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9초

머신러닝을 이용한 미숙아의 재원일수 예측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to predict length of stay in premature infants using machine learning)

  • 김촉환;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71-282
    • /
    • 2021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재원일수 예측 모형을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개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모형 개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집한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의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퇴원한 미숙아 6,149건을 이용하였다. 입원 초기 신경망 모형은 설명력(R2)이 0.75로 다른 모형에 비해 우수 하였다. 입원 초기 변수에 임상진단을 CCS(Clinical class ification software)로 변환하여 추가 투입한 모형은 큐비스트(Cubist) 모형의 설명력(R2)이 0.81로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s), 그라디언트 부스트(Gradient boost), 신경망(neural network), 벌점화 회귀(Penalty regression) 모형에 비해 성능이 우수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 데이터를 이용한 미숙아의 재원일수 예측 모형을 머신러닝을 통해 제시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임상정보, 부모정보 등 데이터의 한계로 향후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청소년 남학생 흡연의 관련요인 : 가족구성원 흡연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Relevant Factors for Smoking in Adolescent Boys :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smoking of family members)

  • 박아영;김철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46-4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남학생 흡연과 가족구성원의 흡연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제14차(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응답한 27,276명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남학생 중 비흡연율은 91.5%, 흡연율은 8.5%(가끔 흡연함 2.5%, 자주 흡연함 6.0%)이다. 연구결과, 가족구성원의 흡연자 수에 따른 남학생의 흡연 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0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흡연은 학년, 학업성적, 경제상태,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p<0.001), 건강행태관련 특성에 따른 흡연은 음주 정도, 자살 생각률, 우울감 경험률, 스트레스 정도, 아침식사 빈도, 수면 후 피로회복 정도, 주관적 건강 인지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01). 남학생의 흡연가능성은 가족구성원 흡연자가 1명일 때보다 가족구성원 흡연자가 2명이상일 때 더 높다(p<0.001). 본 연구의 의의는 남학생 흡연이 가족구성원 흡연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흡연의 예방 및 금연사업을 구성할 때 가족 흡연자의 금연 사업을 병행하여 설계한다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한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of nurse in health promoting hospitals)

  • 이진숙;권소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455-464
    • /
    • 2015
  • 본 연구는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역할인식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건강교육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40일간이었고, 대상 기관은 국내 건강증진병원 네트워크 소속된 병원 중 연구를 승낙한 4개 병원 중 28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역할인식 (${\beta}=.246$, p=.001)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beta}=.282$, p <.001), 임상경험 (${\beta}=.121$, p=.059)은 건강교육수행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7.738, p <.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총 27.8%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할인식과 건강교육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겠다.

Tetrathyridia of Mesocestoides lineatus in Chinese Snakes and Their Adults Recovered from Experimental Animals

  • Cho, Shin-Hyeong;Kim, Tong-Soo;Kong, Yoon;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531-536
    • /
    • 2013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socestoides lineatus tetrathyridia collected from Chinese snakes and their adults recovered from experimental animals were studied. The tetrathyridia were detected mainly in the mesentery of 2 snake species, Agkistrodon saxatilis (25%) and Elaphe schrenckii (20%). They were 1.73 by 1.02 mm in average size and had an invaginated scolex with 4 suckers. Adult tapeworms were recovered from 2 hamsters and 1 dog, which were orally infected with 5-10 larvae each. Adults from hamsters were about 32 cm long and those from a dog were about 58 cm long. The scolex was 0.56 mm in average width with 4 suckers of 0.17 by 0.15 mm in average size. Mature proglottids measured 0.29 by 0.91 mm (av.). Ovaries and vitellaria bilobed and located in the posterior portion of proglottids. The cirrus sac was oval-shaped and located median. Testes were follicular, distributed in both lateral fields of proglottids, and 41-52 in number per proglottid. Gravid proglottids were 1.84 by 1.39 mm (av.) with a characteristic paruterine organ. Eggs were 35 by $27{\mu}m$ in average size with a hexacanth embryo.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worms were identical with those of M. lineatus reported previously.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etrathyridia detected in 2 species of Chinese snakes are the metacestodes of M. lineatus, and 2 snake species, A. saxatilis and E. schrenckii, play the role of intermediate hosts.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8)를 이용한 어패류 섭취빈도에 따른 한국 성인의 혈중 중금속 농도 조사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Korean Adults by Seafood Consumption Frequency: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8)

  • 김영아;김영남;조경동;김미영;김은진;백옥희;이복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6호
    • /
    • pp.518-526
    • /
    • 2011
  • To determine blood heavy metal concentrations by seafood consumption in Korean adults, blood cadmium, mercury, and lead concentration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1,709 Koreans participated i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IV-2) in 2008 were analyzed by age and seafood consumption frequency. The mean blood cadmium, mercury, and lead concentrations were $1.14{\pm}0.73{\mu}g/L$, $5.50{\pm}3.83{\mu}g/L$, and $2.56{\pm}1.22{\mu}g/dL$, respectively. The subjects aged ${\geq}$ 50 years had significantly higher blood cadmium concentrations than the subjects aged 20~39 years. Blood mercury concentrations of the 50'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20's and 30's (p < 0.05). Approximately, 43% of males and 22% of females had blood mercury concentrations > $5.8{\mu}g/L$ which is a blood mercury level equivalent to the current Reference Dose. Only 2 subjects had lead concentrations > $10{\mu}g/dL$, the standard lead level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A. The subjects consuming pollack, mackerel, anchovy, corvina, shellfish, and salted seafood at least once a week had significantly higher mercury concentrations than the subjects consuming those seafoods less than once a month. However, there were no clear relationships between blood cadmium and lead concentrations and seafood consumption frequencie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Cancer Survivors Who Return to the Workplace

  • Han, Kyu-Tae;Park, Eun-Cheol;Kim, Sun Jung;Jang, Sung-In;Shin, Jaeyong;Kim, Chan Ok;Choi, Jaw Woo;Lee, Sang Gy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783-8788
    • /
    • 2014
  • Background: Although the prevalence of cancer is increasing, it is no longer synonymous with death. The number of cancer survivors is estimated to be increasing due to development in medical treatments and social programs; cancer survivors are increasingly returning to work after long-term unemployment. Thus, we examined the quality of life (QOL)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turn of cancer survivors to the workplac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administer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548). We used Chi-square tests to compare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compare QOL scores among groups. We also performed a mixed-mod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OL and factors at the workplaces of cancer survivor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overall QOL of cancer survivors was associated with 'mutual respect', 'free emotional expression', occupation, and age. Moreover, different trends of QOL according to self-perceived health were identified on additional analysis. In the 'bad' self-perceived health group, Q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come. The QOL of cancer survivors in the low-income group was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Conversely, the 'normal' group had a lower QOL caused by 'no mutual respect' and "no fre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workplace. The QOL in the 'good' group based on self-perceived health was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 Conclusions: There may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QOL and workplace factors for cancer survivors,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in detail. This may facilitate formulation of policy and efforts to prevent and manage the decline in the QOL of cancer survivors returning to work.

공정능력지수 Ĉp, Ĉpk와 Ĉpm를 위한 점근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On the asymptotic correlationship for some process capability indices Ĉp, Ĉpk and Ĉpm)

  • 조중재;유혜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465-475
    • /
    • 2013
  • 공정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공정능력지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흔히 품질수준은 공정능력지수들에 의해 측정된다. 세 가지 공정능력지수 $C_p$, $C_{pk}$, $C_{pm}$들은 품질 현장에서 프로세스 성과를 평가하는 데 널리 유용하게 사용되는 바, 이들 추정량들의 상관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 연구하여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정표본이 정규분포에 따를 때 이러한 지수들의 추정량들에 대한 점근적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제2절에서는 공정능력지수 $C_p$, $C_{pk}$, $C_{pm}$들을 정의하여 기본적인 관계를 설명하였고, 제3절에서는 단일변량 정규공정하에서의 점근적인 상관계수를 구체적으로 계산,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공정능력지수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필요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를 이용한 고지혈증 유병율의 지역 간 변이와 위험 요인의 융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for geographic variations and risk factors in th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using measures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 김유미;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419-429
    • /
    • 2015
  • 본 연구는 고지혈증 유병률의 지역 간 변이 정도와 위험 요인을 규명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고지혈증 관리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2012년도 시군구 지역사회건강조사 249건의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등의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249개 시군구 지역의 고지혈증 유병률은 9.2%였고, 변동계수는 28.3%였다. 남동부 해안지역에 비해 수도권과 내륙지방의 고지혈증 유병률이 높았다. 의사결정나무 모형이 회귀모형에 비해 예측력이 좋았는데, 지역의 임금근로자 비율, 스트레스 인지율, 고혈압, 협심증, 관절염 유병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지혈증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 역학적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개입이 가능한 지점을 중심으로 고지혈증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교 학생들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조사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uberculosi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정진옥;김성수;강미경;조은희;이은엽;장철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5호
    • /
    • pp.369-378
    • /
    • 2008
  •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은 OECD국가 중 가장 높다. 그러나 결핵에 대한 일반적 지식과 인식은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결핵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만연한 가운데 단체 생활로 인해 고등학교 학생들이 결핵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방법: 부산에 위치한 남녀공학고등학교와 여자고등학교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결핵에 대한 지식과 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78명의 학생 중 결핵에 대해 들어본 학생은 74명으로 94.9%에 달한다. 그러나 결핵에 대한 지식은 매우 피상적이며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결핵의 사망률은 매우 높은 실정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핵에 대해 매우 한정적인 지식을 갖고 있을 뿐이며 잘못된 지식과 태도를 갖고 있다. 단체 생활을 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결핵에 쉽게 노출되고 전염될 수 있으므로 학교와 가정을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

심장사상충 감염 진도견에서 혈장 NT-proBNP 농도 증가 증례 (Elevation of Plasma NT-proBNP Concentration in a Korean Jindo Dog Infected with Dirofilaria immitis)

  • 황수현;박형진;서경원;이상은;송근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6-498
    • /
    • 2013
  • 본 증례는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심장사상충에 중감염된 2세, 암컷의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였다. 심장사상충 감염은 신체검사, 혈액검사, ELISA 키트검사 및 영상진단검사 등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 진도견의 혈장 NT-pro BNP농도는 심장사상충에 감염되지 않고, 다른 질병도 없는 5마리(모두2세, 모두 암컷)의 정상견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상견 평균: 373 pmol/L, 본 증례: 2,950 pmol/L). 본 연구는 우리가 아는 한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한 최초의 증례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