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jic acid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9초

Phenyl-2,2'-methylenebis(cyclohexane-1,3-dione) 유도체의 Tyrosinase 저해활성에 관한 HQSAR 분석 (HQSAR Analyses 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Phenyl-2,2'-methylenebis(cyclohexane-1,3-dione) Analogues)

  • 김상진;김영옥;조윤기;최원석;성낙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9-205
    • /
    • 2010
  • 기질 화합물로써 일련의 phenyl-2,2'-methylenebis(cyclohexane-1,3-dione) 유도체(1-22)들의 치환기($R_1$$R_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활성저해에 대한 분자 홀로그래피적인 정량적 구조-활성관계(HQSAR) 모델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에 미치는 구조상 요소들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이는 새로운 tyrosinase 저해활성 분자를 설계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양호한 E-2 모델(상관성; $r_2$ = 0.929 및 예측성; $q_2$ = 0.564)을 유도하였으며 설계된 화합물, P1 ($Pred.pI_{50}$ = 5.48)는 기준물질로 사용된 kojic acid에 비하여 약 13.4배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자연삼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 (Skin lightening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 이효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5-292
    • /
    • 2019
  • 인삼은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활성은 사포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 중 주사포닌이 분해된 부사포닌이 주사포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부사포닌의 함량은 발효를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자연삼을 발효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멜라닌 합성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과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임상시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기존 미백 원료인 Kojic acid나 Arbutin과 비교하여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능이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도 낮게 나타났으며 임상평가를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세포생물학과 임상학적 융합연구이며 이를 통하여 개발된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안전하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품 원료로 평가된다.

Coenzyme Q10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oenzyme Q10 on Melanogenesis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and in vivo Guinea Pig Model)

  • 황재성;박원만;안수미;강병영;이병곤;심영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9-162
    • /
    • 2000
  • Coenzyme Q10(CoQ10)은 피부를 포함한 모든 생체조직에 존재하는 널리 알려진 조효소이다. 전자전달에 관여하는 퀴논링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CoQ10은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용제로써 노화억제와 주름개선작용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이런 보고들은CoQ10이 항산화제로서 산화-환원작용을 통해 피부의 방어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일반적으로 산화-환원작용은 피부에서 흑화과정의 조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CoQ10 이 피부의 색소조절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CoQ10을 0.05-0.5 mM 처리한 결과 0.5, 0.25mM에서 멜라닌의 생합성을 약 50% 저해하였으며 이는 알려진 미백제인 Kojic acid나 vitamin C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CoQ10은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서 자외선이나 세포내 cAMP 증가 유도물질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tyrosinase inhibitor인 kojic acid와는 달리, in vitro tyrosine hydroxylase의 억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CoQ10을 자외선으로 tanning을 유도시킨 brown guinea pig에 4주간 도포하고 육안 및 chromameter를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vehicle처리군에 비해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oenzyme Q10 은 in vitro및 in vivo에서 미백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참느릅나무에서 추출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Tyrosinase Inhibition-mediated Anti-melanogenic Effects by Catechin Derivatives Extracted from Ulmus parvifolia)

  • 황태혁;이효정;강동민;문경미;유재철;안미정;문동규;우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9-175
    • /
    • 2023
  • 자외선으로 야기되는 피부조직의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멜라닌세포는 멜라닌 색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에는 tyrosinase 효소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다한 멜라닌 생성은 피부조직에 주근깨와 검버섯 등의 과다 색소침착 병변을 일으킨다. 따라서 tyrosinase 발현이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은 임상적인 의미가 있다. Catechin은 tyrosinase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와 버섯에서 추출된 tyrosinase를 사용하여, 참느릅나무의 줄기 껍질에서 추출 및 동정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C5A, C7A, C7G, 및 C7X)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검증하였다. 먼저, B16F10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의 catechin 유도체 화합물 처리는, 모두α-MSH로 촉진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다.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의 이러한 효능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로 잘 알려진 kojic acid와 비슷한 수준이였다. 또한, C5A와 C7A는 버섯에서 추출된 tyrosinase의 효소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컴퓨터 분석을 통해 C5A와 C7A는 kojic acid와 유사한 수준으로 tyrosinase의 active site에 결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더하여, 4종류의 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모두가 α-MSH 처리된 B16F10 세포주에서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참느릅나무에서 추출/동정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은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 질환 제어를 위한 새로운 조절 물질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yrosinase Inhibitin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osmarinic Acid and Its Methyl ester from Salvia miltiorrhiza

  • Kang, Hye-Sook;Kim, Hyeung-Rak;Chung, Hae-Young;Choi, Jae-Su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83.3-384
    • /
    • 2002
  • Rosmarinic acid (1) and methyl rosmarinic acid (2),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Lamiaceae) were found to be the tyrosinase inhibitors and scavengers of 1, 1-diphenyl-2-picrylhydrzyl (DPPH) radical. Compounds 1 and 2 inhibited the oxidation of L-tyrosine catalyzed by mushroom tyrosinase with $IC_{50}$/ of 16.8 $\mu\textrm{M}$ and 21.5 $\mu\textrm{M}$. respectively. It compared well with kojic acid. a well-known tyrosinase inhibitor. with an $IC_{50}$ of 22.4 $\mu\textrm{M}$. The inhibitory kinetics, analyzed by a Lineweaver-Burk plot, found rosmarinic acid and its methyl ester to be competitive inhibitors with $K_{i}$ of $2.35{\times}10^{-5}M$ and $1.52{\times}10^{-5}M$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s 1 and 2 showed the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with $IC_{50}$ of 4.27 $\mu\textrm{M}$ and 3.05 $\mu\textrm{M}$. respectively. These scavenging effects were more potent than that of L-ascorbic acid ($IC_{50}$ = 11.75$\mu\textrm{M}$).

  • PDF

The Effects of Bamboo Extract on Human Melanocytes and B16 Melanoma Cells in vitro

  • Cho, Joon-Hwan;Lee, Ki-Moo;Kim, Nam-Soo;Kang, Won-Hyou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33-143
    • /
    • 1999
  • To identify inhibitory effect of Bamboo extract on melanogenesis, the effect was compared with arbutin, ascorbic acid, hydroquinone, and kojic acid on the melanin biosynthesis in B16 mouse melanoma cells and cultured human melanocytes. The cell viability of the agent was tested on cultured human melanocytes. We also examined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Bamboo extract showed considerable effect against melanin production and did not reduce cell viability at the concentration tested. It also showed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PDF

Evaluation of skin sensitzation to skin whitening agents by local lymph node assay in Balb/c mice

  • Lee, Jong-Kwon;Park, Seung-Hee;Park, Jae-Hyun;Kim, Hyung-Soo;Chung, Seung-Tae;Juno H. Eom;Seo, Gi-Ho;Byun, Jung-A;Oh, Hye-Young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0-80
    • /
    • 2003
  • The use of skin whitening agents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in various kinds of cosmetic products, although there were reports that whitening agents might caus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 murine local lymph node assay (LLNA)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guinea pigs for contact sensitization potenti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kin sensitization potential of three whitening agents, kojic acid, arbutin, azelaic acid, by LLNA using a non-radioistopic endpoint.(omitted)

  • PDF

The Effects of Bamboo Extract on Human Melanocytes and B16 Melanoma Cells In vitro

  • Cho, Joon-Hwan;Lee, Kim-Moo;Kim, Nam-Soo;Kang, Won-Hyoung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9년도 IFSCC . ASCS 학술대회 발표 논문
    • /
    • pp.133-143
    • /
    • 1999
  • To identify inhibitory effect of Bamboo extract on melanogenesis, the effect was compared with arbutin. ascorbic acid, hydroquinone, and kojic acid on the melanin biosynthesis in Bl6 mouse melailoma cells and cultured hunlan melanocytes. The cell viability of the agent was tested on cultured human melanocytes. We also examined.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1,1-dipheny1-2-picrylhydrazyl (DPPH). Bamboo extract showed considerable effect against melanin production and did not reduce cell viability at the concentration tested. It also showed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PDF

p-Coumaric Acid Potently Down-regulates Zebrafish Embryo Pigmentation: Comparison of in vivo Assay and Computational Molecular Modeling with Phenylthiourea

  • Kim, Dong-Chan;Kim, Seonlin;Hwang, Kyu-Seok;Kim, Cheol-H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6
    • /
    • 2017
  • p-Coumaric acid is an organic compound that is a hydroxyl derivative of cinnamic acid. Due to its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p-coumaric acid has been widely studied in biochemical and cellular systems and is also considered as a useful therapeutic candidate for various neuronal diseases. However, the efficacy of p-coumaric acid on zebrafish developmental regulation has not been fully explored. In this study, therefore, we first investigated the action mechanism of the p-coumaric acid on the zebrafish development in a whole-organism model. p-Coumaric acid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igmentation of the developing zebrafish embryos compared with control embryos without any severe side effects. In addition, p-coumaric acid down-regulated more effectively in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well-known zebrafish's melanogenic inhibitor, phenylthiourea. We also compared the molecular docking property of p-coumaric acid with phenylthiourea on the tyrosinase's kojic acid binding site, which is the key enzyme of zebrafish embryo pigmentation. Interestingly, p-coumaric acid interacted with higher numbers of the amino acid residues and exhibited a tight binding affinity to the enzyme than phenylthiourea. Taken all together,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p-coumaric acid inhibits the activity of tyrosinase, consequently down-regulating zebrafish embryo pigmentation, and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dermal pigmentation. Thus, p-coumaric acid can be an effective and non-toxic ingredient for anti-melanogenesis function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