 피임방법(2007~2009년) (Rates and Methods of Contracep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2007 to 2009)

  • 이한주;강희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8-156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rates and methods of contracep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2007 to 2009.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e data were taken from a web-based survey on risk behavior of Korean youth that was conducted between 2007 and 2009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ults: Among adolescents, 4.7% in 2007, 4.6% in 2008, and 4.7% in 2009 reported having had sexual intercourse. In those who had sexual experiences, less than 30% reported consistent use of contraception, whereas more than 45% report no contraceptive use at all. A condom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traceptive method and its use has increased continuously among contraceptive users. Some of the adolescents were, nevertheless, using unreliable methods such as withdrawal or the rhythm metho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ost adolescents are not using contraception consistently and some were relying on unreliable contraceptive methods. Efforts to raise awareness about consistent and correct contraceptive use and the importance of dual protection are essential.

Association between body shape misperception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 Yejin Kim;Bomgyeol Kim;Vasuki Rajaguru;Sang Gyu Lee;Tae Hyun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6호
    • /
    • pp.1143-1154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Body shape misperception (BSM) is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subjectively perceived body size and body mass index.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SM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s (UEB) among Korean adolescents. SUBJECTS/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ith 55,748 participants. UEB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weekly consumption frequency of caffeinated energy drinks, fast food, carbonated beverages, and sugar-sweetened beverages. The covariates include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ter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BSM and UEB.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37,607 (67.5%) reported UEB. The gap between UEB among those with BSM was the largest between the underestimated and accurately estimated groups. Participants who underestimated their body shape were likelier to engage in UEB (adjusted odds ratio [AOR], 1.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25). Both sexes with underestimation of body size showed an association with UEB compared to those with accurate estimations (girls: AOR, 1.19; 95% CI, 1.09-1.30; boys: AOR, 1.16; 95% CI, 1.08-1.26). CONCLUSIONS: Underestimating body shape can provoke UEB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need for appropriate school health interventional programs to prevent underestimating body shape is emphasized to avoid UEB.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유병률 연구 - 질병관리본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Study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 김향숙;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1-52
    • /
    • 2017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고, 학교에서 알레르기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증상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 712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 알레르기 질환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건강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은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이 267명(37.5%),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4명(23.0%), 약물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명(4.9%), 우울감이 있는 학생은 198명(27.8%)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학생이 259명(36.3), 피로 회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이 286명(40.2%)으로 나타나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97명(69.8%),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449명(63.1%) 이었으며, 살찐 편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251명(35.3%) 이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중 천식은 중학생이 46명(6.5%), 고등학생이 35명(4.9%), 알레르기 비염은 중학생이 95명(13.3%), 고등학생은 87명(12.2%), 아토피 피부염은 중학생이 67명(9.4%), 고등학생이 53명(7.4%) 이었다. 천식이 있는 남학생은 47명(6.6%), 여학생은 34명(4.8%),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남학생은 81명(11.4%), 여학생은 101명(14.1%),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남학생은 53명(7.4%), 여학생은 67명(9.4%) 이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은 천식이 있는 학생이 81명(11.4%),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학생이 182명(25.5%),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이 120명(16.8%)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순의 발병률을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은 우울감(p<0.001), 음주 경험(p<0.05), 약물 경험(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 체형 인지(p<0.05)에서 천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피로 회복 인지(p<0.001), 건강 인지(p<0.001), 스트레스 인지(p<0.05)에서 알레르기 비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형 인지(p<0.01), 우울감(p<0.05), 피로 회복 인지(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높은 변인인 건강 인지, 행복 인지, 체형 인지를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우울감, 스트레스 인지, 피로 회복 인지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하다.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in South Korean adolescents: a secondary data analysis

  • Hyeseon Yun;Eun Kyoung Cho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7-96
    • /
    • 2024
  • Purpose: The rising prevalenc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and its detrimental impact on mental health have become a growing concer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drawn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nducted in 2020. The dependent variable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while the main exposure of interest was mental health, encompa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perceived stress, sources of perceived stress, perceived loneliness, and perceived depressive symptoms. The study employed the Rao-Scot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IBM SPSS version 26.0. Results: The participants comprised 54,948 adolescents aged 13 to 18 years. Among them, 25.1% (n=13,775) were categorized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 Specifically, 20.3% of adolescents who reported GAD ≥10 and 22.5% of those who reported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erceived loneliness were identified as smartphone overdependent. The GAD increased a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2.61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2.46-2.77). Perceived loneliness was associated with 1.98-fold (95% CI: 1.87-2.09) increased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dditionally, conflict with peers was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4.63-fold (95% CI: 3.89-5.52), followed by conflict with parents (odds ratio [OR]: 4.52, 95% CI: 3.84-5.31), and family environment (OR: 4.52, 95% CI: 3.75-5.46). Conclusion: The findings underscore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Healthcare services to improve their emotional coping and interpersonal skills are necessary.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에너지음료 섭취와의 관련성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Drinks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 윤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6-20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drinks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statistics from the 2017(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physical activity, energy drinks consump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weekly allowa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percentage. Results: As the number of days engaging in moderate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increased, the response that they consume energy drinks 'more than 5 times a week' also increase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 'moderate' or 'high' level of moderate physical activity consumed 1.4 times more energy drinks than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And the subjects who engaged in a 'low' or 'moderate' level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consumed about 1.3 times more energy drinks than those who don't work out. Conclusion: As the level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increased, the number and frequency of energy drinks consumption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energy drinks consumption and promote proper physical activity.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위험요인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ealth Risk Factors on the Or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 도경이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199
    • /
    • 2016
  • 본 연구는 제9차(2013)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총 66,95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건강위험요인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구강건강에 미치는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PASW Statistics ver.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은 33,777명(50.5%), 여학생은 33,174명(49.5%)으로 남학생 비율이 높았고, 학년 분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1학년이 가장 높았다. 학업성적은 '하위권'이 24,468명(36.6%)으로 가장 높았고, 경제 상태는 중위권이 32,374명(48.4%)으로 가장 높았다. 어머니 학력은 고졸이 가장 높았다. 성별에 따른 6가지 구강증상경험 분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치아가 깨지거나 부러짐'은 성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p=0.135), '먹을 때 치아가 아픔', '치아가 욱신거리고 쑤심', '잇몸이 아프고 피가 남', '혀와 입 안쪽 뺨이 아픔'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그러나 '입 냄새가 남'은 남학생(52.5%)이 여학생(47.5%)보다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건강위험요인과 구강증상경험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음주, 흡연, 학교폭력 경험, 주중 인터넷 사용이 관련성이 있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음주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구강증상경험 위험도가 OR 1.33배, 흡연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구강증상경험 위험도가 OR 1.2배로 높아졌으며 인터넷 사용시간은 '1시간 이내 사용'보다 '7시간 이상' 사용자가 구강증상경험 위험도가 OR 1.25배 높아졌으며 학교폭력 경험도 경험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3~4번'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구강증상경험 위험도가 OR 1.54배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올바른 건강습관을 도모하고, 건강위험요인을 적절히 중재하여 청소년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다문화가족과 일반가족 중·고등학생의 구강질환증상 비교 (Comparative study on oral symptom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and ordinary families in Korea)

  • 박경화;이미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3-20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ral symptom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and ordinary families in Korea.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web-based survey of the National 2014 Korean Youth Risk Behavior of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 total of 71,174 subjects responded about their father or mother's Korean nationality. We classified a subject as an adolesc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if aparticipant's father or mother's nationality was not Korean.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 19.0.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experienced more oral disease symptom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of ordinary families. After adjust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high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d 1.78 times higher frequency of oral disease symptom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of ordinary families. Conclusions: The family type and ag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targeting adolescents to improve oral health.

한국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 및 영향요인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이용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아영;김진희;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5호
    • /
    • pp.465-479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당음료 섭취빈도는 탄산음료, 고카페인 또는 에너지음료, 단맛이 나는 음료수에 대한 섭취빈도를 합산하여 산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가당음료 섭취비율을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중학생군과 고등학생군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학력에서도, 주관적인 학업성적에서도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건강행위별 가당음료를 섭취하는 비율은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음주군과 비음주군에서도 섭취 비율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강도 고강도운동 등의 신체활동군에서 비신체활동군과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심리적 특성으로서 스트레스가 높거나 자살 생각 또는 슬픔이나 절망감을 경험한 군에서도 비경험군과 가당음료 섭취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식습관 요인을 살펴보면 아침을 주 5일 이상 결식한 군과 비결식군간에, 패스트푸드, 라면, 과자를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 또는 편의점 슈퍼마켓 학교매점을 이용하여 식사를 한 경험이 일주일에 3회 이상 있는 군과 3회 미만인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채소 반찬의 경우 매일 3회 이상 섭취한 군과 3회 미만으로 섭취한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 가당음료 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아버지의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인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학생이 가당음료를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자살 생각 또는 슬픔이나 절망감을 경험한 학생들의 가당음료를 섭취할 가능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아침을 자주 결식하거나, 패스트푸드, 라면, 과자 등 건강하지 못한 식품을 섭취하거나, 편의점, 슈퍼마켓, 학교매점에서 저녁을 간단히 먹는 학생들에게서도 가당음료 섭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 등 여러 요인들과 연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가당음료 섭취는 영양적으로 가치가 낮은 반면 칼로리는 높아 비만을 유도하고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청소년들의 당류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학교 내 또는 학교주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탄산음료 또는 고카페인 함유 음료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자의적 선택에 의해서 가당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영양교사나 급식영양사에 의하여 당류 섭취 감소를 위한 주기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