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onal park

검색결과 34,419건 처리시간 0.066초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시스템 개선 연구 (Comparison of the National Park Ecosystem Health Assessment and an Advanced Assessment System)

  • 명현호;김정은;김혜리;오장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2호
    • /
    • pp.112-119
    • /
    • 2021
  •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공원 자연 생태계의 효율적 보전·관리를 위해 2012년부터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자연공원법 개정, 정책 변화, 관리 지표 부재에 따라 지표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기존지표에서는 해양생태계평가 지표 부재, 정책변화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평가시스템은 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종, 종다양도, 수질 (BOD, DO), 서식지파편화 지표 등으로 생물종 중심의 비중이 높았다. 평가결과는 5등급 체계로 구성되어 각 지표에 대한 즉각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평가시스템 개선을 통해 BPI와 서식지복원지표를 추가하였다. 종다양도는 4개 분류군을 대상으로만 평가하였으나, 10개 분류군으로 전체 공원을 평가하였다. 평가 등급은 5개 상태, 5 등급에서 5개 상태, 10 등급으로 세분화하여 픽토그램으로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개선 전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고, 3단계에서 5단계로 확대 되었다. 그러나 월악산국립공원은 개선 전 평가 결과보다 낮고, 주왕산국립공원은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계 건강성 평가 시스템 개선을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의 과학적·체계적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형경관자원의 유형 및 활용방안 (A Characteristic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National Parks, South Korea)

  • 김장수;장동호;양해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96
    • /
    • 2013
  •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시행한 국립공원 2 3기 자연자원조사 자료와 국립환경과학원 2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공원별 지형경관자원을 유형별로 재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전체 국립공원 내 지형경관자원 수는 총 3,169개였다. 전체 경관자원 중 I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은 794개로 약 36.9%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II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이 546개로 약 25.3%, III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이 459개로 약 21.3%, 마지막으로 보전등급이 낮은 IV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이 191개로 약 8.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립공원별 I등급 경관자원 수는 설악산 207개소, 다도해해상 92개소, 지리산 84개소, 태안해안 60개소 순이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속리산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 등이 지형경관자원이 우수한 국립공원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우수한 경관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립공원 탐방객에게 경관자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조망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수경관 조망점 지도를 작성하여 탐방로 입구 혹은 일정지점에 설치하여 탐방객들에게 지형경관자원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속리산국립공원에 방사된 꽃사슴(Cervus nippon)의 GPS collar를 이용한 행동권, 서식지 이용특성 분석 (Home Rang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released the sika deer(Cervus nippon) by using GPS Collar in Songnisan National Park)

  • 김규철;이용학;정대호;김기윤;김용훈;한혜성;손장익;이주형;이한웅;조선국;조재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62-969
    • /
    • 2016
  •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에 재도입 방사된 꽃사슴(n=6)(외래도입종)의 생태 및 행동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2012년 4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수행되었다. 분석된 꽃사슴(Cervus nippon)은 GPS Collar 발신기를 부착하여 포획된 원서식지에 재 방사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1,385개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연간 행동권, 고도 등 서식지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속리산국립공원에 재도입된 꽃사슴의 연구결과, 전체 행동권은 MCP 95% $2.24{\pm}1.50km^2$(t=3.648, p<0.05), 핵심구역인 FK 50%에서 $0.46{\pm}0.31km^2$(t=3.666, p<0.05)로 나타났다. 암 수 연간 행동권은 MCP 95% 수준에서 암컷 $1.53km^2$, 수컷은 $2.94km^2$로 분석되었다. 꽃사슴의 서식지 이용 중 고도 400~500m, 경사도 $30^{\circ}{\sim}35^{\circ}$, 향 S(남향)를 평균적으로 이용하였고, 도로와의 거리는 0~100m, 수계와의 거리는 0~50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외래도입종 꽃사슴에 대한 서식지 관리 정책 및 생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ix Species of the Tribe Ichneumonini (Hymenoptera: Ichneumonidae) New to Korea

  • Jeong, Jong-Chul;Cha, Jin-Yeol;Choi, Jin-Kyung;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107-119
    • /
    • 2009
  • Six Ichneumonini species, Barichneumon constrictus (Uchida, 1956), Ctenichneumon albomaculatus (Uchida, 1956), Diphyus salicatorius (Gravenhorst, 1820), Ichneumon ohtaniensis Uchida, 1926, Ichneumon kuroishiensis (Uchida, 1929) and Stenichneumon odaiensis Uchida, 1932,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hotographs and redescriptions are provided.

Examining Visitation to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 Sim, Kyu-Won;Choe, Yun-Seon;Kim, Tae-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42-245
    • /
    • 2018
  • Understanding visit motivation to parks is important when attempting to improv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s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not only examine the impact of visitors' motivations on their satisfaction, but also study the effect of their satisfaction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is objective will be fulfilled using regression models populated with data from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GNP). Onsite surveys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May 2017 at the Donghaksa, Gapsa, Cheonjeong, Sinwonsa, Sangsin, and Sutonggol information centers of the GNP (N=224).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isitors' motivations influenced their visit satisfaction, which, in turn, impacte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e study's findings will help park managers and policy-makers establish effective park management strategies and enhance visitors' experiences.

국제 자연보존 연맹의 정의이해를 통한 우리 국립공원의 근본적 문제에 관한 고찰 (Problems and issues of Korea's national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UCN's definitions)

  • 윤영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
    • /
    • 1997
  • Nature preservatio has been a main stream trend as the purpose and meaning of world's national park management since the definition of a national park was first adopted at the IUCN meeting in New Delhi in 1969. However, Korea's national parks have been managed in a direction opposed to that of the world trend.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meaning defines a national park is the most important system for nature conservation, where an ecosystem must be preserved in as much of a natural state as possible. It also defines a national park is a place where only the minimum amount of human intervention is allowed. The role of tourism, which was initially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national parks, has been reduced to the extent where tourism in national parks is allowed only to the point where conflicts arising from local socio-economic interests tied up to the tourism can be dealt with. From this perspective, Korea's national parks are being challenged to establish new relationship between mean and nature and to develop management based on ethical grounds for future generations.

  • PDF

오대산국립공원 지역에 멸종위기종인 사향노루 복원을 위한 주요 서식지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Main Habitat for Siberia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Restoration in Mt. Odae National Park, Korea)

  • 박용수;김종택;이우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1-10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Siberia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rea for the replacement of Siberia Musk Deer into Mt. Odea National Park, South Korea. We analyzed the main habitat for Siberia Musk Deer restoration in Mt. Odae National Park, Korea. We recorded Siberia Musk Deers' field signs (i.e., bedding sites, feeding areas, feces and tracks),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nearest distance to the watercourse, trails, slope, aspect, forest type and land cover etc. from Dec. 2004 to Aug. 2007 in Mt. Jiri, Mt. Seorak, and Demilitarized Zone (DMZ). Rocky areas, ridges, mixed coniferous forest (Red pine and Mongolian oak), southern and southeastern slope, elevation of above 800m, and distance from watercourse shorter than 300m etc. were dominant habitat types of Siberia Musk Deer. Based on the significant habitat types, a proper conserv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for the restoration of habitats in order to reintroduce, and to increase the population of Siberia Musk Deer in Mt. Odea National Park, South Korea. Small population size, and limited ecological data are the major constraints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Furthermore, other anthropogenic factors including human activities, poaching, and residential area around the park caused the difficulties to qualify as a conservation area.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comprehensive ecological research, and to survey human disturbances including their impacts on the habitats of Siberia Musk Deer in the Mt. Odea National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