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onal and Nutrition Examination(KNHANE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34초

영유아 건강검진 영양 문진 및 지침 개발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estionnaire and Guidelines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 문진수;김재영;정수희;최광해;양혜란;서정기;고재성;최경단;서정완;정희정;은백린;황승식;서순려;김한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1호
    • /
    • pp.42-55
    • /
    • 2008
  • 목 적: 보건복지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해 국내 최초로 영유아 건강검진 사업이 2007년 11월에 시작되었다. 본 연구진은 이 사업에서 포함되는 영양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방 법: 연구진은 대한소아과학회에서 발행되는 영양지침 관련 자료와 미국의 Bright Future, 세계보건기구의 지침들을 참고하였다. 또한, 국내의 중요한 영양 관련 역학 연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및 2005년 소아청소년 신체발육표준치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진표와 보호자용 설명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의사용 지침서를 만들기 위해 연구자들과 정책 담당자들 간의 수차례 회의를 거쳤다. 결 과: 다수의 학문적이고 역학적인 근거를 통해 연령별 영양상담 핵심 주제를 선정하였다. 이는 영유아에서의 모유수유, 보다 건강한 보충식, 철 결핍빈혈의 예방, 보다 건강한 소아 식이, 과체중을 예방하기 위한 영양상담, 그리고 신체활동의 강조 등이다. 이에 근거하여 4개월, 9개월, 18개월, 30개월, 그리고 만 5세의 방문 시기별로 새로운 한국 영양상담 및 예방적 지침을 개발하였다. 각 방문 시기별로 5개에서 8개의 문진이 제공되고, 나이에 적절한 설명서와 의사용 지침서가 개발되었다. 결 론: 연구진은 최신의 과학적 근거를 통해 영양상담 및 예방적 지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새로운 건강증진 정책인 영유아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로 포함시켰다. 향후 보다 세밀한 영양학적 진단 및 주요 질환 치료로 이어지는 상담을 위한 심층 연구가 요청된다.

  • PDF

성별에 따른 혈액 지표 및 스트레스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ood Indicators and Stress on Obesity by Gender in Korean Adults)

  • 이경희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45-54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KNHANES VI-3)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비만 관련 위험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생리적 건강지표인 혈액검사와 스트레스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전체 인구 중 성인(19세 이상) 이며 정상 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3,34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BMI 지수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1), 특히 비만 그룹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의 경우 스트레스가 남성에 비해 높아 성별의 차이를 보였으며(p<.001), 생리학적 지표인 혈액검사에서 여성은 혈소판(PLT) 수치가 높고(p<.001) 남성의 경우 백혈구(WBC)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성별에 따른 비만의 관련 요인으로는 체형에 대한 주관적 판단(95% CI=0.026~0.045, p<.001), 스트레스(95% CI=0.487~0.925, p=.015), 백혈구(95% CI=1.232~1.392, p<.001)가 여성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주관적 체형 인식 및 스트레스와 객관적 생리학적 지표가 체질량지수의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추후 비만 예방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 환경적 요인이 한국 여성의 유방암 조기검진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를 중심으로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related factors Korea women ever considering area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

  • 이미화;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37-449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를 중심으로 다수준 분석을 이용해 지역 환경적 요인이 유방암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4,338명의 대상자 중 연구목적을 충족하는 4,143명을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기초모형의 유방암 수검률의 지역 간 분산은 0.061이고, 개인변수만을 적용했을 때 지역 간 유방암 수검률의 분산은 0.034이었다. 분산의 변화율은 44.26%였다. 또한 개인변수와 지역변수를 함께 적용했을 때 지역간 유방암 수검률의 분산은 0.023이다. 분산의 변화율은 62.30%로서, 지역변수 3가지(유방 악성 신생물로 인한 여성의 십만명당 연령표준화 사망률, 유방촬영장치, 일반회계 중 복지예산(사회보장) 비중)가 지역 간 유방암 수검률의 분산을 18.04%를 추가로 설명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 요인 이외에 지역 환경적 요인이 동일 지역의 특성을 공유함으로써 유방암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유방암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적 요인들도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 Jung, Jin-Ah;Cheon, Hye-Won;Moon, Sang-Eun;Hong, Sun-Hwa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0-98
    • /
    • 2022
  • Background: Integrated management of general, mental, and oral health is necessary to improv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ental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total of 4,227 Korea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using raw data from the first year (2019) of the 8th period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complex sample chi-square test and a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PASW Statistics ver. 18.0 program. Results: Th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in 1.833 times in male, 2.914 times in 30~49 years old, and 3.855 times in 50~64 years old, and 3.929 times in people over 65 years old compared to 20~29 years old, and compared to those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those with a middle school degree or lower are 2.116 times, those with lower income levels are 1.507 times higher, those with middle-lower are 1.359 times higher, those with middle-high are 1.401 times. Compared to non-smokers, smokers were 1.570 times higher than non-smokers and compared to those without speech problem and chewing difficulty, they were 1.717 times and 1.397 times higher, respectively and 1.973 times higher in those with 0~1 brushing times per day. Mental health did not affect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to lower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ffective dental hygiene customized education and an efficient health managemen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at can induce improvement of oral health behavior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경험 (Experiences of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Couples)

  • 한삼성;강성욱;정성화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38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ouse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among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in Korea. The subjects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 condu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07 to 2009. Those who were female, older, lower educated, or poorer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The elderly living alone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 as 2.0 times(OR=2.004, 95% CI=1.433, 2.803) as, and suicidal thinking as 1.6 times(OR=1.567, 95% CI=1.111, 2.211) as the elderly couples did, adjusting for socio-economic factor, health status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factors. As for the male subgroup, the elderly living alone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 as 4.0 times(OR=3.997, 95% CI=2.066, 7.732) as, and suicidal thinking as 3.2 times(OR=3.181, 95% CI=1.535, 6.592) as the elderly couples did. On the other h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and couples. The authors suggested policy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한국 여자 청소년과 성인 여성의 혈청 철 영양상태 및 식품 섭취와 혈중 중금속 농도와의 상관성 :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of iron status and food intake with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Korean adolescent girls and women: Based on the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지영;신민서;김성희;서지현;마혜선;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50-360
    • /
    • 2017
  • 본 연구는 제5기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초경 후 여자 청소년,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철 영양상태 및 식품 섭취 빈도와 혈중 중금속 농도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경 후 여성, 폐경 전 여성, 여자 청소년 순으로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 수은 중독 비율은 폐경 후 여성에서 가장 높았다. 2) 철 영양 상태와 결핍은 초경 후 청소년의 경우, 혈청 페리틴 농도의 평균값이 가장 낮았고, 폐경 전 여성의 경우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농도의 평균값이 가장 낮았고,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혈청 페리틴, 철 결핍비율이 가장 높았다. 3) 철 영양상태와 혈중 중금속 농도 관계에서 초경 후 청소년은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 폐경 전 여성도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으나, 혈중 납 농도, 혈중 수은 농도는 낮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후 여성은 철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혈중 납 농도는 낮았고, 혈중 수은 농도, 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다. 4) 혈중 중금속 농도와 식품군별 섭취빈도의 상관성은 초경 후 청소년의 경우, 혈중 납 농도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중 수은 농도는 생선 및 어패류 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중 카드뮴 농도는 곡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전 여성의 경우, 혈중 납 농도와 서류, 육류 및 난류, 과일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중 수은 농도는 생선 및 어패류 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곡류, 서류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중 카드뮴 농도는 서류, 육류 및 난류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후 여성의 경우, 혈중 납 농도는 패스트푸드 및 튀긴 음식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중 수은 농도는 서류 섭취 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과일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중독비율이 다른 여성에 비해 더 높았고, 폐경 전 여성의 철 영양상태가 초경 후 청소년과 폐경 후 여성에 비해 좋지 않았다. 초경 후 청소년은 철 영양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으며,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 빈도는 혈중 납 농도, 혈중 카드뮴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폐경 전 여성의 경우, 철 영양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으며, 생선 및 어패류 섭취 빈도가 많을수록 혈중 수은 농도가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연령, 월경여부 등으로 인해 철 영양상태가 상이함에 따라 혈중 중금속 종류에 따른 농도와의 상관성이 달랐으며, 식품군 섭취빈도와의 상관관계도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COPD Incidence i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in Korea

  • Do-Youn Lee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0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risk factors for diseases i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COPD incidence through management. METHODS: Based on the 2019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1,788 adults over the age of 40 who participated in pulmonary function test and health survey were selected as subjects. COPD incidence risk factors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cidence of COPD in Korea was 11.5%, and the risk of developing COPD was higher in men, age, and current smokers. Compared to women, men had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OPD by 2.369 times (95% CI 1.289-4.355). In age, the risk of COPD incidence increased by 3.702-fold (95% CI 1.923-7.124) in their 50s, 11.238-fold (95% CI 6.009-21.017) in their 60s, and 28.320-fold (95% CI 14.328-55.977) in their 70s compared to those in their 40s. In the smoking state, 2.302 times (95% CI 1.373-3.860) of past smokers and 4.542 times (95% CI 2.694-7.658) of current smoke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risk of developing COPD than non-smokers. CONCLUSIO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OPD,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prevent disease development through lifestyle an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in subjects with COPD risk factors.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in Korea: Mediating Effec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 박수경;이선우;박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10-122
    • /
    • 2017
  • 본 연구는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과의 관계와 이 두변수간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년여성들의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년) 자료 중 만 40세에서 60세까지 중년여성 1,182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은 자살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득은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는 평균소득 이하의 저소득집단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갱년기 중년여성의 자살예방 정책마련 필요,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의 필요 및 저소득층의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한국인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 임미영;이영란;한숙정;조정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MS) among Korean adults ($age{\geq}20$). Methods: A total of 7,798 subjects (weighted subjects=37,215,961) were recruited from the 2009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in consideration of strata, cluster and weight as national data using the SAS 9.1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MS by definition of AHA/NHLBI and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Koreans was 22.4%. The mean clinical MS score for MS patients was 3.4, but the mean score for the non-MS group was 1.2 out of 5.0. Among the lifestyle factors, smoking (OR=1.024), stress ($0.546{\leq}OR{\leq}0.587$) and drinking (OR=1.005)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S risk and MS scores, but exercise did no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on the effect of lifestyle factors on MS risk and nurses should focus on effective programs about smoking, stress and drinking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MS risk.

40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과 스트레스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on sleep time and stress of adults older than 40 years)

  • 조민정;김해경;오나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25-23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시간이나 스트레스가 잔존 치아 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 3,261명을 최종대상자로 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chi-square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ogistic regression으로 수면시간이나 스트레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95% 신뢰구간으로 정하였다.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대상자의 잔존 치아 수가 20개미만으로 적을 위험비가 1.52배 (95% confidence interval: 1.074-2.135)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많은 대상자의 경우 잔존 치아수가 적을 위험비가 2.39배 (95% confidence interval: 1.855-3.090)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이, 성별 그리고 기타 변수를 보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