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SMEs

검색결과 1,094건 처리시간 0.026초

혁신 형 중소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ies on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ve SMEs)

  • 김진희;김대호;김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3권2호
    • /
    • pp.65-88
    • /
    • 2008
  •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화와의 급진전을 토대로 기술적 지식이 가치창출의 핵심요소로 대두됨으로써 기업환경이 급속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생존하고 성장하고 있는 혁신 형 중소기업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이들의 생존과 성공비결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혁신 형 중소기업의 성공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많은 선행 연구들의 이론적 고찰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를 통해 검증해 봄으로써 혁신 형 중소기업의 성공요인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접근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결과와 연구 과제를 토대로 도출된 주요 성공요인들인 기업가의 특성, 환경특성, 전략특성 조직의 자원과 역량특성 등을 중심으로, 재경부산하 신용보증기관에서 신용보증 받은 기업 중 안정된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는 세 개 기업의 사례조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혁신 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혁신 형 중소기업 창업자 및 정책지원업무 관련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Determinants of E-Intermediary Use in Export Marketing: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the US and Korean SMEs

  • Cho, Hyuk-Soo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64-486
    • /
    • 2008
  • Purpose. Electronic intermediaries (e-intermediaries) are gaining significance in international market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mmer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ain empirically what leads to a higher use of this relatively new exportation alternative. Relying on a resource-based view as our research foundation, we focus on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non-IT factors as possible determinants. Further, this study brings arguments offered by transaction cost theorists to explain the other non-IT determinants. Methodology/Approach. Data are collected from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electronic industry in Korea and the U.S to ensure generalizability. Ordinary least square (OLS) regression i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This study raises new issues regarding a relatively new type of exporting channel, e-intermediary. Exporting is regarded as the most appropriate strategy for SMEs in international commerce. A number of SMEs stay away from exporting due to limited resources or lack of knowledge regarding foreign marke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hould help SMEs use e-intermediaries more widely by developing appropriate IT-related resources (IT-related human and relationship assets) and dealing with non-IT factors (international competence,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duration of relationship) effectively. Originality/Value/Contribution. This study illustrates the significant role of e-intermediaries, which may help SMEs to penetrate the global market effectively. Finding relevant sources in the global e-marketplace is a challenge for non-experienced users like SMEs. This study proposes e-intermediarie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m. Anothe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use of indirect exporting channels, e-intermediaries, decrease costs in exporting transactions. This study suggests an e-intermediary as a hybrid exporting channel to balance risk and profit.

  • PDF

산업클러스터 내 사회적 자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학습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firm performance within industrial clusters: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of clustering SMEs)

  • 김신우;서리빈;윤현덕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3호
    • /
    • pp.65-91
    • /
    • 2016
  • Although the success of industrial clusters largely depends on whether clustering firms can achieve economic performance,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on investigating factors and conditions contributing to the performance enhancement for cluster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long this vein, we adopt the theories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s those success factors for clustering SMEs. This study thus aims at examining what effect social capital accru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actors within clusters has on firm performance of clustering SMEs and what role organizational learning plays in the linkage between social capital and firm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operationalized the variables and their measures to develop questionnaire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on literatures. As a sample of 227 clustering SMEs, ou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at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represented by network, trust, and norm, has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of clustering SMEs. We also found that clustering firms presenting high organizational learning, represented by absorptive and transformative capability, achieve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placing less value on organizational learning. Furthermor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firm performance is mediated partially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These findings imply not only that the territorial agglomeration of industrial cluster does not guarantee the performance creation of clustering SMEs but that they need to develop social capital among various actors within clusters, facilitating their knowledge diffusion. In order to absorb and mobilize the sha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o strategic resources, the firms should improve their capabilit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learning. These expand our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clustering firms. Differentiating from major studies addressing benefits and advantages of industrial cluster, this stud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firm-internal business process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dvancement. Strateg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detail.

기술규제와 중소기업 성과의 관계 탐색: 기술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echnological Regulation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Evidence from a Survey Data of Korean SMEs)

  • 안승구;김권식;이광훈
    • 규제연구
    • /
    • 제27권1호
    • /
    • pp.63-91
    • /
    • 2018
  • 본 연구는 규제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중소기업 총 286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중소기업이 전반적으로 인식하는 규제의 기술혁신 저해 수준은 기업의 R&D투자나 제품 공정혁신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은 물론 기업의 성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기술규제로 인해 중소기업의 R&D투자 감소 혹은 제품 공정혁신 저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규제를 식별하고 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규제정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규제개선을 통해 기업의 기술혁신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기업이 보유한 기술혁신 수준에 따라, 기업의 외부적 환경요인으로서의 규제가 기업 구성원이 인식하는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완화되거나 상쇄될 수도 있다. 나아가 기술규제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파악하고, 기업의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규제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규제가 직접적으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경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기술혁신 수준을 매개하여 성과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며, 기업의 주관적 성과와 객관적 성과에 미치는 규제의 영향은 상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의 재무지표로 측정된 객관적 성과의 경우 복합적인 영향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기술규제의 개선만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중소기업의 상황적 조건과 자원의 제약을 고려한 지원정책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정부 R&D 지원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활성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factors of Social Return for Government R&D supported SMEs)

  • 김기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1-35
    • /
    • 2022
  • 본 논문은 정부 R&D 지원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다차원 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310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회 환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이와 관련한 주요 요인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에 따르면 정부 R&D 지원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에 대한 대중적 인식 수준이나 중소기업의 의지는 어느 정도 갖추어졌지만 사회 환원의 실행을 위한 중소기업 내부의 문화나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내부시스템 구축에 정책적 조준이 우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정부의 사회 환원 정책은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책 전달 장치를 보완하여야 하고,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성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ized SMEs R&D Support and Job Creation

  • Bae, Sang-Jin;Ko, Chang-Ryong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17-24
    • /
    • 2018
  • Purpose -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continue to grow up without employment by the economy opening, more investment in foreign countries and technical innovation. Nevertheless, SMEs have job creation continuously. As this result, support for SMEs that is the source of job creation has increased attention. However, previous research between SMEs and job-creating is limited to the job creation effect of comparing with large companies, and R&D investment effect including government support. Also, many research provides the different result of correlation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job creation. Therefore, previous research has insufficient to explain job creation by which i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ge and the job-specific workfor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customized R&D support upon job creation by using questionnaires of SMEs R&D service of K-Institution from 2009 to 2013. In detail,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ge and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Also, we added th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and the job-specific workforce. Results - Research result, Job cre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 to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in product design stage and mass production stage. Also, R&D worker and production worker correlated with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hiring R&D workers and production workers at the higher technology readines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s SMEs support policy and the solve employment problems such as youth unemployment.

The Impact of Social Media Functionality and Strategy Alignment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Performance: A Case Study in Garment SME in East Java

  • Mahendrawathi ER;Nanda Kurnia Wardat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3호
    • /
    • pp.568-589
    • /
    • 2020
  • Recently, Social media has become a concern for businesses, includ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SMEs began to adopt social media to support their performance. To benefit from the application of social media, SMEs must implement the right strateg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social media in SMEs. Furthermore, alignment between social media functionalities and strategies and their effect on SME's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A case study is conducted in Gymi, a garment SMEs in East Java, Indonesia. The data collection includes interviews with the owner of SMEs, observations, and document analysis. Data analysis is performed by pattern matching, which matches the patterns from the literature with data from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st-effectiveness, interactivity, and compatibility a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social media in Gymi. The social media used by Gymi are Instagram, Facebook, YouTube, WhatsApp, and LINE. However, the main social media used to support Gymi's functions is Instagram. Gymi has a relatively good social media strategy as it has defined a specific goal, target audience, and channel selection for social media (Instagram). It also has specific resources and policies to handle social media. Gymi monitors and evaluates their social media content activities. These strategies are aligned with the Instagram feature used to support Gymi's function, particularly marketing, sales, customer service, and to some extent, internal operation. The alignment contributes to Gymi's performance measured by the increase in reputation (number of Instagram followers) and sales.

산학연 기술협력과 흡수 능력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s and Absorptive Capacity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in Korean SMEs)

  • 김선영;이병헌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64
    • /
    • 2007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각종 정부 정책과 투자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산학연 협력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도 상당히 미홉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내부요인에 대해 다양한 요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산학연 기술협력과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산학연 기술협력과 성과 간의 직접적인 영향(상관)관계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기업 내부요인들에 의해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분석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학연 기술협력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하며, 증소기업들이 어떤 내부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우리나라 증소제조업을 대상으로한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산학연 기술협력과 흡수 능력 중 혁신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기술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 또한 산학연 기술협력과 혁신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간에 정(+)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책적으로 산학연 기술지원을 할 때 기업의 기술개발강도만을 갖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기업 내부적으로 혁신 창출을 위한 노력, 즉 혁신적 인적자윈관리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는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경영 측면에서는 중소기업에 내부 자원과 능력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외부자원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기술혁신성과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중소기업의 결합형 개방형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R&D 및 R&D 이외의 혁신협력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upled Open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Firm Performance: Focusing on R&D and Non-R&D Innovation Cooperation Activities)

  • 박지훈;이정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77-205
    • /
    • 2022
  •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와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혁신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개방형 혁신에 참여한다. 기존 연구들은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개방형 혁신활동의 성과효과를 연구하였으나, 특히 결합형 개방형 혁신활동의 성과효과에 대한 결과가 혼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결합형 개방형 혁신협력활동을 'R&D 협력활동'과 'R&D 이외의 협력활동'으로 세분화하여, 각 활동이 기업의 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Heckman의 2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주관의 국가승인통계인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제조업 부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R&D 협력활동은 시장최초 상품혁신 성과에만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고, R&D 이외의 협력활동은 상품혁신, 비즈니스프로세스혁신, 시장최초 상품혁신, 자사최초 상품혁신 모두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유형의 혁신협력활동 모두 재무성과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혁신협력활동의 성과효과는 중소기업 내에서도 기업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맥락의 개방형 혁신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여하며, 중소기업 경영자의 혁신전략 수립 및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 방향 도출에 참고가능한 지침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