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traditional pain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백자채색봉황모란문병 보존처리와 금채장식 기법 연구 (Research on Technique of Gold Powder Painting and Conservation Process for White Porcelain Bottle with Phoenix and Peony Design Poly Chrome)

  • 이다혜;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25-34
    • /
    • 2011
  • 본 고에서는 백자채색봉황모란문병의 전반적 보존처리 과정과 일부 결손된 채색부분인 금채장식 복원에 적합한 복원 재료와 보존방법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결손되거나 박락된 금채장식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적인 방법이 있는데, 이번 연구실험을 통해 가장 적합한 복원방법을 알아낼 수 있었다. 또한 이번 금채장식 복원과정에서는 전통적인 금채장식방법 대신에 아크릴물감과 바인더를 섞어 문양 테두리의 금채부분을 복원한 현대적인 금채 채색방법을 선택하여 복원하였다.

Analysis of Pigments in the Buseoksa Josadang Murals in Yeongju

  • Song, You Na;Lee, Han Hyoung;Baek, Na Yeon;Jung, Cham Hee;Park, Min Jeong;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59
    • /
    • 2020
  • Scientif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int pigments used in the Buseoksa Josadang murals. optical microscopy(OM), X-ray fluorescence(XRF), XRF mapp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SEM-EDS), and Raman spectroscopy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pigmen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Josadang murals consist of two paint layers wherein the pigments were distinct for most colors. It was estimated that celadonite, white clay, red ochre, cinnabar and minium, synthetic green pigment containing tin and zinc paratacamite, or botallackite were used in the upper layer. In addition, bone white, celadonite, red ochre, azurite, cinnabar or vermilion, and gold were identified in the lower layer. In addition, as Zn and Sn were detected in the green pigments extracted from the top layer of the paint, it is believed that Josadang murals were repainted over the original paint layer at some point after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white pigments containing calcium phosphate were found in all the colors in the bottom layer, which is the original paint layer.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because this is the first time that white pigments ar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revealed about the pigments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reference for the pigments used in the Goryeo period.

젤라틴(아교)의 물성에 따른 단청 도막의 성능비교 연구 (A Study on the Film Performance by Physical Properties of Gelatin(Glue) in Dancheong)

  • 박지혜;정선혜;김익주;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3
    • /
    • 2013
  • 전통 단청 교착제인 젤라틴(아교)의 물성에 따른 단청 도막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직접 추출하거나 시판되는 아교 및 젤라틴 5종을 선정하고 수분반응성과 촉진내후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겔 강도가 높은 1종의 젤라틴 단청 도막에서는 아교 대체 재료인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도막보다 수분 흡수율이 높고 촉진 내후성 시험 후에도 밀착성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젤라틴 도막보다 내수성이 우수하였다.

Characteristics of Color Differences of Rainbow-Colored Veneers by Fading Test

  • Suh, Jin Suk;Park, Sang Bum;Kim, Jong In;Park, Ryeong Jae;Cho, Young Hee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7-473
    • /
    • 2015
  • Natural dyeing is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to chemical staining in terms of harmful VOC-fre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ingredient.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an evaluation of color performance of naturally dyed- and painted veneer for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etc. according to the used condition in terms of existence of light and heat in drying. From the results, the color changes by the color of dyed veneer and the type of paint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fading condition of light or heat. In the future, long-term outdoor exposure test needs to be additionally followed in order to evaluate durable usability of colored veneers.

The Cause of Whitening by Flame Retardants Treatment on Korean Wooden Cultural Heritage

  • Kim, Jin Qyu;Chung, Yong Jae;Lee, Hwa Soo;Seo, Hyun Jeong;Son, Dong Won;Han,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589-599
    • /
    • 2016
  • Korean wooden cultural heritages are treated by flame retardants to protect fire hazards. Two types of flame retardants are used to treat wooden cultural heritage. These flame retardants cause some problems such as surface whitening, discoloration, and cracks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caused by Korean traditional wood painting (Dancheong), flame retardant and wood humidity. The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cut down on the amount of flame retardants for the wooden cultural heritage becaus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ause of whitening by flame retardants treatment. The reaction between pigment and flame retardant chemicals was analyzed by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of Cow Hide Glue Binder in Traditional Dancheong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Yu, Jia;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3-372
    • /
    • 2019
  • Animal glue has been used as a binder in Dancheong since the Joseon dynasty. Bind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ainting layer. The analysis of binder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traditional Dancheong. Binders can be investigated using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es methods such a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but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degradation properties of the pigment and binder. Therefore, cross-validation using a combination of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enzyme immunoassay i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 present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s an example of an enzyme immunoassay as a method for analyzing animal glue, a traditional binder used in Korea. The applicability of ELISA was tested using commercial animal glue, in addition to animal glue produced using a variety of extraction conditions. The animal glue was analyzed in a Noerok-additionally coated-replica sampl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animal glue in a paint layer mixed with pig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erformed an assay on the use of animal glue in the Dancheong sample of the temples of the Joseon dynasty, that are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17th century.

농촌지역 전통, 개량 및 신축주택 외장색채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xterior Color of Housing in Rural Area Comparing with Traditional Housing Color)

  • 백석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57-166
    • /
    • 2008
  • Until 1960, the major housing type of rural area in Korea was traditional wooden frame building, which was made of natural materials.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New Village Movement, most of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renovated focusing on changing roof material of rice straw into slate, keeping existing main wooden structure. And then from around 1980, by economical development the new houses have been constructed. On these three phases of traditional type, remodeling type and new construction type, the natural materials of housing facade as wood, soil, stone and plant changed into artificial materials as cement, chemical material and paint. At the same time the exterior color of housing also have been changed and vari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changing aspect of exterior color by comparing remodeled and new constructed housing with of traditional housing. The exterior color of one hundred and fifty seven houses were surveyed and the three color attributes of each part of facade, as roof, wall and window,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case of traditional houses, 98.3% of color are concentrated on the warm color of Y and YR on HUE scale, and 88% of their color are low Chroma. And Value of their color has been varied and spreaded from low to high Value scale. From traditional types to remodeled and new constructed houses, the concentration ratio of warm color on Hue scale reduced from 98.3% to 68.7% and ratio of low Chroma was also changed from 88% to 73.2% and the ratio of low Value color reduced from 51.9% to 29.7%. The exterior color of houses in rural area varied on Hue, and the more saturated colors were used and they became brighter compared with color of traditional hous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basic data of exterior color planning and improvement into harmonized color with natural environment.

굴 패각 분말의 입자분포에 따른 도막특성 (Characteristics of Painting Film Corresponding with Particle Distribution of Oyster Shell Powders)

  • 송유나;박가영;이한형;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61-271
    • /
    • 2016
  • 굴 패각 분말의 입자분포가 채색시의 작업성과 채색도막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입도분포와 입자형태(구형, 타원형, 길쭉한 막대형, 부정형)의 분포가 각각 다른 3종의 패각분말을 제조하여 연구에 이용하였다. 채색시의 작업성의 척도로서 발림성과 도막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도막내구성의 척도로서 도막의 밀착성과 표면경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작업성과 내구성은 입자크기보다는 입자형태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길쭉한 막대형 입자의 구성비율이 높을수록 작업성은 떨어지는 반면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청 등 회화문화재 보존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인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인자를 확인한 결과로서, 단청문화재 보존 및 복원재료의 선정과 품질기준 마련뿐만 아니라 향후 이러한 특성이 제어된 고품질의 전통재료 생산에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옻칠화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Raw Lacquer Technique in Illustration)

  • 후홍무;오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535-543
    • /
    • 2018
  • 나라마다 지니고 있는 독창적인 전통문화는 그 나라의 경쟁력을 대변하며 국가의 자원이 된다. 옻칠화는 중국에서 매우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분야이다. 옻칠화의 기본적인 재료인 옻칠은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 고대부터 사용된 방부, 방충, 방수 등의 기능을 지니고 있는 천연 도료이다. 이러한 옻칠을 이용한 옻칠화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반면 유화나 수채화에 밀려 그 가치와 의미가 퇴색되어가고 있다. 이를 좀 더 대중적으로 알리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하나의 방편으로 일러스트레이션에 옻칠화 기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현재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많은 표현기법이 있지만 옻칠화로 된 표현은 찾아보기 드물다.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옻칠화 기법은 현대의 테크놀로지와 전통문화의 접목으로써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오랜 전통의 혼이 담겨있는 옻칠화를 대중에게 알리고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 옻칠화의 아름다움과 독창적인 표현기법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재현함으로써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일러스트레이션 표현기법의 한 분야로 옻칠화가 활용되는 것을 바란다.

접착제로서의 옻; 역사성과 현대적 활용 (Lacquer as Adhesive : Its Historical Value and Modern Utilization)

  • 장성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114-125
    • /
    • 2016
  • 옻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신석기시대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천연수지이다. 옻은 주로 옻칠 공예품의 재료로서 방수, 방충, 방부 등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있어 도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옻은 중국과 일본의 칠기유물 출토현황을 근거로 신석기시대에 출현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 이후 발굴조사를 통해 칠기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옻의 초기 용도는 접착제로 추정되고 있으며 문헌을 통해 옻이 역청, 교, 난백과 함께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평택 대추리 출토 옹관편의 복원에 칠과 대마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어 원삼국시대에 이미 접착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후 파손된 도자기의 접합 복원에 칠을 사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그 위에 금분 등으로 장식하는 사례가 한동안 지속되었다. 현재도 옻칠 개금, 나전칠기, 건축물 보수공사 등에서 옻은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문화재 보존처리에서 접착제의 주요 선택 기준의 하나인 가역성의 문제로 옻은 문화재 복원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고대부터 접착제로 사용되어 온 전통재료로서 옻은 강한 접착강도와 내구성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합성수지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존재와 환경에 의한 열화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어 천연수지인 옻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옻과 교의 배합으로 제조한 접착제를 통해 화학적 변용과 활용의 가능성이 확인된 바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옻을 현대적 도료 및 기능성 재료로 활용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추후 옻의 분자수준의 화학적 연구가 진전되어 기능성 재료로 실용화하고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