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ssinger equ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열시차 분석에 대한 결정화 Kinetics의 응용 (Application of Crystallization Kinetics on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 이선우;심광보;오근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1162-1170
    • /
    • 1998
  • PbO-TiO2-B2O3-BaO 계 유리상에서 PbTiO3의 결정화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전자현미경 관찰 그리고 결정화 기구의 열시차 분석에 대한 응용성을 조사하였다. 열시차 분석에 대한 Kissinger 식의 응용은 DTA 분석시 시료내 핵밀도가 변하지 않을 때 적용할 수 있으며, 표면결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분말시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활성화 에너지를 시료의 결정화 메커니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Ozawa 식에 의한 Avrami parameter n은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파악된 결정화메커니즘과 잘 일치하고 있었으며, 수정 Kissinger 식은 시료의 결정화 메커니즘을 반영하고 있어 시료의 전처리와 관계없이 참값의 활성화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 PDF

Kissinger Equation과 Fractional Life법에 의한 DGEBA/MDA/MN계와 DGEBA/MDA/MN/HQ계의 경화반응 속도론 (Cure Kinetics of DGEBA/MBA/MN and DGEBA/MDA/MN/HQ Systems by Kissinger Equation and Fractional Life Method)

  • 이재영;심미자;김상욱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731-736
    • /
    • 1994
  • DGEBA/MDA/MN계와 이 계에 촉매로서 hydroquinone(HQ)를 첨가한 계의 경화반응 속도론을 Fractional life법 및 Kissinger equation에 의해 연구함으로써 HQ가 경화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경화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였고, 반응차수는 약간의 변화가 있을 뿐 경화온도에 따른 경향성은 없었다. 촉매로 HQ를 첨가한 계가 첨가하지 않은 계보다 반응속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활성화 에너지는 13% 감소하였다. 이는 HQ의 히드록시기가 에폭사이드기, 아민기와 반응하여 전이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에폭사이드 고리를 쉽고 빠르게 개환시켜 주기 때문이다.

  • PDF

Thermal Aging Predictions of Polymeric Materials from Arrhenius Plot Using TGA

  • 심대섭;박성균;이철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1권10호
    • /
    • pp.473-478
    • /
    • 2002
  • Accelerated thermal aging conditions of polymeric materials were studied by Kissinger equation with TGA analysis. The activation energy was obtained from the slope of straight line of each specimen at the different TGA heating rate. Estimating activation energy from Kissinger equation was acquired, and the resulting calculation showed that 3.59, 3.0, 3.86, 3.73 for the PEEK, polyimide, polysulfone and Viton, respectively. The studied polymeric specimens are used for electrical penetration assembly in nuclear power plant. Accelerated aging time and temperature were also determined corresponding to actual service temperature and 41 years.

Cure and Thermal Degradation Kinetics of Epoxy/Organoclay Nanocomposite

  • Park, Jae-Jun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3권4호
    • /
    • pp.204-207
    • /
    • 2012
  • Epoxy nanocomposite was synthesized through the exfoliation of organoclay in an epoxy matrix, which was composed of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4,4'-methylene dianiline (MDA) and malononitrile (MN). Organoclay was prepared by treating the montmorillonite with octa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ODTMA). The exfoliation of the organoclay was estimated by wide angle X-ray diffraction (WAXD)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the cure rate of DGEBA/MDA (30 phr)/MN (5 phr)/organoclay (3 ph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alysis was performed at various heating rates, and the data were interpreted by Kissinger equation. Thermal degradation kinetics of the epoxy nanocomposite were studi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the data were introduced to the Ozawa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for cure reaction was 45.8 kJ/mol, and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rmal degradation was 143 kJ/mol.

에폭시/탄소계 Bipolar Plate 제조를 위한 Press Molding 조건 연구 (Press Molding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Bipolar Plate in Epoxy/Carbon System)

  • 최범철;이재영;이지정;이홍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4.2-144.2
    • /
    • 2010
  • Bipolar plate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에서 핵심 부품 중의 하나이고, 전해질 막이나 촉매 등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Bipolar plate를 제조하는 기술은 크게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는 방법, graphite 판을 직접 밀링하는 방법 및 고분자/카본계의 press molding 법 등 3가지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는 3번째 방법에 의해서 bipolar plate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분자 매트릭스는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하였고, 카본계 재료는 graphite 분말과 carbon nanotube를 사용하였다. 이들 재료들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사용하여 열분석 하였고, 그 결과를 Kissinger equation에 대입하여 경화반응 속도론을 연구하였다. 또한, 경화된 에폭시/탄소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 유리전이온도, 표면에너지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 PDF

DSC 분석에 의한 DGEBA/MDA/GN/HQ계의 경화반응 속도론 (Cure Kinetcs of DGEBA/MDA/GN/HQ System by DSC Analysis)

  • 이재영;심미자;김상욱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904-909
    • /
    • 1994
  • 촉매로 작용하는 HQ의 첨가에 따른 DGEBA/MDA/GN계의 경화반응 속도론 변화를 Kissinger equation과 Fractional life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HQ가 첨가된 계가 첨가되지 않은 계보다 활성화 에너지는 약간 감소하였고, pre-exponential factor 값은 30% 정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HQ(1.25phr)가 첨가됨으로 인해 반응속도는 1.8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

DGEBA/MDA/HQ-PGE계의 경화 반응 속도론 (Cure Kinetics of DGEBA/MDA/HQ-PGE System)

  • 송영욱;심미자;김상욱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356-361
    • /
    • 1996
  • 반응성 첨가제로 HQ와 PGE를 합성시킨 HQ-PGE를 사용하여, DGEBA/MDA계의 경화반응이 일어날 때의 속도론을 DSC와 FT-IR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Kissinger equation과 Arrhenius equation을 이용하여 활성화 에너지와 pre-exponential factor 값을 구하였다. 계의 활성화 에너지는 HQ-PGE가 첨가되었을 때 감소하였다. 합성 HQ-PGE가 5 phr 첨가되었을 때, DGEBA/MDA계의 활성화 에너지는 FT-IR로 측정하였을 때 7.8 kcal/mol, DSC로 측정하였을 때에 11.3 kcal/mol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HQ-PGE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보다 각각 30%, 9% 감소된 값이었다. 이 결과들을 통해서 반응성 첨가제로 사용된 HQ-PGE는 본 계에서 촉매의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GA와 가속열화를 이용한 전선 피복용 PVC의 열적 열화평가 (Evaluation of Thermal Aging on PVC Using Thermo Gravimetry Analysis and Accelerated Thermal Aging Test)

  • 박형주;김기환;김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5-50
    • /
    • 2004
  • 600V용 비닐절연전선의 절연체로 사용되는 PVC의 열적 열화 특성을 열중량분석과 가속열화시험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TGA를 이용한 활성화에너지는 Kissinger method와 Flynn-Wall-Ozawa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600V용 PVC 절연전선은 89.29 kJ/mol~111.39 kJ/mol, 내열 PVC절연전선은 97.80 kJ/mol~119.25 kJ/mol로 나타났다. 또한, 저온인 80, 90, 10$0^{\circ}C$에서 장기가속열화를 통한 활성화에너지를 아레니우스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PVC 절연전선은 92.16 kJ/mol,내열 PVC절연전선은 97.52kJ/mol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있어 600V내열 PVC절연 전선이 PVC 절연전선에 비해 활성화에너지가 큼을 알 수 있었으며, 사용 수명을 예측함에 있어서도 장기적으로 안정함을 예측할 수 있다.

Cure Kinetics of Cycloaliphatic Epoxy/Silica System for Electrical Insulation Materials in Outdoor Applications

  • Lee, Jae-Young;Park, Jae-Jun;Kim, Jae-Seol;Shin, Seong-Sik;Yoon, Chan-Young;Cheong, Jong-Hoon;Kim, Young-Woo;Kang, Geun-Bae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6권2호
    • /
    • pp.74-77
    • /
    • 2015
  • The cure kinetics of a neat epoxy system and epoxy/silica composite were investigated by DSC analysis. A cycloaliphatic type epoxy resin was diglycidyl 1,2-cyclohexanedicarboxylate and curing agent was anhydride type. To estimate kinetic parameters, the Kissinger equation was used.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neat epoxy system was 88.9 kJ/mol and pre-exponential factor was 2.64×1012 min−1, while the activation energy and pre-exponential factor for epoxy/silica composite were 97.4 kJ/mol and 9.21×1012 min−1, respectively. These values showed that the silica particles have effects on the cure kinetics of the neat epoxy matrix.

열경화성 DGEBA/MDA/SN/HQ 매트릭스의 경화반응 속도 (Cure Kinetics of DGEBA/MDA/SN/HQ Thermosetting Matrix)

  • 이재영;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667-672
    • /
    • 1995
  • DGEBA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MDA(4,4'-methylene dianiline)/SN(succinonitrile)계와 DGEBA/MDA/SN/HQ(hydroquinone)계의 경화반응 속도론을 Kissinger equation 및 Fractional life 법에 의해 85~15$0^{\circ}C$에서 DSC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경화반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반응차수는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촉매로 HQ를 첨가한 계가 첨가하지 않은 계보다 반응속도는 크게 증가했으며, 활성화 에너지 값은 약 20%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경화반응 시작온도는 3$0^{\circ}C$ 정도 낮아졌다.

  • PDF